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 [[파일:대일420.jpg|width=100%]] || [[파일:대일420-1.jpg|width=100%]] || || [[대일버스]] 소속 시절 420 || [[대일버스]] 소속 시절 420-1 || [목차] == 노선 정보 == ||<-10><:>{{{#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0번}}}|| ||<-2><:>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도시철도담티역)||<-2><:>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도시철도담티역)||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22:13||<:>막차||<:>22:13|| ||<-2><:>평일배차||<:>12분||<-2><:>주말배차||<:>16분|| ||<-2><:>운수사명||<:>대일버스||<-2><:>인가대수||<:>11대|| ||<-2><:>노선||<-4><:>[[담티역]] - [[수성구]]청 - 방천시장(김광석길) - [[대구향교]] - [[서문시장(대구)|큰장네거리]] - [[서구(대구광역시)|서구]]청 - 경덕여고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평리동(대구)|평리5동]] 행정복지센터 - 비산초교 - 중구보건소 - [[대구역]] - [[신천역(대구)|신천역]]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메트로팔레스]] - [[수성구청역]]북편 - 담티역|| ||<-10><:>{{{#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0-1번}}}|| ||<-2><:>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도시철도담티역)||<-2><:>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도시철도담티역)||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22:13||<:>막차||<:>22:13|| ||<-2><:>평일배차||<:>12분||<-2><:>주말배차||<:>16분|| ||<-2><:>운수사명||<:>대일버스||<-2><:>인가대수||<:>11대|| ||<-2><:>노선||<-4><:>담티역 - 수성구청역북편 - 메트로팔레스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신천역 - 대구역 - 중구보건소 - 비산초교 - 평리5동 행정복지센터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경덕여고 - 서구청 - 큰장네거리 - 대구향교 - 방천시장(김광석길) - 수성구청 - 담티역|| == 개요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2동 대일버스 차고지(4)에서 [[서구(대구)|서구]] 평리3동 서구청(2)을 거쳐 다시 [[수성구]] 만촌2동 대일버스 차고지(4)로 순환 운행했던 대일버스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4200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420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4201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420-1번 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노선 개편]] 때 신설했던 순환선이었다. * 2006년 9월 24일에 평리광명네거리 왕복 경유로 변경되었다. 평리광명네거리에서 평리네거리 방향의 좌회전을 노선버스 한정으로 허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 [[2009년]] [[7월]]에 420번은 경북대학교 치과병원 정류장을 무정차로 변경되었다. * 2011년 8월 개편 때 [[서구(대구)|서구]] 중리동 일부 구간을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신평리네거리에서 중리네거리로 바로 직진했다. 개편 때 중리롯데캐슬[* 구 중리주공아파트] 안쪽, 경덕여고 굴곡을 추가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 때 폐지되었다. 기존 운행 구간은 [[대구 버스 204|204번]], [[대구 버스 240|240번]], [[대구 버스 425|425번]], [[대구 버스 523|523번]],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 문제는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의 분리구간 배차간격이 너무 길어서인지, 420(-1)번의 폐지 때문에 남산2동주민센터 일대에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일부 시민들과 버스동호인들은 [[대구 버스 805|805번]]의 남산2동 진입을 요구했다.],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이 대체한다. 다양한 노선이 대체해 주기 때문에, 큰 불편함은 없다. == 특징 == * 번호체계에 맞추면, 414(-1), 혹은 424(-1)번이 맞다. 하지만 414(-1)은 존재하는 노선이였고 424(-1)번은 2006년 개편 이전에 [[대구 버스 452|452번]] 전신 노선이었다. 신설된 노선은 420(-1)번을 부여받았다. * [[수성구]] 지역 학교들(대륜고, 혜화여고, 경신고 등)과 만촌1동 메트로팔레스를 연결하는 노선이라서 학생 수요가 많다. [[동대구역|동대구역(지하철)]]과 [[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대구역]]을 거쳐 평리네거리까지 동부로, 태평로, 북비산로를 [[경부선]] 라인과 나란히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노선이라서 이쪽 수요도 많다. [[서구(대구)|서구]] 일부 구간[* 평리6동주민센터~평리광명맨션 구간, 중리중교/경덕여고~달서초교~중리시장 구간]과 [[중구(대구)|중구]] 일부 구간[* [[매일신문]]본사~남산2동주민센터~남문아파트 구간], [[수성구]] 일부 구간[* 대구차량등록사업소~새범어아파트~범어2동(범어공원입구), 수성구청북편(범어초교입구) 구간]은 독점 운행이다. * 경북사대부고부터 차고지까지 [[달구벌대로]] 구간은 다른 중복 노선들이 많아 이 구간에서는 RH 때에도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을 한다. 그래서 [[달구벌대로]] 구간은 단축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버스 동호인]]들 사이에서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다. [[수성구]] 구간은 일부 독점 구간을 제외하면 과감하게 정리해서 [[서구(대구)|서구]], [[중구(대구)|중구]] 구간 위주로 운행하고 서구1(-1)번으로 지선화시키자는 의견도 있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신설된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은 개편으로 완전히 날아가 버린 [[대구 버스 452|452번]]의 [[서구(대구)|서구]]/[[달서구]] 구간 대체 노선의 취지로 신설된 것이라 420(-1)번의 구간은 중리네거리 ~ 중리롯데캐슬서편 ~ [[삼익뉴타운|삼익뉴타운1단지]] ~ 경덕여고정문 구간만 받았다. * 노선을 잘 보면 달서초등학교의 굴곡 구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직선이며, 남북으로 서로 대칭해 있었다. 이는 [[대구 버스 400|400(-1)번]]도 비슷하다. * 동산네거리에서 계산오거리로 운행할 때 [[우리은행]]동산동지점과 성명여중/신명고교로 들어가는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 [[경산 버스 990|990번]], [[경산 버스 991|991번]]과 달리 이 노선은 [[우리은행]] 쪽으로 꺾지 않고 동산네거리에서 서성네거리까지 온 다음 [[매일신문]] 본사를 경유하여 계산오거리로 운행했다. 또 [[동성로(대구)|동성로]], [[약령시(대구)|약령시]],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일대에서 행사나 축제를 해서 차량이 통제되면 시내버스가 이 구간을 임시로 우회운행하기도 한다. * 그리고 이 노선이 폐선되고 나서 또 하나의 문제가 생겼는데, 그건 '''[[북부정류장]]에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까지 가장 빨리 이어주는 루트 하나가 사라져 버렸다는 것'''. 2006년 개편 때 717, 903번이 날아가 버리면서 북부정류장에서 [[대구 버스 724|724번]]을 타고 서부중학교~북비산네거리 사이에서 내려서 420번으로 환승해서 이동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었는데, 이렇게 이동하는 게 불가능해져서 이제는 만평네거리까지 올라가서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근데 이렇게 이동하는 게 724-420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굴곡 노선/버스|돌아가는 코스]]인 데다가 상습 [[교통 체증|정체]] 구간인 팔달로, 태평지하차도, [[동대구역]]고가도를 강제로 지나가야 하므로, 소요시간은 더 길어져 버렸다. 대구를 경유하는 [[시내버스 여행]]을 하려고 할 때에도 북부정류장~동대구터미널 이동은 거의 필수 코스이기도 하고, 시내버스 여행이 아니더라도 외지인들이 북부정류장 도착 시외버스를 타고 대구에 들어와서 동대구역 출발 기차나 동대구터미널 출발 시외/고속버스로 환승하기 위해 이동해야 되는 경우가 제법 있는 편인데, 더 불편해져 버렸다.[* 반면에 외지인들이 북부정류장~서부정류장을 이동해야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대구 버스 726]]이 있어서 별다른 불편함은 없다. 좀 더 빨리 가고 싶으면 순환3-1->급행6번으로 환승해도 된다. 단 두류공원로 교통 체증 및 급행6번 대기시간을 고려하면 726번이 더 빠를 수도 있다.] * 이 버스 노선에 '이동식 식물원' 이라 불리는 생화들로 내부를 장식한 차량이 운행했었다고 한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https://ptc.ts2020.kr/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0번}}}|| ||<:>2014년||<:>2015년|| ||<:>4,309명||<:>4,159명|| ||<-10><:>{{{#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20-1번}}}|| ||<:>2014년||<:>2015년|| ||<:>3,954명||<:>4,139명|| == 연계 철도역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신천역(대구)|신천역]],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담티역]], [[만촌역]], [[수성구청역]], [[범어역]], [[대구은행역]], [[경대병원역]][* 420번은 경북대치과병원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 * ~~일반 철도역: [[대구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동대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5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