||<-2>
'''{{{#fff 제7대 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관}}}[br]{{{#fff {{{+2 대니얼 대진 유}}}[br]{{{-1 Daniel Daejin Y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alumni.asu.edu/Yoo_0.jpg|width=100%]]}}} || || {{{#white '''한국명'''}}} ||유대진 || ||<|2> '''{{{#fff 출생}}}''' ||[[1962년]] [[7월 4일]] ([age(1962-07-04)]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white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fff 학력}}}''' ||[[파일: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아이콘.png|width=20]]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2 (학사)}}} || || '''{{{#fff 복무}}}''' ||[[미합중국 해병대]] || || '''{{{#fff 복무 기간}}}''' ||1985 ~ 2020 || || '''{{{#fff 최종 계급}}}''' ||미합중국 해병대 [[소장(계급)|소장]] {{{-1 (Major General of The U.S. Marine Corps)}}} || || '''{{{#fff 최종 보직}}}''' ||[[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부|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관]] || || '''{{{#fff 지휘}}}''' ||미합중국 태평양특수작전사령관[br][[제1해병사단(미국)|제1해병사단장]] {{{-2 (직무대행)}}}[br]아프가니스탄 해병원정여단장[br]제1해병원정군 전방사령관[br]제4해병연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군인. [[한국계 미국인]]으로 미 해병대에서 가장 높은 계급에 오른 인물이다. --현실판 [[유진 초이]]-- 한국명은 '''유대진'''.[* 영문명의 미들네임 D.는 대진(Daejin)의 약자이다.] == 생애 == 1962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미국]] [[버지니아주]]로 이민하여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1984년 [[애리조나 주립대학교]]를 졸업했다. 전공은 법학(Bachelor of Science degree in justice studies from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이었다. 1985년에 [[사관후보생]]([[OCS]]) 과정을 통해 미 해병대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임관 후 그는 [[미합중국 해병대]] [[제1해병사단(미국)]] 9연대 2대대에서 소총소대장과 중기관총소대장, 대대 화기중대 부중대장, 소총중대장을 역임했다. 1989년 해외 [[파병]] 근무로 일본 오키나와 주둔 [[주일미군]] 미 해병대 제3사단 수색대대에서 수색소대장, 수색중대장 역임. 1991년 미 본토로 돌아와 상륙전 학교(Amphibious Warfare School)에 입교했다. 1992년 미 해병대 예비군 제4포스리컨 중대 - 네바다 리노 파견대 동원감독관 역임. 1995년 해병대본부 작전정책기획 참모부 근무, 1998년 해군 지휘참모대학 입학, 1999년 국가안보전략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제2해병원정군(MEF)의 작전처와 제2해병원정여단(MEB) 작전처에서 근무했다. 2001년부터 제26해병원정부대(MEU) 작전과장을 역임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미 해병대 보병학교(동부) 보병훈련대대장을 역임했다. 그후 1년간 [[스탠포드 대학교]]의 후버연구소에서 국가안보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5년부터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에서 근무했고, 2007년부터 해병대 특수작전사령부 작전처에서 근무했다. 2008년에는 미 해병대 제3사단 4연대장으로 [[오키나와]]에서 파병 근무를 했다. 연대장 재직 중인 2009년 7월부터 2010년 4월까지는 아프가니스탄 육군 제201군단에서 중부지역 군단 고문 사령부(RCAC-C) 임베디드 트레인닝 ETT 3-7팀장으로[* 군단 ETT팀은 대령급 팀장과 약 20여명을 팀원으로 구성된다.] 파병 근무를 하고, 다시 4연대장직으로 잠시 복귀했다가, 곧 미 외교안보 전문연구 기관인 미국외교협회(CFR)에 군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2011년 준장 진급 후 2013년까지는 미 해병대 샌디에이고 신병훈련소장을 지냈다.[* 한국계 미국인 중에서 첫번째로 주방위군이 아닌 연방군 소속으로 장군에 오른 인물은 1982년 임관하여 2008년에 장성으로 진급한 [[섀런 던바]] 소장(퇴역)이다. 던바 소장은 부모 중 한쪽만 한국계이다. 유 장군은 부모가 모두 한국계이고 그 자신도 한국 서울에서 출생한 한국계 미국인이다.] 그후 제1해병원정군 전방(MEF-Forward) 사령관으로 아프간에 파병되었고, 2014년에는 아프가니스탄-해병원정여단(MEB-Afghanistan)장을 지냈다. 그후 미 해병대 제1사단 부사단장을 지냈고, 2015년 7월부터 9월까지는 사단장 직무대행을 겸했다. 2016년 4월 15일(미국 현지시간), 소장으로 진급했다. 2017년 5월에 미 태평양 특수작전사령관, 2018년 8월에 [[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부|미 해병대 특수작전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재직 중 미군임대주택 등 부동산 관련 직권남용 등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2020년 6월 26일 [[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부|미 해병대 특수작전 사령관]]을 마지막으로 퇴역하였다. 그는 미국 해군대학원에서 미 해병대 전투잠수사 과정을 이수했고 공수학교 , 미 육군 [[레인저 스쿨|레인저 학교]]를 수료했다. [[파일:l7fLKdL.jpg]] 준장 시절의 대니얼 유. [[아프가니스탄]] 파병 시절의 사진이다. [[분류:미국의 군인]][[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1962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