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산하기관)] ||<-2> {{{+1 {{{#ffffff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br]'''{{{#ffffff 大邱公共施設管理公團[br]Daegu Public Facilities Corporati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S11 시그니처-활용형-국영문 좌우조합형.png |width=100%]]}}} || || '''설립일''' ||[[2022년]] [[10월 1일]] || || '''대표자''' ||[[문기봉]] || || '''직원 수''' ||1,389명^^{{{-2 (2022년 기준)}}}^^ || || '''자본금''' ||5,988억원^^{{{-2 (2022년 기준)}}}^^ || || '''매출액''' ||2,321억원^^{{{-2 (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0원^^{{{-2 (2022년 기준)}}}^^ || || '''당기순이익''' ||2억 1,900만원^^{{{-2 (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6,184억원^^{{{-2 (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196억원^^{{{-2 (2022년 기준)}}}^^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너비=100%)]}}}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청사''' {{{-2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로]] 29 ([[대명동(대구)|대명동]])}}} || ||<-2><#fff,#191919> [[http://www.dgsisul.or.kr/|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공공시설물을 관리하는 [[지방공기업]]으로 본사는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로]] 29 ([[대명동(대구)|대명동]])에 있다. == 상세 == [[2022년]] [[7월 1일]] [[홍준표]]의 [[대구광역시장]] 취임 후 대구광역시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 정책으로 [[1993년]] [[4월]] 설립된 체육·문화·도로·교통시설 등을 관리하는 대구시설공단과 [[2000년]] [[7월]] 설립된 하수처리장·소각장·매립장 등 환경기초시설을 관리하는 대구환경공단의 통합이 확정되었으며 동년 [[10월 1일]] 두 공단의 통합으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이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역대 기관장 === * 1대 문기봉[* 전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장.] (2022~) == 관리하는 시설물 == 대구광역시의 체육시설, 도로, 신천, 문화복지시설, 교통시설 및 환경기초시설 등을 관리하고 있다. === 체육시설 === * 두류수영장 * [[대구국제사격장]] * 대덕승마장 * 대구승마힐링센터 * 대구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 서재문화체육센터[* [[달성군]] [[다사읍]]에 있는데도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대구실내빙상장 === 도로·신천 === * 도로관리 * 클린로드 시설관리([[달구벌대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염색공단천로) * 가로등관리 * [[테크노폴리스로]]관리[* [[달성군]] [[유가읍]]에 있는데도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신천(대구)|신천]]둔치관리소 * 대중교통전용지구 * 팔조령터널 ==== 전용도로 현황 ==== || 연번 ||<-2> 명칭 ||<-2> 구간 ||<-2> 연장 (㎞) || 비고 || || 1 ||<-2>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2> [[상동교]]~[[서대구IC]] ||<-2> 18.77 || || 2 ||<-2> [[앞산순환로|앞산순환도로]] ||<-2> 달비골~[[상동교]] ||<-2> 6.70 || 자동차전용도로 고시 해제 || || 3 ||<-2> 도시고속도로 ||<-2> [[서대구IC]]~[[남대구IC]] ||<-2> 6.24 || || 4 ||<-2> 서변로 ||<-2> [[서변대교]]~동서변택지 ||<-2> 2.05 || || 5 ||<-2> 봉무지방산업단지도로 ||<-2> [[공항교]]~봉무IC~[[팔공로]] ||<-2> 4.71 || 자동차전용도로 고시 해제 || || 6 ||<-2> 신천좌안도로 ||<-2> [[상동교]]~가창로 ||<-2> 3.04 || || 7 ||<-2> 테크노폴리스진입도로 ||<-2> [[대구수목원]]~[[테크노폴리스]] ||<-2> 13.64 || === 문화복지시설 === * [[대구명복공원]] * 대구 도심공원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2.28기념중앙공원]], [[경상감영공원]] * 대구 지하상가 : 대신지하쇼핑몰, 대구역지하쇼핑센터, 범어월드프라자 * [[대구콘서트하우스]]관리소[* [[대구문화예술회관]]은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하지 않는다.] === 교통시설 === * 공영주차장 * 이동지원센터(나드리콜) * 농수산주차상가 * [[동대구역]]광장 * 신서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 시내버스유개승강장 ==== 특별교통수단 나드리콜 ==== [[교통약자]]를 위한 전용 [[택시|콜택시]]인 '나드리콜'을 운영한다. 차량은 휠체어를 탄채로 이동할 수 있는 전용 직영 특장차와 이동지원센터에서 지령을 받아 운행하는 개인 택시로 나뉘는데, 이 개인 택시는 휠체어에서 택시 좌석으로 갈아타야하며 휠체어는 트렁크에 보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용요금은 직영 특장차나 개인택시나 같지만 개인택시는 반드시 나드리콜을 통해서 불러야 요금을 나드리콜 요금으로 지불할 수 있다. * 이용대상 : 보행상의 장애로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그 외 장애인, 상이 등급 3급 이상 국가유공자, 65세 이상 노약자로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다는 진단서를 제출한 자 * 차량 접수 : 이용 한시간 전에 접수 (전화통화, 전화문자 및 모바일) * 이용요금 : ||<-2> '''기본요금''' ||<-2> '''추가요금''' ||<-2> '''요금 상한''' || ||<|2> 3km 이내 ||<|2> 1000원 || 3km ~ 10km || km당 300원 || 시내 || 시외 || || 10km 초과 || km당 100원 || 3,300원 || 6,600원 || * 유료 시내도로 요금 : 자부담 없음 * 고속도로 요금 : 자부담 * 운행지역 : 대구광역시, 경산시(동지역 및 하양읍), 칠곡군(동명면), 고령군(다산면) * 시외 운행일 경우 대구광역시가 출발지인 경우만 지원됨. * 시내 왕복 운행을 요청하는 경우 왕편과 복편의 경로가 같아야하고 30분 내 볼일을 마쳐야함. * 차량 콜 도착 후 10분 이내 미탑승 시 접수 취소 원래 2023년에 [[대구교통공사]]로 업무를 이관하려다가 부가가치세 발생 등 이용객 불편이 예상되어 불발되었다. ===== 운영 차량 ===== 총 479대 * 직영 특장차(199대) * [[기아 카니발]] * [[현대 스타렉스]] * [[현대 스타리아]] * 개인택시 위탁 차량 (280대) === 환경기초시설 === * 신천하수처리장 * 신천음식물병합처리장 * 서부하수처리장 * 서부위생처리장 * 서부하수준설물처리장 * 달서천하수처리장 * 북부하수처리장 * 안심하수처리장 * 지산하수처리장 * 달성현풍하수처리장 * 성서소각처리장 * 상리음식물류폐기물처리장 * 상리위생처리장 * 상리침출수처리장 * 대구광역시 환경자원사업소 == 채용 == 일반직은 1년에 1차례, 공무직과 설비직은 1~2차례 정도 채용하는 편이며 한시적 근로자 등은 수시로 채용하기도 한다.[* 자세한 채용 공고는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년]]까지 근무지는 [[대구광역시]] 관내를 벗어나지 않는다.[* [[대구광역시]] 관내지만 [[달성군]]은 달성군 시설관리공단이 별도로 있기 때문에 서재문화체육센터와 테크노폴리스로를 제외하면 [[달성군]]에 있는 근무지로 발령받을 가능성이 없다. 다만, 같은 대구 시내라도 사업소 위치에 따라 출퇴근 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다.][* 행정직의 대부분 부서는 대명동 본사에서 업무를 수행하지만, 일부 부서는 대천동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대구교통공사]], [[대구도시개발공사]], [[대구문화재단]] 등과 함께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며 안정적인 근무 환경을 원하는 지원자들이 많이 몰리고 있는 추세이다. [[대구광역시]] 소재 지방 공기업답게 지원자격으로는 채용 공고일 전일부터 최종합격예정자 등록일까지 계속하여 [[대구광역시]] 또는 [[경상북도]]에 본인의 [[주민등록]]상 주소를 둔 자, 채용 공고일 전일까지 [[대구광역시]] 또는 [[경상북도]]에 본인의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있었던 기간을 모두 합산하여 총 3년(1,095일) 이상인 사람에게만 지원 자격이 주어지며, 이는 일반직과 공무직, 설비직, 한시적 근로자 공히 적용된다. == 여담 == * [[1998년]] [[4월]] [[삼성물산]]이 지은 8층짜리 건물이 본사 건물이다. 우방 코스모스 아파트(5층짜리 아파트) 바로 옆에 있다. * 본사 건물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명역]] 1번 출구에서 [[서부정류장]] 방향으로 350m 걸어가면 볼 수 있다. * 세간의 인식과는 다르게 구) 대구시설공단이 아니라 구) 대구환경공단이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의 존속법인이다. 이는 세간에서 [[신한은행]]이 [[조흥은행]]을 합병한 것처럼 보이지만, 공식적으로는 조흥은행 법인이 신한은행 법인을 합병하여 상호명만 신한은행으로 변경한 것과 동일한 이치이다. 다만, 본사 건물은 구) 대구시설공단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본사 구내식당 밥맛이 굉장히 좋으며,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다. 다만, 매달 둘째 주 금요일과 넷째 주 금요일은 구내식당 휴업일이기 때문에 이 때는 본사 근처 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거나 본사 건물 근처 [[GS25]], [[세븐일레븐]] 편의점에서 도시락으로 해결하기도 한다. [[분류: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구교통공사, version=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