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신252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구1-1.jpg|width=100%]]}}} || || [[경신교통]] 차량 서구1 || [[신흥버스]] 차량 서구1-1 || [목차] == 노선 정보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시내버스 지선 서구1번 노선도_Naver Map.jpg|width=100%]]}}}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평일, 토요일]''' 22:27 / '''[공휴일]''' 22:11 || 막차 || - || ||<-2> 평일배차 || 16분 ||<-2> 주말배차 || 22분 || ||<-2> 운수사명 || [[경신교통]] ||<-2> 인가대수 || 10대[* 공휴일 7대 운행] || ||<-2><|2> 노선 ||<-4> [[방천리공영차고지]] - __가르뱅이__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경덕여고 → [[북부정류장]] → 노원네거리 → 원대시장 → 비산지하도 → '''평리1동 행정복지센터''' → 서도초교서편 → '''[[이월드|이월드후문]]''' → 성당시장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대명역]]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죽전119안전센터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서대구공단네거리) 이후 역순 || ||<-4>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15 || 막차 || - || ||<-2> 평일배차 || 17분 ||<-2> 주말배차 || 22분 || ||<-2> 운수사명 || [[신흥버스]] ||<-2> 인가대수 || 10대[* 공휴일 7대 운행] || ||<-2><|2> 노선 ||<-4> [[방천리공영차고지]] - __가르뱅이__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공단네거리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죽전역(대구)|죽전역]] → 금봉네거리 → 서부정류장 → 대명역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성당시장 → 이월드후문 → 서도초교서편 → '''비산초교''' → 비산지하도 → 원대시장 → 노원네거리 → [[북부정류장]] → 경덕여고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이후 역순 || ||<-4>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서구1''' 방향 || 두류보성맨션^^평일, 토요일^^, 평리2동행정복지센터^^공휴일^^, 대구은행북비산지점^^공휴일^^, 원대시장^^평일, 토요일^^, 북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중리광명맨션^^공휴일^^, 한국섬유개발연구원^^평일, 토요일^^ || || '''서구1-1''' 방향 ||홈플러스내당점^^평일, 토요일^^, 대구차여성병원, 본리초등학교, 서평초등학교^^평일, 토요일^^ || * 방천리공영차고지 출발 직후 및 도착 직전 가르뱅이 경유.[* [[대구 버스 234|234번]]과 동일한 방식.][* 일부 정류소의 노선 안내도에는 서구1, 서구1-1 각자 처음이나 끝부분에 가르뱅이가 생략돼 있지만, [[대구 버스 234|234번]]과 마찬가지로 가르뱅이를 필히 경유하므로 안심해도 좋다.] * '''토요일, 방학감차 없음'''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1200010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서구1번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1200011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서구1-1번 정류소 목록]] [* 알아차렸겠지만 보다시피 편도운행 노선이다.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 형태 때문.] == 개요 == 대구광역시의 순환형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지선버스]]. 운행 거리는 35.1(서구1)/35.4(서구1-1)km.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를 출발해 서구 내당동 [[내당역]]을 경유, 다시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한다. [[경신교통]]이 서구1번을, [[신흥버스]]가 서구1-1번을 운행한다. 여러 노선들을 대체하고 죽전네거리와 서대구산단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취지로 신설한 노선이나, 나름 이용률이 있는 몇몇 구간들을 제외하면 [[대구의료원]] 정문 및 용산동 미경유로 인해 시민들에게 평가가 극과 극 수준으로 심하게 엇갈리고 있는 노선이다. == 역사 ==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부로 시행되는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s-8|2016년 2월 13일 부]]로 서구1, 서구1-1 각각 1대씩 감차되어 다른 노선에 증차되었다. * 2016년 3월 21일 가르뱅이(상리동종점)에서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연장했다. 운행 방식은 [[대구 버스 234|234번]]과 동일하다. [[http://blog.naver.com/rainbow0670/220651390938|관련 게시물]] * [[서대구역]] 개업과 함께 2022년 3월 31일 부로 [[서대구역]](남측)1,2 정류장, 달서교하부 공영주차장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3년 2월 18일 막차시간표 조정으로 서구1-1번 한정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나 17분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조정된 [[대구 버스 518|518번]]과 동일한 배차간격이다. 고작10대에 1.700명때라 급이다르다 == 특징 == * 가르뱅이 종점은 상리동 종점의 순 우리말이다. *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최초의 지선버스 노선이다. * 노선의 선형을 보면 알겠지만 '''[[대구 버스 452|452번]][* 북비산네거리~성당시장 구간], [[대구 버스 805|805번]][* [[안지랑역]]~본리초교~죽전네거리 구간], [[대구 버스 202|202(-1)번]][* 가르뱅이~중리네거리, 평리네거리~원대시장 구간], [[대구 버스 400|400(-1)번]][* 중리네거리~죽전네거리 구간], [[대구 버스 420|420(-1)번]][* 중리네거리~신평리네거리 구간],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 성당시장~안지랑네거리 구간]''' 등 노선 개편으로 폐지되거나 운행 구간을 맞바꾼 노선들의 경로를 서로 '''짜깁기'''하여 운행하고 있다. 개편 때에는 [[대구 버스 452|452번]]의 [[서구(대구광역시)|서구]] 구간 대체 노선으로 명기했다.[* 때문에 가끔 가다가 승객 수가 많아 보이는 서구1(-1)번을 보고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고 판단하면 안 된다. 모두 이전 노선들의 수요 폭증 및 주력 구간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서구1(-1)번의 구간이 아니다. 메인으로 올린 [[대구 버스 452|452번]]도 구간 수요가 주력이었다.] 따라서 서구1번과 서구1-1번 둘 다 대구 버스 역사상 버스가 최초로 다니는 경로나 자신만의 고유 구간은 거의 없다...라는 말은 잘못되었다.[* 같은 날 신설된 240번 노선도 단독 구간이 없다.] * 서대구산단에서 [[와룡로]], [[죽전역(대구)|죽전역]]을 빠르게 연결해 주는 노선이다. 서대구산단네거리에서 본리초교 구간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데, 이 구간은 신설 때부터 서구1(-1)번의 장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2022년 1월 22일부터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이 와룡로 전체를 관통하면서, 서구1(-1)번이 급행8번의 와룡로 구간을 보조한다. '''[[서대구역]](남측)~서대구산단~[[죽전역(대구)|죽전역]]~[[서부정류장]] 구간은 서구1(-1)번의 주력 구간이다.''' 다만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과 달리 서구1(-1)번은 중리네거리와 서구문화회관을 거쳐서 [[서대구역]]으로 가기 때문에, 여기서는 굴곡이 있다. 다만, 서대구역에서 서구문화회관까지 가는 사람은 204번보단 서구1번 타는것이 빠르다. 어차피 배차간격도 비슷하고... * 성당시장과 파도고개로, [[내당역]]에서 평리동(통학로)과 비산동을 연결해 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실제로 파도고개로 일대에는 이게 없으면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밖에 다니지 않는다. 게다가 달서4(-1)번은 '''18~19분이나 된다.''' 물론 도보 10~20분 거리에 다른 버스 정류소(반고개, 굿모닝병원, 현대해상 대구사옥, 대구보건고등학교, 성당시장 등)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있기는 하지만, 이 구간 때문에 서구1(-1)번이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논란|논란]]이 많아도 함부로 건드릴 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비산동/[[원대동]]에서 3공단으로의 출퇴근 셔틀버스 및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번]]의 백업 역할, [[죽전역(대구)|죽전역]]~[[안지랑역]] 구간 구 [[대구 버스 805|805번]] 구간의 백업 역할을 한다. *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에는 교통섬과 중앙분리대가 있어서 [[대구 버스 452|452번]]이 그러했듯 평리2동행정복지센터~북비산네거리 구간에서 서구1번은 비산동우체국에서 문화로(비산6동행정복지센터)로 우회전하고, 서구1-1번은 비산초등학교 정문으로 편도 운행하여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한 후 북비산네거리로 간다.[* [[대구광역시경찰청]]에서는 시청에서 원할 경우 얼마든지 교통섬과 분리대를 철거해서 왕복 운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버스운영과는 의지가 없어서 안 한다.] 서구1-1번의 평리1동행정복지센터네거리 → 비산초교 정문([[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구간은 옛 마을버스 2번의 구간이기도 하다. * [[저상버스]]가 9대 들어가는 서구1번은 저상버스로 파도고개를 올라가는 위엄을 보여 주고 있다. * 언제부터인가 일요일 서대구역네거리 중간종료 차량이 '[[내당역]] 종료'로 차량 LED행선판에 잘못 뜨고 있다. 대구 시내버스 안내에도 잘못 기재되어 나오고 있다. * 2023년 1월 설날 연휴에는 이 노선 한정으로 [[서대구역]] 연계 심야버스를 운행했다. * 평시에는 15분 남짓의 배차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평일 저녁 RH에는 배차가 25분 정도로 벌어지는 모습이 있다. 또한 휴일에는 딱 1대만 감차해서 운행했으나, 언제부터인가 휴일에 3대를 감차하여 휴일 배차간격이 예전보다 더 벌어졌다. === 논란 ===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논란]] 참조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6년 || 2,962명 || - || || 2017년 || 2,724명 || {{{#blue,#6495ed ▽ 238}}} || || 2018년 || 2,790명 || {{{#red,#salmon △ 66}}} || || 2019년 || 2,811명 || {{{#red,#salmon △ 21}}}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2,162명 || {{{#blue,#6495ed ▽ 649}}} || || 2022년 || '''2,059명''' || {{{#blue,#6495ed ▽ 103}}}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6년 || 2,901명 || - || || 2017년 || 2,729명 || {{{#blue,#6495ed ▽ 172}}} || || 2018년 || 2,605명 || {{{#blue,#6495ed ▽ 124}}} || || 2019년 || 2,590명 || {{{#blue,#6495ed ▽ 15}}}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989명 || {{{#blue,#6495ed ▽ 601}}} || || 2022년 || '''1,910명''' || {{{#blue,#6495ed ▽ 79}}}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죽전역(대구)|죽전역]][* 환승 환경이 그닥 좋지 않다가, 서편 출입구 2개가 완성되어 대폭 개선되었다.], [[내당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만평역]][* 다른 노선들을 포함한 3호선 환승역으로는 가장 좋지 않은 위치.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앞에 역이 있기 때문이다.], [[원대역]][* 정류소와 역 간의 거리 차이가 270~330m 정도인데, 이 거리는 [[막장환승]] 거리다. 게다가 원대오거리의 보행자 신호 텀이 매우 길어 반발이 많다. 그래서 북비산네거리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다고 한다.] * 일반 철도역 : [[서대구역]](SRT, KTX)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