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기업)] [include(틀:세계의 기업)] [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일본에서 [[대기업]]은 제도상으로는 법에 정의된 '[[중소기업]]'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 업종별로 기준에 차이가 있는데, 제조업의 경우 자본금 3억엔, 풀타임 종업원 300명까지가 중소기업이다.]을 뜻한다. 기업 중에서도 관례로서 오오테기업(大手企業)[* 유명 기업 중 각 업종의 톱을 차지하는 소수의 기업, 보통 자본금 1000억엔 이상의 회사.]・준오오테기업(準大手企業)[* 오오테와 중견 사이의 기업.]・중견기업(中堅企業)[* 대기업에 속하는 회사 중 자본금 10억 엔 미만의 기업 및 중소기업에 속하는 회사 중 자본금 1억엔 이상의 기업]으로 나뉜다. [[https://ja.wikipedia.org/wiki/%E5%A4%A7%E4%BC%81%E6%A5%AD|#]]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예시로 [[대형 사철]](大手私鉄)을 들 수 있다. 일본의 기업계는 19세기말 개화기에 수백년전부터 내려온 상인과 사족(士族)[* 일반적으로 전국시대와 막부의 각 영주를 모시던 무인 집단이지만, 나라가 안정되며 싸울일이 없어짐에 따라 칼만찬 문인화 되었다.]이 실업가로서 다수의 기업을 세운 것을 연원으로 한다. 초기부터 자본 형성과 서양 기술 흡수의 문제로 [[정경유착]]의 면모가 컸고[* 한 때 일본 최대 재벌이던 미쓰비시 또한 1870년대 일본과 대만 사이의 연락선 사업을 정부로부터 불하받고 해운업을 바탕으로 급성장하여 다른 분야에 문어발식 확장을 한 케이스다.], 20세기 전반의 일본 기업계는 혈족이 은행과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이끄는 소수 [[재벌/일본|재벌]]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2차대전 패전 후 [[GHQ|미군정]] 하에서 경제력 억제를 위해 재벌이 해체되면서[* 주요 재벌기업에 대해 기업체를 해체하는 한편 (기업주의 지분은 정부 채권을 떠넘겨 사실상 몰수하고, 기업은 신규 법인으로 사업을 쪼개 넘겼다) 전전 재벌의 상호를 쓰지 못하도록 하였다. 같은 패전국으로서 [[독일]]도 기업과 단체 활동이 제약받았는데, 이후 민정이 회복되면서 슬그머니 이전 체제로 상당히 돌아간 것도 비슷하다.], 일본의 기업계는 족벌이 배제되고 소유가 분산된 전문기업으로 재편되었다. 이 때의 기업들이 전전 재벌 시절의 연줄과 주거래 은행의 영향력으로 뭉쳐 들어간 것이 6대 그룹이나, 이미 한번 소유 분산이 되었기 때문에 이들간에 지분 관계는 극히 미약하다. (이 때문에 동시에 복수의 기업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대조적으로 재벌 해체를 면한 기업([[토요타]] 등)이나 2차대전 후에 일어난 기업([[소니]], [[혼다]] 등)은 자체적인 그룹 체제를 형성하고 있다. 고도성장기 후 일본 기업계에 변화를 가져온 두 가지 요인은 1997년의 [[지주회사]] 해금과 2000년대 시중은행 재편이다. 이 때문에 6대 그룹의 정체성이 희미해지는 등 전통 대기업의 재편이 이어졌으며, 기업 [[인수합병]]의 가속화로 복합기업이 늘어났다.[* 기본적으로 일본의 거대기업은 기업집단 소속으로든 다른 나라들처럼 대부분 복합기업의 성격을 갖는다. 이전 편집 이력에 지주회사와 자본관계가 생겼다는 이유로 기업 항목을 삭제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령 대형 영화사 [[토호]]가 한큐한신홀딩스 계열에 30% 정도 인수되었다고 삭제되었다) 엄연히 원래의 상호로 기존 사업을 영위하는 유명기업이다. 또한 [[도시바]], [[미쓰비시전기]] 등이 반도체에서 중공업에 이르는 사업영역을 보유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인접 분야에 대한 자연스러운 확장에 해당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복합기업으로 보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철도-부동산-유통, 유통-금융, 전자-엔터테인먼트 방향의 확장은 흔하게 일어난다.] 각 대기업은 일반적으로 수직계열화나 사업확장, 내부 아웃소싱을 목적으로 수많은 [[자회사]]를 거느린다.[* 보통 오오테 기업들은 적게는 수십 많게는 수천개의 자회사를 거느린다. 이 중에서는 자본금이 100억엔이 넘어가며 자신만의 사업 영역이 있어 모회사와 취급이 동일하거나 더 대우가 좋은 자회사가 있는반면, 모회사의 뒤치다꺼리만 해주며 차별이 심한 중소기업급 자회사까지 다양하다.][* 자본금 100억엔 이상의 기업은 일본 800위권 기업 안에 들 정도로 희소하다.[[https://minkabu.jp/financial_item_ranking/capital?page=40|#]] 이는 전체 일본 기업 중 4.5% 밖에 되지 않는다. 딱 100억엔에 걸친 대표적인 기업이 바로 잘 알려진 [[반다이 남코 홀딩스]]. 자본금 순위로는 793위[[https://minkabu.jp/stock/7832|#]]이다.] 한국과 비교해도 일본은 자회사가 많은 편인데, 이는 모회사를 중심으로 두고 특정 사업부를 자회사로 분가시키는 일본 특유의 기업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으로 치면 [[삼성]]이라는 모기업이 있고 그 아래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삼성물산]]이라는 자회사가 존재하는 격. 특히 원래 목적이 사업중개인 종합상사는 태생적으로 타업종 자회사가 많은데, 가령 일본 2, 3위 편의점인 로손과 패밀리마트는 각각 미쓰비시상사와 이토추상사가 대주주이다. == 기업 목록 == === 기업집단 === ==== 6대 그룹 ==== 1950~60년대 고도성장기에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결성된 기업집단이다. 표면상으로는 친목단체임을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여기서 사업 협력이나 조정이 이루어졌다. 6대 은행 외에도 소규모 은행 또한 유사한 기업간 단체가 있었다. [[재벌/일본]] 참고.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자관계보다는 은행 중심의 대출관계로 묶인 집단이어서 특히 구 재벌의 직계가 아닌 후요, 산와, 다이이치칸교 그룹은 다른 곳과 중복으로 겹친 회사가 많다. || 그룹명 || 주축은행 및 핵심계열사[* 그룹 내 관계에서 핵심이 되는 회사를 통상 고산케(御三家)로 지칭한다. 재벌 창업기나 그룹 결성 때 세력관계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유명세나 회사 규모는 크지 않을 경우도 있다.] || 전전 재벌 관계 || || [[미쓰비시그룹|미쓰비시(三菱)]] || 미쓰비시은행[* 현 [[미쓰비시 UFJ 은행]]. ], 미쓰비시상사, 미쓰비시중공업 || 구 미쓰비시재벌 || || [[미쓰이그룹|미쓰이(三井)]] || 미쓰이은행[* 현 [[미쓰이스미토모은행]]. ], 미쓰이물산, 미쓰이부동산|| 구 미쓰이재벌 || || [[스미토모 그룹|스미토모(住友)]] || 스미토모은행[* 현 [[미쓰이스미토모은행]]. ], [[스미토모상사]], 스미토모화학, 스미토모세이카[* [[스미토모세이카폴리머스코리아]]의 모회사]]. || 구 스미토모 재벌 || || [[후요 그룹|후요(芙蓉)]] || 후지은행[* 현 [[미즈호 은행]]. ] 중심 || 구 야스다, 아사노, 닛산 || || 산와(三和) || 산와은행[* 현 [[미쓰비시 도쿄 UFJ 은행]]. ] 중심[* 간사이 지역 기업이 중심으로 구 재벌과의 연관성이 약하다.] || || || 다이이치칸교(第一勧銀) || 다이이치은행[* 이후 니혼칸교은행과 합병하여 다이이치칸교은행이 되었으며 현재는 [[미즈호 은행]]. ] 중심 || 구 후루카와, 가와사키, 시부사와 || ==== 이외 유명 기업집단과 복합기업 ==== * [[토요타]] 그룹[* [[토요타]] 자동차는 [[미쓰이그룹]]에도 가입해 있으며, 토요다 가문은 현 토요다 아키오 사장을 포함해 대대로 미쓰이 일족 및 방계와 결혼 관계로 묶여 있다. 다만 토요타가 규모가 규모다 보니 미쓰이에 종속되어 있지는 않다.] : 원래 방직기계를 만들던 토요'''다'''자동직기제작소(현 토요타자동직기)에서 태동된 기업으로 [[아이신]], [[덴소]], [[다이하츠]], [[히노자동차]], 토요타홈 등의 계열사를 품고 있다. 대부분의 계열사가 자동차 산업에 관련되어 있으며 토요타에서 취급하지 않는 경차나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하는 등 실질적으로 토요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소니]] 그룹: 일본에서 [[자회사]] 수가 가장 많은 기업이다. * 전자 : 소니 홈 엔터테인멘트 & 사운드 프로덕트, 소니 이미징 프로덕트 & 솔루션즈,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소니 모바일]] 등 * 엔터테인먼트 : [[소니 뮤직]],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소니 픽처스]], [[컬럼비아 픽처스]], 트라이스타 픽처스, 소니 픽쳐스 텔레비전,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애니맥스]], [[애니플렉스]], [[크런치롤]], [[퍼니메이션]],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게임을 좋아한다면 최소 이름은 들어봤을 그 [[PlayStation]]을 만든 회사다.] 등 * 금융 : 소니 파이낸셜 홀딩스 산하에 소니 은행, 소니 생명보험, 소니 손해보험, 소니 라이프 에이코 생명 등. * [[반다이 남코 홀딩스]] * [[한큐한신토호그룹]] * [[히타치 제작소|히타치제작소]] : 본업인 전기, 전자, 중전기 외에 계열사로 화학, 금속 등의 업종이 있다. 자회사 수로는 소니에 이은 두번째. * [[소프트뱅크 그룹]] : 인터넷과 통신 서비스가 중심이나 금융과 엔터테인먼트에도 손을 뻗고 있다. [[SBI저축은행]]이 산하에 있는 SBI 그룹은 과거 계열사. === 건설 === * 다이와하우스공업 - 조립식 주택을 주로 건설하는 일본 최대의 주택 건설업체. 공장, 쇼핑 센터, 골프장 등도 건설한다. * 세키스이하우스 - 일본에서 2번째로 큰 주택 건설업체. * 오바야시구미 - 종합건설업체로 [[도쿄 스카이트리]]를 건설한 그 회사다. 최근 [[우주 엘리베이터]]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 [[카지마건설]] - 도로, 철도 건설을 비롯한 토목 위주의 회사. * 시미즈건설 - '''1804년'''에 창립한 회사. * 다이세이건설 - 다른 건설업체와 비교할 때 토목의 비중이 높은 회사이다. * 다케나카공무점 - '''1610'''년부에 창립되어 4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건설업체. 비상장기업이다. * 하세코 - 맨션 건설의 비중이 높은 회사이다.[* 일본에서는 한국식 아파트는 맨션이라고 부른다.] * 인프로니어 홀딩스 - [[마에다건설|마에다건설공업]]을 산하에 두고 있다. * JGC 홀딩스 * 콤시스 홀딩스 === 임업 === * 스미토모임업 === 파칭코 === * [[마루한]] : 어느 나라에서나 터부시되는 업종이긴 하나 연매출이 2조 엔에 육박하는 대기업이다. 창업자는 [[한국계 일본인]] [[한창우]] 사장. === 유통 === * [[다이소(일본)|다이소]] * 세븐&아이 홀딩스 : 세븐일레븐, 이토 요카도(수퍼마켓), 소고(백화점), 아리오몰(쇼핑몰), 로프트(잡화점), 프랑프랑(인테리어 숍), 아카짱 혼포(어린이용품) 외 * [[이온그룹]][* 한국의 [[롯데그룹]], [[신세계그룹]]과 같은 유통 기업. 편의점 [[미니스톱]]이 이 회사 소속이다.] * [[마루이|마루이그룹]] * [[미츠코시 이세탄|미츠코시이세탄 홀딩스]] * [[H2O 리테일링]] : [[한큐백화점]], [[한신백화점]], 헵파이브 * [[킨테츠 그룹|킨테츠 그룹 홀딩스]] : [[아베노하루카스]], 킨테츠 백화점, 킨테츠 미야코 호텔, [[가이유칸]], hoop * 다카시마야 * [[atré|아토레]] * [[요도바시 카메라]] * [[야마다 덴키]] * [[빅 카메라]] * [[돈키호테(할인잡화점)|돈키호테]] * [[무인양품]] * [[니토리|니토리 홀딩스]] * [[츠타야]] * DCM홀딩스 * 세리아 * 베이시아그룹 * J프론트 리테일링 : 다이마루, 마쓰자카야, 파르코 등 * [[도큐 전철|도큐그룹]] : 도큐 백화점, 도큐 플라자, 큐즈몰, 도큐 호텔, 109, 도큐 핸즈 외 === 편의점[* 세개 회사를 묶어서 편의점 대기업 3사(コンビニ大手3社)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 === * [[세븐일레븐]] * [[패밀리마트]] * [[로손]] - 미쓰비시계 === 슈퍼마켓(SSM) === * 유나이티드 슈퍼마켓 홀딩스 * 바로 홀딩스 * 라이프 코퍼레이션 * 아크스 * 야오코 * 오케이주식회사 * 이즈미 * 헤이와도 * 벨크 === 드러그스토어 === * [[마쓰모토 키요시|마쓰모토키요시 홀딩스]] * 웰시아 홀딩스 * 쓰루하 홀딩스 * 코스모스약품 * 선드럭 * 수기 홀딩스 * 크리에이트 SD 홀딩스 * 아인 홀딩스 * 쿠스리노아오키 홀딩스 === 도매 === * 메디팔 홀딩스 * 알프레사 홀딩스 * 스즈켄 * 토호 홀딩스[* [[도호|도호주식회사]], 도호가스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 가토산업 * 아라타 코퍼레이션 === 물류 / 운송 === * [[일본통운]] : 일본 최대의 종합물류업체. * [[야마토 운수|야마토 홀딩스]][* 야마토 운수의 모회사.] * SG 홀딩스[* 사가와 규빈의 모회사.] * 세이노 홀딩스 * 센코그룹 홀딩스 * 산큐 * SBS 홀딩스 * 후쿠야마통운 * 코노이케운송 === 방송 / 엔터테인먼트 === * [[후지TV]] * [[TBS 테레비]] * [[닛폰 테레비]] * [[테레비 아사히]] * [[에이벡스]] * [[호리프로]] * [[아뮤즈]] * [[요시모토흥업]] * [[도호]] * [[토에이]] * [[쇼치쿠]] * [[스튜디오 지브리]] === 광고 === * [[덴츠]] * [[하쿠호도|하쿠호도 DY 홀딩스]] === 영화관 === * [[도호]]의 [[TOHO 시네마즈]] * [[이온그룹]]의 [[이온시네마]] * [[도큐 전철|도큐그룹]]의 [[109 시네마즈]] * [[쇼치쿠]]의 [[쇼치쿠멀티플렉스시어터즈]] === 테마파크 === * [[오리엔탈랜드]][* [[도쿄 디즈니 리조트]]를 운영하고 있다. '''시가총액은 90조원'''.] === 자동차 / 오토바이 === * [[토요타]] * [[다이하츠]] * [[히노자동차]] * [[혼다]] * [[닛산]][*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체제.] * [[미쓰비시 자동차]][* [[닛산]]이 최대주주이지만 모회사가 아니다. 닛산과 자본제휴 관계이다.(닛산 지분 34%)] * [[마쓰다주식회사|마쓰다]] * [[스바루(자동차)|SUBARU]][* 구 [[스바루 주식회사|후지중공업]]에서 2017년 자동차 브랜드에 맞춰 사명을 바꿨다. 로마자가 정식 표기. 토요타가 최대주주이지만 모회사가 아니다. 토요타와 자본제휴 관계이다. (토요타 지분 20%)] * [[스즈키(자동차)|스즈키]] * [[야마하 모터]][* [[야마하|야마하 주식회사]]에서 분할.] * [[가와사키 중공업|가와사키 중공업]] * [[이스즈자동차]] * [[UD 트럭]][* 이스즈자동차의 100% 완전자회사.] * [[미쓰비시 후소]][* [[다임러]] 그룹으로 편입.] === 자동차 / 오토바이 부품 === * [[덴소]] * [[아이신]] * 토요타 자동직기 * 토요타 방직 * 토요다 고세이 * [[미쓰비시전기]] * 제이텍트 * 코이토제작소 - 도요타계. 차량, 항공용 전등장치 세계 최대 점유율. * 야자키총업 * 일본정공(NSK) - 베어링 대기업 * NOK - 소재의 강점으로 자동차,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부품 대기업 * NHK Spring * 일본특수도업(Niterra) * 스탠리일렉트릭 * 도카이리카 * NTN - 베어링 대기업 * 티에스테크 - 혼다계 * 니프코 - 공업용 플라스틱 패스너 세계 최대 점유율 * 스미토모 리코 * KYB * 야치요공업 * NS * 닛신보 * 토피 - 휠, 무한궤도 대기업 * EXEDY * 쓰바키모토체인 * 무사시정밀공업 * 에프텍 * 유니프레스 * TPR * 후타바산업 * [[자트코]] * [[아이치기기공업]] * 마부치모터 * 미츠바 - 오토바이용 모터에 있어 세계적인 기업. === 타이어 생산업체 === * [[브리지스톤]] * 스미토모 고무공업 - 일본 2위의 타이어 생산업체. 팔켄(Falken)이라는 브랜드로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또 [[던롭 타이어|던롭]]브랜드의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러시아 지역 사업권을 소유하고 있다. * [[요코하마 고무]] - 일본 3위의 타이어 생산업체. * [[토요(동음이의어)|토요 타이어]] === 종합상사 === * [[미쓰비시 상사]] * [[미쓰이물산]] * [[스미토모상사]] * [[이토추]] * [[마루베니]] * 도요타 통상 * [[소지츠]] [* 마루베니까지를 5대상사, 도요타 통상과 소지츠를 포함한 7개사를 7대상사라고 부른다.] * 가네마쓰 === 전문상사 === * 일철물산 * JFE상사 * 이토추마루베니철강 * 메탈원 * 한와흥업 * 오카야강기 * 다이와보 홀딩스 * 나가세산업 * 이와타니산업 * 이나바타산업 * 야마젠 * 신쇼상사 === 중공업 / 금속 === * [[미쓰비시 중공업]] * [[가와사키 중공업]] * [[스바루(기업)|스바루]][* 구 후지중공업. 2017년에 사명이 바뀌었다.] * [[일본제철]] * [[IHI]] * JFE 홀딩스 * 미쓰비시머테리얼 * [[스미토모전기공업]] * 스미토모금속광산 * 미쓰이 E&S * 미쓰이금속광업 * 미쓰이 하이텍 * JX금속 * 후루카와전기공업 * 후지쿠라 * UACJ * 도요제관그룹 홀딩스 * YKK * 산와 홀딩스 * 다이도특수강 * 도쿄제철 * 마루이치강관 * DOWA 홀딩스 * 이마바리조선 * [[신메이와]] * [[고베제강]] * 산쿄 다테야마 - 일본 알루미늄 업체 중 3위이자 각종 건설 자제를 생산하는 기업. === 기계 / 장비 === * [[쿠보타(기업)|구보다]] - 농기계 회사. * [[코마츠 제작소]] - 건설기계 및 가공기계 제조업체. * 토요타 자동직기 - [[지게차]], [[역직기]] 세계 1위 [* [[지게차]] 등의 산업차량이 매출액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https://www.toyota-shokki.co.jp/investors/earnings/divisions/|#]][[https://www.toyota-shokki.co.jp/products/industrial_vehicles/index.html|#]] ] * [[화낙]] * [[야스카와전기]] * [[미쓰비시전기]] - 공장 자동화기기 세계 TOP 3 [* 시가총액이 45조원을 넘는다.] * [[SMC]] - 공기압 제어장치를 주로 생산하며 이 부분에 있어서 세계 시장 점유율 30%를 유지하는 제조업체이다. * [[마끼다]] * [[시마노]] * 히타치건설기계 * 스미토모중기계공업 * [[후지전기]] * [[얀마]] - 농기계, 중장비 제작사. * [[에바라제작소]] * 다이후쿠 * [[시마즈 제작소]] * 무라타기계 [* [[무라타 제작소]]와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 DMG모리세이키 * 야마자키마작 * 요꼬가와전기 * 아마다 - 각종 대형 판금장비 대기업 * 나브테스코 * 쿠리타공업 * 호시자키 * 아즈빌 * [[호리바 제작소]] * 메이덴샤 * 나치후지코시 * 오쿠마 * 마키노후라이스제작소 * 미쓰이해양개발 * OSG * FUJI * JUKI * 다이헨 * 후지테크 * 미우라공업 * CKD * [[미쓰도요]] * 다케우치제작소 * [[이세키]] === 의료기기 === * 테루모 * 시스멕스 * 니프로 * PHC 홀딩스 * 니혼고덴 === 임상검사업체 === * H.U.그룹 홀딩스 [* 구. 미라카 홀딩스. PCR·항원검사·항체검사키트를 만들고 있는 회사다.] * 비엠엘 [* PCR·항원검사·항체검사키트를 만들고 있는 회사다.] === 철도 === * [[대형 사철]] 16개사 전부. 다만 [[도쿄메트로]]와 [[오사카메트로]]는 뭔가 모호하다.[* 이쪽은 지분이 재무성이랑 도쿄도와 오사카시가 보유하고 있으며 사실상 공기업에 가깝다.] * [[JR 동일본]], [[JR 서일본]], [[JR 도카이]], [[JR 큐슈]][* 다른 3개 계열사([[JR 홋카이도]], [[JR 시코쿠]], [[JR 화물]])는 국토교통성 산하 기관으로 남아 있다.] === 해운 === * 일본우선 (NYK Line) * 상선미쓰이 (MOL Line) * 카와사키키센 ([[K Line]]) === 항공 === * [[일본항공]] (JAL) * [[전일본공수]] (ANA) * [[피치 항공]][* ANA가 지분 77.9%를 보유하고 자회사로 편입했다.] * [[스카이마크 항공]] * [[스타플라이어]] * [[일본화물항공]] === 게임 === * [[닌텐도]] * [[소니]]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세가 사미 홀딩스]] * [[스퀘어 에닉스|스퀘어 에닉스 홀딩스]] * [[캡콤]] * [[코나미|코나미 그룹]] * [[DeNA]] * [[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 [[코에이 테크모|코에이테크모 홀딩스]] * [[그리(기업)|그리]] === 음향기기 === * [[야마하]] * [[소니]] * [[JVC|JVC 켄우드]] * [[오디오테크니카]] * [[파나소닉]] * 포스터전기 (포스텍스) * [[파이오니아]] * [[온쿄]] * [[데논]] * [[마란츠]] * [[티악]] === 인쇄 === * [[다이니폰인쇄]] * [[돗판인쇄]] === 카메라 등 광학기기 === * [[소니]] * [[캐논(기업)|캐논]] * [[니콘]] * [[HOYA]][* 광학 및 헬스케어 회사. 안경렌즈에서 반도체 마스크까지 꽤 넓은 영역을 손대고 있다. 최근 [[펜탁스]]그룹을 인수 했으나, 만성 적자인 카메라 사업부만 리코에게 매각하고 흑자인 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부만 보유중이다.] * [[파나소닉]] * [[후지필름]] * [[올림푸스(기업)|올림푸스]][* 2020년 9월 30일 카메라 등 영상 사업을 분사하여 일본산업파트너스(JIP에 매각했으며, 후술할 OM 디지털 솔루션즈가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 [[OM Digital Solutions]][* JIP가 올림푸스의 카메라 등 영상 사업부를 양도받아, 새로 설립한 별도의 회사.] * [[RICOH|리코]] * [[코니카 미놀타]] * [[시그마(회사)|시그마]] * JEOL * 톱콘 * 우시오전기 * [[교세라]] * [[토키나]] * [[탐론]] * 코시나 === 전자 / 컴퓨터 === * [[소니]] * [[파나소닉]] * [[히타치 제작소]] * [[미쓰비시전기]] * [[후지쯔]] * [[NEC]] * [[도시바]] * [[키오시아]] * [[샤프(기업)|샤프]] * [[다이킨공업]][* 화학제품도 만든다.] * [[발뮤다]] * [[와콤]] * [[린나이]] * [[버팔로#s-2.3|버팔로]] * 아이리스오야마[* 생활용품도 만든다.] * 팔로마 * 엘레컴 === 사무기기 === * [[캐논(기업)|캐논]] * [[RICOH|리코]] * [[PFU]][* 이미지 스캐너 세계 점유율 1위] * [[브라더 공업]] * [[세이코 엡손]] * [[교세라 도큐먼트 솔루션스]][* 구 미타공업] * [[코니카 미놀타]] * [[샤프(기업)|샤프]] * [[도시바]] * [[후지필름]] === 전자 부품 === * [[교세라]] * [[TDK]] * 니덱 - [[브러시리스 모터]]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 1위. [* 구. 일본전산.] * [[무라타 제작소]] - 콘덴서를 주력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업체. * [[키엔스]] - 각종 센서 및 자동제어기기, 계측기기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 '''영업이익률이 50%를 넘는다.''' 2019년 기준 연간 매출 5,871억 엔, '''영업이익 3,179억 엔'''을 기록하고있다.] * [[도쿄 일렉트론]] *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 [[라피더스]] * [[오므론]] * 미네베아 미쓰미 * 아드반테스트 * 다이요유덴 * 이비덴 * 로옴 * 스크린 홀딩스 * [[디스코|DISCO]] * 니혼가이시 * [[SUMCO]] * 신코전기공업 * [[미스미(기업)|미스미그룹]] * THK * 알프스알파인 - 종합전자부품 제조업체 * 하마마쓰포토닉스 * 레이저텍[* 시가총액이 20조원을 넘는다.] - 반도체 검사장비 * GS유아사 * [[오키전기공업]] * 알박 * 히로세전기 * 동경정밀 * 페로텍 * 산켄전기 * 호시덴 * 소시오넥스트 * 안리쓰 * 로체 === 화학 / 소재 === * [[스미토모화학]] * 스미토모세이카[* 스미토모정밀화학, 스미토모세이카폴리머스코리아의 모회사] * 스미토모베이크라이트 * 신에츠화학공업 * [[아사히카세이]] * 미쓰비시케미컬 그룹[* 구. 미쓰비시 케미칼 홀딩스.] * 타이요닛산 * 미쓰이화학 * 스미토모화학 * [[도레이]] * 닛토덴코 * 토소 * [[레조낙|레조낙홀딩스]][* 구. 쇼와덴코.] * 세키스이화학공업 * 니폰페인트 홀딩스 * [[테이진]] * 에어워터 * 오사카 소다 * DIC * 미쓰비시가스화학 * [[쿠라레#s-5|쿠라레]] * 카네카[* 검사키트도 만든다.] * UBE[* 구. 우베코산.] * 닛신보 홀딩스 * 다이셀 * 니치아화학공업 * 덴카 * 간사이페인트 * 일본제온 * JSR * 니치유 * 아데카 * 토요보 * 일본촉매 * [[도쿠야마]] * 닛산화학[* 닛산자동차와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 린텍 * 아이카공업 * 도쿄오카공업 * 산요화성공업 * 칫소[* JNC의 모회사.] * 덱세리알즈 * 일본화약 === 정유 === * [[ENEOS|ENEOS 홀딩스]] * 이데미쓰고산 * 코스모에너지 홀딩스[* 코스모석유의 모회사.] === 광업 === * [[인펙스|INPEX]] [* 구. 국제석유개발제석.] === 제약 회사 === * 다케다약품공업[* 한국에서는 다케다 제약에서 알려져 있다.] * [[동아오츠카|오츠카 홀딩스]][* 오츠카 제약의 모회사. 포카리스웨트, 오로나민C, 우르오스 외.] * 아스텔라스 제약 * 다이이찌산쿄 * 에자이 * [[시오노기 제약]] * 오노약품공업 * 쿄와기린 * 다나베미쓰비시제약 * 스미토모제약[* 구. 대일본스미토모제약.] * 주가이제약[* 한국의 JW중외제약과는 한자가 동일하나 관계가 없다. 뭐 아주 없는것은 아니고 1945년 일본 주가이(中外)제약의 경성지점을 인수하면서 조선중외제약이라는 이름으로 창업했으므로 연결고리가 있다고나 볼까? 상호 지분관계야 전혀 없지만 이후로도 일본 주가이제약과 기술제휴 등을 해와서 어느 정도 친밀도는 있다고 볼 수 있다.] * 타이쇼제약 홀딩스 * 코바야시제약[* [[아이봉]] 외.] * 사와이그룹 * 코와[* [[카베진]] 외.] * 산텐제약 * [[로토제약]] * 히사미츠제약 * 쓰무라 * 니폰신약 * 도와약품 === 제지 회사 === * [[오지(동음이의어)|오지 홀딩스]] * 닛폰제지 * 렝고 * 미쓰비시 제지 * 호쿠에츠코퍼레이션 * [[다이오 제지]][* 군기저귀, 엘리에르 외.] === 생활용품 === * [[라이온(기업)|라이온]] * [[시세이도]] * [[NARS]] * [[유니참]] * [[카오(기업)|카오]] * 가네보 * [[고세(일본 기업)|고세]] * 폴라오르비스 홀딩스 * 판클 * 크라시에 홀딩스 * 노애비아 홀딩스 * 밀본 * 호유 * [[피죤]] * [[요기보]] * 써모스 * [[DHC]] * RMK * 맨담 * 키스미 * 코스메 데코르테 * [[멘소래담]] === 의류회사 === * [[유니클로]] * [[GU]] * 라이트온 * 띠어리 * [[ABC마트]] * [[아식스]] * 오니츠카 타이거 * [[미즈노(브랜드)|미즈노]] * [[데상트]] * [[요넥스]] * [[닥스]] * [[프레드 페리]] * [[몽벨]] * [[아다스트리아]] * 골드윈[* [[노스페이스]] 브랜드의 아시아 영업 총괄 라이선스를 보유하고있다.] * [[꼼데가르송]] * 이세이미야케 * [[요지 야마모토]] * [[사만사 타바사]] * [[요시다 컴퍼니]] * 레스포삭[* 2011년에 이토추상사가 인수하여 브랜드 소유권이 넘어갔다.] * [[ZETT]] * [[아오야마]] * 와코루 * 미키하우스 * [[시마무라]] * 알펜 === 시계 업체 === * [[SEIKO|세이코]] * [[CITIZEN|시티즌]] * [[CASIO|카시오]] === 보석류 제조업체 === * [[미키모토]] === 필기구 === * [[파이롯트]] * [[플래티넘 문구]] * [[Sailor|세일러]] * [[제브라(문구회사)|제브라]] * [[미쓰비시 연필]] * [[펜텔]] * [[KOKUYO|코쿠요]] * [[톰보연필]] === 악기 === * [[야마하]] * [[Kawai Musical Instruments|카와이 악기 제작소]] * [[Roland]] * [[KORG]] * [[CASIO]] === IT / 통신 === * [[NTT]] - [[NTT 도코모]], NTT 데이터, [[구|Goo]], d마켓, d카드, d바라이 외 * [[소프트뱅크 그룹]] * [[KDDI]] - au, au pay 마켓, au pay 카드, au pay * [[후지쯔]] * [[NEC]] * [[라쿠텐|라쿠텐 그룹]] - 라쿠텐 이치바, 라쿠텐 카드, 라쿠텐 Edy, 라쿠텐 Pay, [[라쿠텐 모바일]][* 라쿠텐의 100% 완전 자회사] * [[리크루트 홀딩스]] * 니프티 * [[라인(기업)|라인]] * [[CyberAgent|사이버에이전트]] - [[Ameba]], [[Cygames]][* 자회사이며 중견기업 취급] * TIS * SCSK * BIPROGY * 이토추테크노솔루션 * 오오츠카상회[* 오오츠카 홀딩스와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 트랜스코스모스 * 후지소프트 * GMO인터넷그룹 * OBIC[* 매출은 9,000억원 정도이지만 영업이익률이 50 %를 넘는다. 시가총액은 20조원.] * 엠쓰리 (M3주식회사)[* 소니그룹이 최대주주이지만 모회사가 아니다. 소니그룹과 자본제휴 관계이다. (소니그룹 지분 34%) 한국에서는 메디게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연간 매출 1조 4,000억원, 영업이익 3,800억원, 시가총액은 20조원.] - 온라인 의료 서비스 제공 * A홀딩스[* 야후 재팬과 라인의 합자회사.] * NSSOL[* [[일본제철]] 산하의 자회사로 SI업계 중 5위에 랭크하고 있다.] * NRI[* [[노무라홀딩스|]]의 지분법 적용 관련회사. SI업계 중 3위에 랭크하고 있다.] * 히카리통신 * [[pixiv]] === 보안 === * [[세콤]] - 일본 최대의 종합보안업체. * 종합경비보장(綜合警備保障) - ALSOK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 호찌키 - 화재경보기 제조업체로, 그 외 소화 설비 및 보안시스템의 개발, 제조, 유지에 있어 일본에서 선도적인 업체이다. * 파크24 - 일본 최대의 주차장관리 회사. 타임즈(Times)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 아마노 - 일본 주차장관리 회사. 일본에서 선도적인 업체이다. === 요업 === * [[AGC]] [* 구. 아사히글라스, 세계 최대의 유리 회사.] * 일본판유리 * [[토토|TOTO]] * 릭실 - [[아메리칸 스탠다드]], TOSTEM, INAX * 도카이카본 * 일본전기초자 * 아반스트레이트 * 센트럴글래스 * 니치아스 === 식음료 === * [[롯데]][* 주로 식품업계에서 활동한다. 시작은 일본에서 했으나 후에 롯데 한국법인을 낸 이후 한국 롯데가 더 커져버린 특이한 케이스.] * [[아지노모토]] * 닛폰햄 * [[글리코]] * [[메이지(식품회사)|메이지 홀딩스]] * [[가루비]] * [[모리나가]] * [[아사히 맥주|아사히그룹 홀딩스]][* 자회사에 [[필스너 우르켈]], [[코젤]], [[KGB|KGB 보드카]], 페로니, [[그롤쉬]] 등.] * [[기린맥주|기린 홀딩스]] * [[산토리|산토리 홀딩스]][* 자회사에 [[오랑지나]], [[짐빔]] 등.] * [[야쿠르트 혼샤]] * 닛신오일리오그룹[* 닛신식품과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 니치레이 * 하고로모 푸즈 * 다카라홀딩스 * 닛신제분그룹[* 닛신식품과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 칸로 * 닛스이[* 구. 일본수산.] * 마루하니치로 * 이토햄요네큐홀딩스 * 유키지루시메그밀크 * [[하우스식품]] * [[큐피#s-2|큐피]] * [[킷코만|깃코만]] * 닛픈[* 구. 일본제분.] * [[닛신식품]] * 도요수산 * [[야마자키#s-3|야마자키 제빵]][* 일본 최대의 제빵업체.] * [[이토엔]][* 차, 음료, 커피 등을 취급한다.] * 가고메 * [[UCC]] * 젠쇼홀딩스 * [[스시로]][* 모회사인 푸드&라이프 컴퍼니스가 도쿄증권거래소 1부에 상장하고 있다.] * [[요시노야]] * [[사보텐]] * 마루가메 제면 * [[모스버거]] * [[호토모토]] === 기호품 === * [[일본담배산업]] === 은행 / 금융 === * [[미쓰비시 UFJ 은행]] * [[미쓰이스미토모은행]] * [[미즈호은행]] * [[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 :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는 독립된 금융지주. 일본 최대 신탁은행이며, 총자산운용액(AUM) 기준 일본 및 아시아 1위의 자산운용사이다. * [[JCB]] * [[유초은행]] * [[일본우정]] : 구 우정성에서 내려오는 우편, 은행, 보험 사업을 거느린 지주회사로 아직 대부분의 지분을 정부에서 들고 있지만 상장사이다. * [[노무라 증권]] * 다이와증권그룹 * 오릭스 : 일본 최대 리스회사. 칸사이국제공항, 태양광발전 등 사업운영에도 진출한 회사.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와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해 있다. * [[SBI저축은행|SBI홀딩스]] * 미쓰비시 HC 캐피탈 : 미쓰비시 UFJ과는 독립된 금융지주. * 도쿄센츄리[* 구. 센츄리리싱시스템.] * [[리소나 은행]] === 보험회사 === * [[일본생명보험]] : 일본에서 3번째로 오래된 생명보험회사의 그룹. 일본의 생명보험 중 최대의 보험회사이다. * 다이이치생명 홀딩스 * 메이지야스다생명 * 스미토모생명 이상이 일본 4대 생명보험회사. * 간포생명 * T&D 홀딩스 * 후코쿠생명 * [[도쿄해상홀딩스]] : 1879년에 창업, 일본 최초의 손해보험사 그룹. 일본의 손해보험 중 최대의 손해보험사이다. // [[미쓰비시 그룹]] 소속 * MS&AD인슈어런스그룹 홀딩스 * SOMPO 홀딩스 === 부동산회사 === * 미쓰비시지소 * [[미쓰이부동산]] : 라라 포트, 미쓰이 아울렛 파크 등 대형 쇼핑몰이 유명하다. * 스미토모부동산 * 이이다그룹 홀딩스 * 다이토건탁 * 도큐부동산 홀딩스 * 오픈하우스그룹 * [[노무라 부동산|노무라부동산 홀딩스]][* 노무라 증권으로부터 1957년 분리독립했다.] * 휴릭 * 모리빌딩[* [[상하이 세계금융센터]]를 소유하고 있다.] === 전력회사 === * [[도쿄전력]][* 아시아 최대이자 세계 4위의 거대 전력회사이며 [[만악의 근원]]이다. 자세한 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참조하자.] * [[간사이전력]] * [[주부전력]] * [[규슈전력]] * [[호쿠리쿠전력]] * [[홋카이도전력]] === 가스회사 === * 도쿄가스 * 오사카가스 * 도호가스[* [[도호|도호주식회사]]와 관련이 없는 다른 회사이다. 한자부터도 다르다. ] * 사이부가스 * 홋카이도가스 === 여행사 === * JTB - 일본 최대의 여행사. === 교육 === * 베네세 코퍼레이션 - [[줄무늬 호랑이 시마지로|아이챌린지]](こどもちゃれんじ), 진연 세미나 외 * [[구몬]] === 완구 / 모형 === * [[반다이]] * [[타미야 모형|타미야]] * [[아오시마(모형 메이커)]] * [[타카라토미]][* [[타카라(기업)]] 및 [[TOMY]]의 합병회사] * [[산리오]] [[분류:일본의 기업]][[분류:일본의 기업집단]][[분류:일본의 기업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