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진28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진2841.jpg|width=100%]]}}} || ||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차량 성서1 ||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차량 성서1-1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서1.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종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15 || 막차 || - || ||<-2> 평일배차 || 23분 ||<-2> 주말배차 || 28분 || ||<-2> 운수사명 ||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2> 인가대수 || 6대[*1 공휴일 5대 운행] || ||<-2> 노선 ||<-4> 매곡리공영차고지[*2 정류소 이름은 각각 매곡리(매곡행 종점), 연화리(진천역방면 출발)다. 매곡 공영회차지 건너편의 법정 구역이 연화리이고, 정류소 명칭을 연화리로 변경해버리면서 상하행 명칭이 불일치하게 되었다.] - [[대실역]] - (세천초교 → 다사읍사무소서재출장소 → [[계명대학교|계명대]]동문 → [[성서산업단지역]] → [[이곡역]] → 선돌교 → 대구경북중소벤처기업청 → 유천포스코 → [[진천역]] → 진월초교 → 유천포스코 → 제일규산 → 일심제약 → 한국산업은행성서지점 → 한국환경공단 → 성서협업단지 → 호산초교 → [[강창역]] → 심인고교) 이후 역순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1-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연화리)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종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15 || 막차 || - || ||<-2> 평일배차 || 23분 ||<-2> 주말배차 || 28분 || ||<-2> 운수사명 ||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2> 인가대수 || 6대[*1] || ||<-2> 노선 ||<-4> 매곡리공영차고지[*2] - 대실역 - (심인고교 → 강창역 → 호산초교 → 성서협업단지 → 한국환경공단 → 한국산업은행성서지점 → 성서공단물류센터 → 현대금속 → 유천포스코 → 진천역 → 진월초교 → 유천포스코 → 대구경북중소벤처기업청 → 선돌교 → 이곡역 → 성서산업단지역 → 계명대동문 → 다사읍사무소서재출장소 → 세천초교) 이후 역순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성서1''' 방향 ||유천포스코 || || '''성서1-1''' 방향 ||유천포스코 || == 개요 == 본선 운행거리는 32.6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naver.me/xd5fpRTG|성서1번]], [[http://naver.me/GkukRdUm|성서1-1번]] == 역사 == * 2006년에 신설된 순환형 지선이다. * 2007년 1월 유천교에서 성서4차산단을 잇는 [[달서대로]](대천교)가 개통되자, [[대천동공영차고지]]와 유천교를 지나 진천동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때 기존 성서1(-1)번이 다녔던 성서산업단지 구간 중에서는 이 노선이 다니지 않게 된 구간도 생겼는데, 일부 구간은 같은 날 연장된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이 대체 운행하고 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기종점이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매곡리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고, [[성서지구]] 대신 세천리 성서제5차산단 경유로 바뀌었으며, 추가로 죽곡2지구[* 현 심인고등학교]에 들어가게 되었다.[* 강정 쪽으로는 들어가지 않지만, 이거 때문인지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의 강정 진입 횟수가 감소했다.] 강창역~대백한라무지개타운 구간은 [[대구 버스 524|524번]]이, 성서동서서한타운~이곡역 구간은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이 대체한다. 운행 회사도 [[신흥버스]]에서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으로 변경되었다. * 2020년 6월 22일 개편으로 월암교 대신 선돌교를 경유하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특징 == * 원래 성서산단 근로자들을 위해 만든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대에만 그럭저럭 수요가 있고 그 외의 시간대에는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이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길고 다른 노선들을 운행하던 차량들을 상용차량으로 투입한다. 사실상의 무덤 노선이다. * 예전에 송현공원 근처에 있었다가 2008년 4월 12일 월암동으로 신축 이전한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앞을 유일하게 경유하는 노선이다.[* 옛 송현동 중소기업청 앞에는 현재 중소기업지원센터가 들어서 있다.] 당시 구 5번이 운행했던 신당네거리~이곡역까지 운행 후 이곡역에서 바로 우회전하여 101번과 111번이 다녔던 갈산동, 장동네거리 일부 구간을 경유한다. 이 노선의 경유지는 대부분 성서산업단지이며 성서산업단지 외곽과 [[성서지구]], [[진천동]]을 경유한다. 다만 성서1(-1)번이 커버하지 않는 구간은 [[대구 버스 156|156번]],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대구 버스 564|564번]],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이 각각 나눠서 경유한다.[* [[대구 버스 156|156번]]은 장동네거리~성서공단네거리~호림네거리 구간(성서제2산단),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은 호림네거리~[[계명대역]] 구간(성서제2산단, 대구비철금속협업단지), [[대구 버스 564|564번]]은 장동네거리~성서공단네거리~갈산네거리~[[성서산업단지역]] 구간(성서제1산단, 성서제2산단),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은 대천동공영차고지~성서공단네거리~갈산네거리~성서산단네거리 구간(성서제1산단, 성서제2산단, 성서제4산단)을 맡고 있다. 하지만 성서1(-1)번은 성서산단 주요 지역을 다니면서 사실상 성서산단 순환버스의 역할을 하고 있다.] * 대천동, 진천동 구간은 성서1번과 성서1-1번 모두 유천동포스코더샵아파트→[[진천역|진천네거리]]→삼성래미안→유천동포스코더샵아파트 구간으로 운행하므로, 양 노선이 서로 반대쪽으로 운행하는 구간이 아니다. 사실 [[진천역]]~삼성래미안 구간은 성서산단 방면에서 진천역에서 왔다가 다시 성서산단 방면으로 갈 때 차를 돌리는 회차지이기 때문이다. * 2015년 개편 전에는 [[신흥버스]]에서 운행했다. * 2015년 노선 개편으로 성서 주거단지(와룡시장 등지)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고, 1대 증차되긴 했지만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직진하여 매곡리공영차고지로 연장[* 2015 개편 후 신흥버스 차고지는 중간에 지나가기만 할 뿐, 무정차 통과한다. 신흥버스 차고지는 차고지 출발/도착 차량용 정류장이며, 성서1(-1)번 타고 차고지로 가려면 산업은행 성서지점에서 하차해야 한다.]되어 배차간격이 더 늘어나 반발 민원이 상당히 많다. 산업단지 출퇴근 노선이니 어쩔 수 없다고 하기에는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이 같은 성격의 노선임에도 평일 13분으로 다니는 걸 보면, 성서1(-1)번은 확실히 배차를 줄여 줄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의견이 많이 나온 후 증차가 확정되긴 했는데, [[대구 버스 655|655번]] 2대가 각각 투입될 예정이다. * 세천리로 들어가긴 하나, [[대구 버스 성서3|성서3번]]과 달리 5차산단 안쪽과 세천고개로는 운행하지 않고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로 직진한다. 그리고 예전 [[대구 버스 514|514번]] 세천지선처럼 [[계명대역|신당네거리]] ~ 계대동문 ~ 서재초교 ~ 서재출장소 ~ 세천리로 운행한다. * 여담으로, 2015년 개편 이전에는 성서권역 지선버스들 중 유일하게[* 성서1번과 성서1-1번을 하나의 노선으로 본다면] [[다사읍]]으로 가지 않았다. * 운행 구간 중 과거 공군 활주로가 있었던 성서동로의 월암동 활주로주유소 교차로는 차량이 적은 시간대에도 헬게이트로 악명높다. 그런데 이 곳을 6월 22일부터 월암교 대신 선돌교 경유로 바뀌어 직진이 아닌 좌/우회전하게 되면서, 성서1(-1)번의 교차로 통과 난이도가 더더욱 상승했다.[* 이 도로가 폭이 좁고 경사졌음에도 성서권에서 월배 쪽을 안 거치고 진천동으로 다이렉트로 꽂을 수 있는 지름길이기 때문에, 교통량이 상상을 초월한다. 선돌교를 지나 계속 직진하다 보면, 고속도로 진천동 쪽으로 연결되는 고속도로 굴다리가 몇 개 있다. 이 중 조암로10길과 연결되는 굴다리의 경우 계속 직진하면 대곡지구(대곡초등학교)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왕복 1차로로 좁은 길이지만 특히 통행량이 많다. 심지어 성서 쪽에서 진천 쪽으로 빠질 차량들 중 레미콘,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이 미친듯이 밟으며 내려오는데다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비보호 교차로이므로, 성서1(-1)번을 이용하기 위해 길을 건널 땐 다가오는 차량의 속력과 위치까지 고려해 가며 건너야 한다. 차가 안 올 때 건너는 건 장동네거리에서 보행자 신호가 켜졌을 때뿐이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103명 || - || || 2015년 || 1,189명 || {{{#red,#salmon △ 86}}} || || 2016년 || 1,202명 || {{{#red,#salmon △ 13}}} || || 2017년 || 1,362명 || {{{#red,#salmon △ 160}}} || || 2018년 || 1,257명 || {{{#blue,#6495ed ▽ 95}}} || || 2019년 || 1,513명 || {{{#red,#salmon △ 256}}}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017명 || {{{#blue,#6495ed ▽ 496}}} || || 2022년 || '''1,159명''' || {{{#red,#salmon △ 152}}}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성서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990명 || - || || 2015년 || 933명 || {{{#blue,#6495ed ▽ 57}}} || || 2016년 || 1,230명 || {{{#red,#salmon △ 297}}} || || 2017년 || 1,354명 || {{{#red,#salmon △ 124}}} || || 2018년 || 1,368명 || {{{#red,#salmon △ 14}}} || || 2019년 || 1,450명 || {{{#red,#salmon △ 82}}}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979명 || {{{#blue,#6495ed ▽ 471}}} || || 2022년 || '''1,220명''' || {{{#red,#salmon △ 241}}}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진천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실역]], [[강창역]],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이곡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성서 연계 버스)] [include(틀:대구 월배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