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흥425뉴슈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음3444호.jpg|width=100%]]}}} || || [[신흥버스]] 차량 || [[관음교통]]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42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황금고가교네거리)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br]([[매곡리공영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5:35 || || 막차 || '''[평일]''' 22:30 / '''[토요일, 공휴일]''' 22:25 || 막차 || 22:30 || ||<-2> 평일배차 || 13분 ||<-2> 주말배차 || 14분 || ||<-2> 운수사명 || [[관음교통]], [[신흥버스]] ||<-2> 인가대수 || 23대[* 관음교통 12대 / 신흥버스 11대][* 토요일 22대(관음교통 12대 / 신흥버스 10대) / 공휴일 21대 운행(관음교통 12대 / 신흥버스 9대)] || ||<-2> 노선 ||<-4> 황금고가교네거리[* 두리봉터널 방면은 두리봉터널종점 정류소에서 종료한다.] - 소선여중 - [[수성대학교|수성대]] - [[수성구청역]]북편 - [[메트로팔레스]]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신천역(대구)|신천역]] - (CGV대구한일 →/← [[2.28기념중앙공원]]) - [[서문시장(대구)|큰장네거리]] - [[서구청(대구)|서구청]] - [[두류역]] - [[용산역(대구)|용산역]] - 계명대동문 - 세천초교 - [[대실역]] - [[매곡리공영차고지]][* 두리봉터널행 출발 정류소 이름은 연화리다.]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매곡''' 방면 ||동인치안센터, 팔공정보문화센터, 구.남부정류장 || || '''황금동''' 방면 ||구병원, 성서주공1단지, 대실역 || == 개요 == 수성구 만촌3동 두리봉터널(4)에서 서구 평리3동 서구청(2)을 거쳐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공영차고지]](5)까지 운행하는 [[신흥버스]], [[관음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64km.[* 실제 기점은 다사(매곡), 종점이 황금고가교네거리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425000&stop_busyn=N&move_dir=1|전체 정류소 목록]] == 역사 == * 1998년 개편 전 만촌2동[* 당시 만촌2동 지역은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쯤에 만촌3동으로 분리되었다. 당시 [[대덕버스]] 차고지가 대륜중고교 정문 바로 옆인 현재의 만촌화성파크드림아파트 자리에 있었고 108번도 이 차고지를 기점으로 썼다. 무엇보다 두리봉터널이 개통하기 전이었던 108번 시절에는 애초에 만촌3동에서 황금아파트네거리를 연결하는 도로 자체가 없었다.]~[[계명대학교]] 정문 구간을 운행했던 108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 * 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노선 번호를 425번으로 변경했다. * 1999년 종점을 계명대학교 정문에서 다사읍사무소까지 연장했다. * 2004년에 종점을 다사읍사무소에서 매곡공영차고지까지 연장했다. 기점도 [[대구 버스 427|427번]]과 함께 만촌우방2차아파트에서 두리봉터널을 거쳐 [[경북고등학교]] 동편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소음 문제가 주 원인이었다. 교학로 구간이 왕복으로 바뀌기 전에는 우방금탑아파트 → 대륜중고교 → 만촌우방아파트 → 대청초등학교 → 우방금탑아파트 → 차고지로 운행했다. 차고지에서 나갈 때는 다시 만촌우방아파트와 교학로 구간을 돌고 시내로 나왔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개편]] 때 인가대수 16대를 감차했다. 좌석버스 전환과 대구의료원 경유 계획도 있었지만 취소됐다. 이 계획은 훗날 2015년 8월 1일에 508번을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으로 바꾸는 걸로 실행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종각네거리~경대병원~수성교~범어네거리~[[수성구청역]] 구간 대신 [[대구 버스 420, 420-1|420(-1)번]]과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을 대체하기 위해 종각네거리~동인네거리~신천교~신천주공~역전시장~고속터미널~[[동부정류장]]~메트로팔레스([[이마트 만촌점]])~차량등록사업소~새범어아파트~수성구청역 구간으로 조정했다. 기존 구간은 [[대구 버스 309|309번]],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이 대체한다. 다른 점이 있다면 309번과 939번은 공평네거리에서 삼덕성당을 거쳐 달구벌대로 내려온다. 또한 [[관음교통]]이 [[공동 배차]]에 참여한다. 관음교통과 신흥버스는 425번과 급행5번을 맞교환했다. * 2016년 2월 보완개편 때 [[대구 버스 300|300번]] 출신 1대와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 출신 1대를 증차했다. 원래는 300번에서 감차 후 518번에 투입하려고 했지만 신흥의 반발로 무산되고 425번에 투입하였다고 한다. 2015년 개편 전 배차간격(11분)을 되찾았다. [[달구벌버스]]도 [[수성구]](범어권) 노선을 운행했고 달구벌버스는 [[대구 버스 성서3|성서3번]] ↔ 300번 맞트레이드로 철수했던 매곡리에 복귀했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달구벌버스]]가 425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했다. 대신 관음교통에서 [[대구 버스 719|719번]] 출신 1대를 투입했다. 기점도 황금고가교네거리로 연장되었으며, 미인가정류소가 정식으로 등록되었다. 대실역~강창역~계대정문~신당네거리 구간 대신 대실역~세천지구~계대동문~신당네거리 경로로 변경되었다. 세천지구에 간선 노선을 공급하고, 2호선 환승 여건과 달구벌대로 일대 주요 경유지([[계명대역]], [[용산역(대구)|용산역]], [[서남시장]], 두류네거리)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세천지구에 들어오던 성서 지선들은 배차간격이 길어 2호선과 환승 여건이 좋지 않았다. 평일 배차간격은 11분에서 13분으로 늘어났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매곡리 방면은 정시성이 많이 떨어져 관련 민원이 늘고 있다. * 2022년 1월 22일에 [[관음교통]]에서 719번 출신 차량을 1대 증차했고,[* 당초 투입될 휴업해지 증차 차량은 [[대구 버스 719|719번]]으로 투입되었다.] [[신흥버스]] 차량 1대가 [[대구 버스 503|503번]]으로 이동했다. 따라서, 인가대수는 변함없다. * 2024년 3월 1일부터, 달서1번과 함께 세천로에서 철수하고 서재로7길을 경유할 예정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iUSHUczeg2A&t=24s|세천-서동중학교간 통학수요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서동중학교]] 22학번 이후의 학생들이 개편된 노선의 혜택을 누렸다. 또한, 한화꿈에그린건너2 정류장 대신 서재 경유 노선들이 정차하는 한화꿈에그린건너1 정류장에 정차한다. 기존에 정차했던 한화꿈에그린건너2 정류장과 서재동화아이위시3차 정류장은 폐지된다. == 특징 == * [[신흥버스]]와 [[관음교통]]의 준주력 노선이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직전에는 [[빗자루질(교통)|37대가 6분 간격으로 운행]]하기도 했을 정도로[* 한때 [[대구광역시]]에서 인가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었다.] 항상 일반버스 수익금 1위를[* 참고로 좌석버스 수익금 1위 노선은 2015년 8월 개편으로 폐지된 [[대구 버스 402|402번]]이다.] 도맡았다. * 2004년 5월 25일부터 6월 1일까지 8일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준공영제를 요구하며 전면 '''대파업'''을 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 기간 동안에도 운행했던 노선이다. 당시 파업에 참여하지 않았던 [[광남자동차]]에서 운행했으며, 인가대수 37대 중 27대를 운행했다. 다른 노선들은 파업으로 인해 원래 운행 대수보다 훨씬 적은 차량으로 [[전세버스]] 등이 땜빵 운행을 했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도 아직 공사 중이던 시절이라서 이 노선이 다녔던 구간에서는 그야말로 [[빛과 소금]]같은 존재였으며, RH와 NH를 가리지 않고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했다.[* [[달구벌버스|국일여객]]와 [[우성교통]]도 2004년에 파업하지 않았다. 하지만 우성교통을 인수했던 [[성보교통]]과 국일여객에서 인수했던 [[창성여객(대구)|창성여객]](당시 건영교통)은 파업했다. [[경산시 시내버스]]들은 정상 운행했고, 차량 몇 대씩 차출해서 일부 공배 노선들을 땜빵해서 운행했다.] * 성서 - [[국채보상로]] 구간을 425번과 함께 분담해 왔던 508번이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으로 전환되어 좌석버스 요금으로 돌아오고 425번과 중복되던 노선 경로가 일부 변경되면서 425번의 수요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이용률 TOP 10에 들어갈 정도로 터져 나가고 있다. [[대구 버스 518|518번]]이 연장되긴 했지만 518번은 [[굴곡 노선/버스|용산네거리에서 밑으로 돌아서 가는지라]] 시간이 더 걸린다. 게다가 [[대구 버스 805|805번]]이 장기지구로 단축되면서 [[달구벌대로]] 서편(다사읍~죽전네거리) 구간에서도 터져 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의 이용률이 늘어난 건 덤. *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 '''배차간격이 2분 증가했다...'''가 2016년 1월 5일 왕복 운행시간 단축 조치로 인해 다시 1분 감소하였다. 과밀노선이 되면서 하차단말기도 하나 더 추가로 설치되었다. 하지만 이런 수요에도 불구하고 토요일, 방학 감차가 2대 적용된다. * 관음교통 기사 교대는 팔공정보문화센터에서, 신흥버스 기사 교대는 성서주공1단지에서 실시한다. * 만촌3동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노선이다. 특히 수요일 오후에 대청초등학교부터 터져 나간다. 두리봉터널 정류소는 [[영남공업고등학교]], 우방2차아파트는 [[대륜중학교]]와 [[대륜고등학교]], 대청초등학교 정류소는 영남공업고등학교와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소선여중 정류소는 [[소선여자중학교]], 구 남부정류장 정류소는 [[오성중학교(대구)|오성중학교]]와 [[오성고등학교]]가 있다. 이 모든 학교는 간격도 그리 멀지 않고, 등하교 시간도 거의 일치하다. 버스는 대청초등학교부터 완전 포화상태다. 자리가 없으면 승차거부를 하는 일도 종종 보인다. 대부분 학생의 목적지는 만촌1동 메트로팔레스다. 요즘은 범어4동주민센터 또는 경신고등학교 정류장에서 많이 내린다. * 한때 정류장과 차내 노선도에 기점 명칭이 '경북고등학교'로 표기되어 있었다. '''해당 안내도를 믿고 타다간 큰 낭패만 봤다.''' 주변 위치는 경북고의 실제 정문에서 '''완전히 반대편에 위치한''' 두리봉터널 허허벌판이었다. 해당 정류소의 위치에서 '''경북고 내부로 갈 수 있는 직통통로도 전혀 없었다.''' 해당 위치에서 진짜로 경북고로 이동하고 싶다면 산지 도로를 한참 빙빙 돌아 내려간 후 황금아파트네거리, 캐슬골드파크 쪽에서 다시 정문까지 긴 거리를 걸어가야 했다. 낚시명칭이었던 셈이다. 이는 같은 종점을 공유하는 [[대구 버스 234|234번]]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였다. 2019년 4월 20일자로 해당 정류소의 명칭이 '두리봉터널종점'으로 바뀌면서 일단락되었다. 진짜 제대로 다사나 성서에서 경북고로 가고 싶다면 1번 환승해야 한다. * [[매곡리공영차고지]] 착발노선들 가운데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과 함께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운행 노선이 아니다. * 관음교통 운행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북구(대구광역시)|북구]]를 지나지 않는다. * 세천지구 경유 이후로 한동안 [[대구 버스 204|204번]]처럼 막차 고정분담을 실시하지 않았다. 2021년 2월 기준으로 막차 고정분담을 다시 시행하고 있다. 매곡리 방면 막차는 [[신흥버스]]가, 황금고가교 방면 막차는 [[관음교통]]이 담당한다. 매곡리 종료 순번 수가 황금동 종료 순번 수보다 많으므로 매곡리 1,2등 종료는 관음교통이 담당한다. * 시내버스 탑재형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설치되어 있는 노선중 하나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1,179명 || - || || 2015년 || 10,724명 || {{{#blue,#6495ed ▽ 455}}} || || 2016년 || 14,456명 || {{{#red,#salmon △ 3,732}}} || || 2017년 || 14,096명 || {{{#blue,#6495ed ▽ 360}}} || || 2018년 || 14,397명 || {{{#red,#salmon △ 301}}} || || 2019년 || 12,399명 || {{{#blue,#6495ed ▽ 1,998}}}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0,032명 || {{{#blue,#6495ed ▽ 2,367}}} || || 2022년 || '''10,399명''' || {{{#red,#salmon △ 367}}} || ||<-3> {{{-1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8월 개편으로 [[대구 버스 급행5|508번]]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급행노선]]으로 형간전환되고 [[대구 버스 805|805번]]이 [[매곡리공영차고지]]~[[죽전역(대구)|죽전네거리]] 구간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425번의 성서 수요가 폭증하였다. 2019년 이후 세천리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지 2021년의 수요 감소율도 19%이며, 다른 노선들에 비해 덜하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신천역(대구)|신천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담티역]], [[만촌역]], [[수성구청역]], [[두류역]], [[감삼역]], [[죽전역(대구)|죽전역]], [[용산역(대구)|용산역]], [[이곡역]], [[성서산업단지역]], [[계명대역]], [[대실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 섬유회관 하차]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한국철도공사|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성서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