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창 동구5.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동구5.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매여동(동구)저탄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매여동(동구)저탄장)[* 1일 4회 편도운행만 하는 노선의 종점은 용계삼거리다.]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7:03 || || 막차 || 22:29 || 막차 || 22:04 || ||<-2> 배차간격 ||<-4> 1일 17회[* 이 중 1일 4회는 용계삼거리 방면 편도운행만 한다.](아래 시간표 참조) || ||<-2> 운수사명 || [[우창여객]] ||<-2> 인가대수 || 1대 || ||<-2> 노선 ||<-4> 매여동 - 의료연구개발특구 - [[열병합발전소|대구그린파워]] - (정동고교 → 용계삼거리 → 율하고가교 → ) - 율하교동편 - 매여동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율하역''' 방향 || 없음 || || '''매여동''' 방향 || 없음 || == 개요 ==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매여동과 [[용계역]]/[[율하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5000&stop_busyn=N&move_dir=1|본선]],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5100&stop_busyn=N&move_dir=|용계역 방면]]) == 역사 == * 이 노선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이전까지 다니던 11-6번이 매여동, 상매동, 율암동에 들어갔다. (기존 [[대구 버스 849, 849-1|849번]]이 직진하여 방촌시장 쪽으로 간 뒤, 방촌시장부터 [[대구 버스 동구3|동구3번]]같이 운행했다고 보면 된다.) * 매여동 - 상매동 - 율암동 - 저탄장 - 정동고교 - 용계역 - 방촌역 - 아양교 - 파티마병원 - 공고네거리 - [[칠성시장]] * 2017년 10월 23일에 [[대구 버스 수성2|수성2번]]의 '용계삼거리 - 저탄장 - [[열병합발전소|대구그린파워]] - 매여동' 구간을 분리해 신설했다. [[http://businfo.daegu.go.kr/ba/notice/notice.do?act=hpdetail&wnTCd=1&id=14011&fix_yn=N|대구광역시 공지사항]] == 특징 == * [[대구 버스 수성2|수성2번]]에서 분리된 노선이지만, [[대구신서혁신도시]] 의료연구개발특구와 항공교통본부를 경유하는 등 수성2번 구간을 완전히 가지고 온 것은 아니다. * [[율하역]] 방면은 [[열병합발전소|대구그린파워]]에서 안심고가교 하단으로 [[범안로(대구)|범안로]]를 타고 내려오고[* [[http://businfo.daegu.go.kr/ba/index/index.do|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안내 홈페이지]]에서는 상/하행 모두 연료단지(저탄장)으로 들어가는 경로로 표시되지만, 실제로 확인해 본 결과 율하역 방면은 이 문서의 설명대로 [[열병합발전소|대구그린파워]]에서 그대로 [[범안로(대구)|범안로]]를 타고 내려간다. 현재는 수정되었다.] 반대로 매여동 방면은 연료단지(저탄장) 및 율암동 안쪽으로 들어가서 올라간다. 당시에는 반야월로와 범안로가 교차하는 율하교네거리는 저탄장에서 율하역 방면으로 좌회전이 안 됐기 때문이다. 또 같은 이유로 용계역까지 크게 우회하여 율하역으로 돌아오는 특이한 회차 방식을 가지고 있다. 범안로가 아닌 용계로로 조정하여 율하천변에 있는 작은 마을에 정류소를 세울 법한데도, 대로로 정차하지 않고 직통하여 [[마을버스]] 역할에 충실하지 못한 모습도 보인다.[* 사실 용계로는 대형 차량이 못 들어갈 정도로 도로가 협소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다만 율암동 안쪽 구간에서도 정차하는 정류장은 없다. 이후 율하교네거리의 정동고교 -> 혁신도시 방면, 저탄장 -> 율하역 방면으로 좌회전이 허용되면서 조만간 이 노선의 회차방식이 개선 될 것으로 보인다. * 시간표에는 매여동으로 돌아온 후 10분 간 휴식한 뒤 출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식사 시간에는 [[율하역]]에서 매여동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동호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 뒤 식사, 휴게, CNG 충전 등을 해결하고 돌아온다. 돌아올 때도 [[율하역]] → 매여동 방향으로는 영업운행하지 않는다. 시간표에 비는 칸이 이 시간대다. * 막차는 밤 10시 49분에 [[용계역|용계삼거리]]에서 종료한다. * [[용계역]]으로 가려면 용계삼거리 정류장에서 내려 4번 출구까지 걸어가야 하기 때문에, [[율하역]] 환승이 훨씬 짧다. 굳이 [[용계역]]을 이용하고 싶다면, [[LG생활건강]] 물류센터 등지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해서 [[용계역]] 1번 출구 정류장으로 가야 한다. [[율하역]]은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이 다니는 [[범안로(대구)|범안로]] 진입도로에 있는 율하고가교 정류장에서 내리면 5번 출구와 가깝고, 5번 출구 방향으로 있는 지하 1층-지상층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물론 1일 4회 운행하는 용계삼거리 타절 시간대라면, 얄짤없이 용계역 환승 확정이다. * 승무 교대는 13:30분에 [[율하역]]을 출발하여 옛 저탄장 입구에서 이루어진다. * 동구5번으로는 혁신도시 통근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어서 2023년 10월 4일부터 [[대구 버스 의료R&D지구 DRT|의료R&D지구 DRT]]가 신설되었다. === 시간표 === || 매여동[br](출발) || [[용계역|용계삼거리]] || [[율하역]] || 율하교[br](동편) || 매여동[br](도착) || || 5:30 || 5:50 || - || - || - || || 6:38 || 경유 || 7:03 || 7:10 || 7:28 || || 7:38 || 경유 || 8:05 || 8:12 || 8:30 || || 8:40 || 경유 || 9:08 || 9:15 || 9:33 || || 9:43 || 경유 || 10:11 || 10:18 || 10:36 || || 10:46 || 경유 || 11:14 || 11:21 || 11:39 || || 11:49 || 12:14 || - || - || - || || 13:02 || 경유 || 13:30 || 13:37 || 13:55 || || 14:05 || 경유 || 14:33 || 14:40 || 14:58 || || 15:08 || 경유 || 15:36 || 15:43 || 16:01 || || 16:11 || 경유 || 16:39 || 16:46 || 17:04 || || 17:14 || 경유 || 17:42 || 17:49 || 18:07 || || 18:17 || 18:42 || - || - || - || || 19:30 || 경유 || 19:58 || 20:05 || 20:23 || || 20:33 || 경유 || 21:01 || 21:08 || 21:26 || || 21:36 || 경유 || 22:04 || 22:11 || 22:29 || || 22:29 || 22:49 || - || - || - ||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8년 || 54명 || - || || 2019년 || 58명 || {{{#red,#salmon △ 4}}}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43명 || {{{#blue,#6495ed ▽ 15}}} || || 2022년 || '''70명''' || {{{#red,#salmon △ 27}}}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용계역]], [[율하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안심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