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1 大邱北連結線 / Daegu North Branch Line}}} ||<-2> {{{#fff '''{{{+2 대구북연결선}}}''' [br] 大邱北連結線 / Daegu Northern Connecting Line}}} || ||<-2> [[파일:대구북연결선2022.png|width=300]]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10103 || || '''노선명''' || 경부고속선 대구북연결선 || || '''종류''' || [[지선철도]], [[고속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 3.5㎞ || || '''궤간''' || 1,435㎜ || || '''역수''' || 1 || || '''기점''' || 신동연결선분기[* KPR 234k900 지점] || || '''종점''' || 신동~지천간 도중분기[* 경부선 313.3㎞ 지점]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 || '''최고속도''' || 160km/h[* 설계최고속도이며 실제 운행속도는 약 90km/h 이다.] || || '''신호장비'''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열차자동방호장치|ATP]] || || '''선로 수''' || [[복선|2]] || || '''개업일''' || [[2004년]] [[4월 1일]] || || '''운영노선''' || [[KTX]], [[SRT]]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선]] [[신동역]]분기점과 [[경부선]] [[동대구역]]을 잇는 경부고속선의 지선이다. == 상세 == || [[파일:서대구정차ktx.png|width=500]] || || {{{#d93f5c ●}}}{{{#00D8FF ●}}} [[서대구역]]을 경유하는 고속열차의 운행 경로[br]{{{#47C83E ●}}} 서대구역 미정차 고속열차의 운행 경로 || 2004년 경부고속선 1단계 ([[서울역]]~[[동대구역]]) 구간이 개통할 때, 이곳을 고속선 종점으로 계획하여 개통하였다. 2015년 8월 1일, 대구 도심구간[* 대구북연결선과의 합류지점 신동역 ~ 동대구역 동측 지점.]의 고속선 연장 개통으로 모든 고속열차가 해당 구간을 운영하지 않게 되었다가, 2022년 3월 31일에 개통한 [[서대구역]]으로 인해 방치되었던 대구북연결선이 다시 활성화되어 하루 왕복 36~38회정도 KTX와 SRT가 이곳을 경유한다. 기존 이 선로를 경유할 경우 신동분기점에서 현 서대구역 위치까지 9분이 걸렸지만[* 물론 현재는 대구북연결선을 경유하는 모든 고속열차가 서대구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조금 더 시간이 늘어나긴 했다.], 추후에 개통된 대구도심구간 경유시 4~5분이 소요된다. 겨우 5, 6분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에 서대구역에 정차할 경우에도 [[수원 경유 KTX]], [[구포 경유 KTX]]와 유형이 전혀 다르며 일반 지선을 이용함에도 시간적으로 손실이 매우 적어서 타당성이 높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대구 경유 KTX, SRT]] 문서 참조. == 여담 == 사실 이 근방에 지선 외에도 경부고속선과 연결되는 경부선 지선이 하나 더 [[약목역]] 북부에 존재한다. 이 선로는 경부선상에 있는 약목보수기지와 연결되는 '''약목보수기지선'''으로, 단선 비전철이다. 이 기지에는 고속철도 보선장비가 유치돼 있어 점검을 용도로 기지와 고속선을 종종 드나든다. [[분류:경부고속선]][[분류:경부선의 지선철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04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