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1998년 5월 4일까지 운행하였던 303번: [[대구 버스 514]] * 1998년 5월 5일부터 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하였던 303, 303-1번: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 [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 [[파일:대구303폐.jpg|width=100%]] || [[파일:대구303-1폐.jpg|width=100%]] || || [[경북교통]] 소속 시절[br]303 || [[삼천리버스]] 소속 시절[br]303-1 || [[https://m.blog.naver.com/engyouel/150145249764|출처]] [목차] == 노선 정보 == ||<-10><:><#01b3ed>{{{#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번}}}|| ||<-2><:>기점||<:>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2><:>종점||<:>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22:23||<:>막차||<:>22:23|| ||<-2><:>평일배차||<:>16분||<-2><:>주말배차||<:>16분|| ||<-2><:>운수사명||<:>[[경북교통]],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2><:>인가대수||<:>7대|| ||<-2><:>노선||<-4><:>유통단지 - 복현오거리 - 신암보성아파트 - [[동대구역]] - 법원 - 방천시장(김광석길) - [[약령시(대구)|약령시]] - 경명여고 - [[경대교]] - [[대구실내체육관|실내체육관]] - 복현오거리 - 유통단지|| ||<-10><:><#01b3ed>{{{#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1번}}}|| ||<-2><:>기점||<:>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2><:>종점||<:>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22:14||<:>막차||<:>22:14|| ||<-2><:>평일배차||<:>17분||<-2><:>주말배차||<:>17분|| ||<-2><:>운수사명||<:>[[삼천리버스]],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2><:>인가대수||<:>7대|| ||<-2><:>노선||<-4><:>유통단지 - 복현오거리 - 실내체육관 - 경대교 - 경명여고 - [[약령시(대구)|약령시]] - 방천시장(김광석길) - 법원 - 동대구역 - 신암보성아파트 - 복현오거리 - 유통단지|| == 개요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대구종합유통단지]] 전자관(3)에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봉산동 [[반월당역]](0)을 거쳐 다시 대구종합유통단지 전자관(3)로 순환 운행했던 [[경북교통]], [[삼천리버스]],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소속의 [[간선버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3030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303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3031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303-1번 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9년]] [[1월 17일]] 대구-경산 무료환승제 시행 때 신설된 노선이었다. [[대구 버스 309|309번]] 2대, [[대구 버스 급행5|508번]] 2대,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 3대, [[대구 버스 609|609번]] 4대, [[대구 버스 808|808번(대구대행)]] 4대,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 3대를 감차해서 만들었다.[* 정확히는 [[대구 버스 급행5|508번]] [[경북교통]] 6대를 빼왔지만, [[대구 버스 808|808번(대구대행)]] [[신일여객(대구)|신일여객]] 차량 4대를 508번에 투입했다. 고로 508번은 2대 감차되었다.] * 2009년 4월에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차량 각 1대씩 [[대구 버스 449|449번]]으로 이동했다. * 2012년 10월에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차량 각 1대씩 [[대구 버스 609|609번]]으로 이동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폐지되었다. 대체 노선은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 경상감영공원~[[대구은행역]] 구간] [[대구 버스 304|304번]][* 유통단지~반월당역 구간], [[대구 버스 413|413번]][* 유통단지~[[동대구역]] 구간], [[대구 버스 수성4|수성4번]][* 수성네거리~파티마삼거리 구간]이다. == 특징 == * 수요는 주로 [[반월당역]]에서 복현오거리 사이에서 발생했다. 경명여자중고고 앞길, [[대구실내체육관]] 뒷편 등 [[북구(대구광역시)|북구]]의 대중교통 음영 지역에서 [[시내]]로 '''한 번에''' 갈 수 있었던 노선이었다. 지금은 신설 노선 304번이 해당 구간을 다닌다. * 복현오거리~[[동대구역]] 구간에서는 [[대구 버스 937|937번]]의 수요를 분담했다. 지금은 [[대구 버스 413|413번]]이 303(-1)번을 대신하여 937번의 수요를 분담한다. * 범어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법원으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었다.[* 지금은 [[대구 버스 수성4|수성4번]]이 운행한다.] * 303-1번은 경대교로 들어갔을 때 도청교에서 U턴했다. * 303-1번 7대 중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1대를 제외하면 6대가 [[저상버스]]였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ptc.ts2020.kr/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01b3ed>{{{#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번}}}|| ||<:>2014년||<:>2015년|| ||<:>3,198명||<:>3,095명|| ||<-10><:><#01b3ed>{{{#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3-1번}}}|| ||<:>2014년||<:>2015년|| ||<:>2,459명||<:>2,619명|| == 연계 철도역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반월당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역]], [[경대병원역]], [[대구은행역]], [[범어역]]~~ * ~~일반 철도역 : [[대구역]] (무궁화호, ITX-새마을), '''[[동대구역]] (KTX, 무궁화호, ITX-새마을)'''~~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5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