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반도의 선사 유적)] [[파일:사적411호대구진천동입석전경.jpg]]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411호}}}''' || || {{{+1 {{{#fff '''대구 진천동 입석'''}}}}}} {{{-1 {{{#fff 大邱 辰泉洞 立石}}}}}}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470-38번지 외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민간신앙 / 마을신앙 || || '''{{{#fff 면적}}}''' || 6\,178㎡ || || '''{{{#fff 지정연도}}}''' || 1998년 12월 23일 || || '''{{{#fff 제작시기}}}''' || [[청동기시대]]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 달서구 진천동 470-38번지, 너비=360)]}}}}}}}}} || [목차] == 개요 == 大邱辰泉洞立石.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는 선사유적공원에 위치한 [[선돌|입석]]으로, 진천로 3길에 위치하고 있다. 1998년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411호로 지정됐다. == 내용 == 발굴단의 조사과정에서 입석과 제단유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주변에선 [[청동기 시대]]의 대표 묘제라 할 수 있는 석관묘 4기가 같이 발굴되었다. 매장, 제의, 제단, [[암각화]] 등 원시 신앙의 흔적이 모두 한자리에 나타났다. 이 곳 석관묘에서는 발굴 당시에 별다른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으나, 입석과 연관성 등의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대구_진천동_입석|한국어 위키백과: 대구 진천동 입석]]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4748&cid=46619&categoryId=46619|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구진천동입석]]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9832&cid=43065&categoryId=43065|고고학사전: 진천동 선돌]]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94045&cid=40942&categoryId=33374|두산백과: 대구 진천동 입석]] == 사적 제411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4110000,22&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대구 진천동 입석 (大邱 辰泉洞 立石)]] >입석은 큰 돌을 세워 놓은 것으로 선돌이라고도 하며, 고인돌이 있는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진천동에서 선돌을 세운 주위로 석축을 네모난 형태로 둘러 쌓아 놓았고, 선돌 앞에서 제사의식을 지낸 것으로 짐작된다. 선돌 주위에는 고인돌이 여러 기 남아있다. 주변지역은 주택이 많이 들어서 있으나, 유적 보존을 위해 선돌 지역을 발굴조사하여 정비하였다. > >고인돌과 선돌의 관계 및 서로의 기능적 성격을 통해 고대 문화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는 유적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선사 시대]][[분류:청동기 시대]][[분류:달서구]][[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