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구1 52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덕 동구1-1.jpg|width=100%]]}}} || || [[경상버스]] 차량 동구1 || [[대덕교통]] 차량 동구1-1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조일고등학교]])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조일고등학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33 || 막차 || - || ||<-2> 평일배차 || 16분 ||<-2> 주말배차 || 21분 || ||<-2> 운수사명 || [[경상버스]] ||<-2> 인가대수 || 8대[*2 토요일 7대 / 공휴일 6대 운행] || ||<-2> 노선 ||<-4> [[조일고등학교]] - [[용계역]] - 방촌시장 - 동촌강나루아파트 - 효목시장(남편) - (동구시장 → 동원초후문 → [[수성구청]] → [[수성시장역|수성시장네거리]] → [[대구광역시교육청]] → 수성태영데시앙 → 신천초교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동구기억쉼터) 이후 역순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동구1(-1) 노선도.png|width=100%]]}}}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1-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조일고등학교]])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평동([[조일고등학교]]) || ||<|2> 종점행 || 첫차 || 05:35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평일]''' 22:40 / '''[토요일, 공휴일]''' 22:42 || 막차 || - || ||<-2> 평일배차 || 17분 ||<-2> 주말배차 || 22분 || ||<-2> 운수사명 || [[대덕교통]] ||<-2> 인가대수 || 8대[*2 토요일 7대 / 공휴일 6대 운행] || ||<-2> 노선 ||<-4> [[조일고등학교]] - 용계역 - 방촌시장 - ([[대구 공군기지]] 정문(U턴) →) - 동촌강나루아파트 - 효목시장(남편) - (동구기억쉼터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신천초교 → 수성4가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광역시교육청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동원초후문 → 동구시장) 이후 역순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동구1''' 방향 ||그랜드호텔^^평일, 토요일^^, 동구시장, 방촌역 || || '''동구1-1''' 방향 ||경신고등학교^^평일^^, 대구시교육청, 신천3동행정복지센터, K-2입구 || == 개요 ==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이며 순환형 지선노선이다. 본선 운행거리는 27.9(동1)/28.8(동1-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naver.me/FiaOP5Fc|동구1번]], [[http://naver.me/GVs0EFuQ|동구1-1번]]) == 역사 == * 2006년 2월 19일에 신설되었다. 신설 노선이지만 [[대구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솔렌스힐~신천초교~청구네거리~중구청~중앙네거리 구간은 2006년 개편으로 폐선된 [[대구 버스 903|903번]]이 다녔던 구간을 계승했다. 산격4동주민센터에서 용계삼거리까지 [[대구 버스 836|836번]]과 중복되는 구간인데, 이 구간에서 [[대구 버스 836|836번]]과 수요를 분담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당시에 나왔던 노선안내 책자에는 동구1번과 동구1-1번 모두 양방향 한일극장, 중앙네거리를 경유하는 것으로 나와 있었다. 그러나 중앙네거리에서 한일극장으로 좌회전을 못하기 때문에, 반시계 방향으로 편도운행하는 동구1-1번은 [[대구역]]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동인네거리를 거쳐 중구청으로 갔다. 이 노선은 당시 산격4동주민센터 동쪽의 2차선 도로에서 경대체육센터, 시내로 나오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당시에는 [[대구 버스 303, 303-1|303(-1)번]]이 없었던 시절이며, 303(-1)번은 2009년 1월 17일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이다. 2015년 8월 1일 개편 후 [[대구 버스 303, 303-1|303(-1)번]]은 704번과 통합하여 [[대구 버스 304|304번]]으로 운행 중이며, 현재 동구1(-1)번이 철수한 후 산격초교 - 경대체육센터 삼거리 사이로는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이 운행 중이다.] 이 때 산격4동 주민들이 동구1-1번도 시내 중심가로 운행해 달라는 민원을 많이 넣었고, 결국 2006년 9월 24일 개편으로 동구1-1번은 대구역네거리에서 교동네거리 대신 [[반월당역]]까지 내려온 뒤 봉산육거리, [[경대병원역]]을 경유해서 중구청으로 가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1년 2월 26일 개편으로 동구1-1번이 [[아양교역|아양네거리]]방면 한정으로 대구 공군기지 정문에서 U턴하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개편 후에도 [[아양교역|아양네거리]]방면 한정으로 공군기지 정문에 들어온다. * 2013년 11월 18일부터 [[성보교통]] 대신 [[경상버스]]가 동구1번 배차에 참여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북구, 중구 구간을 전부 삭제하고 동구와 수성구 일대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 평소에 버스가 안 다녔던 만촌1동 차량등록사업소 네거리 - 동원초교(서편) - [[흥사단]] 대구지부 사이로 직통하여 경신중고교로 내려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대구 버스 400, 400-1|400(-1)번]]의 신천시장, 수성동4가, [[태영 데시앙|수성태영데시앙]] 구간도 갖고 왔다. 효목네거리~2.28기념중앙공원 구간은 [[대구 버스 909|909번]]이, 반월당역~신천3동 행정복지센터 구간은 [[대구 버스 805|805번]]이, 산격동~시내 연결 기능은 [[대구 버스 304|304번]]이, 경대서문~산격4동 행정복지센터~복현오거리 구간은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이, 산격로~용계역 구간은 [[대구 버스 836|836번]]이 대체한다. * 2020년 6월 22일 개편으로 동구청~큰고개오거리~파티마삼거리~동대구역 구간이 폐지되어 동대구역 중앙차로를 경유하지 않으며, 아양네거리에서 효동로에 진입한 후 효동초등학교에서 효목로를 왕복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동구1번과 동구1-1번의 분기점이 [[동대구역]]네거리에서 효목성당으로 변경되었다. 효목로는 도심 속 교통 사각지대 중 하나로, 한동안 편도운행했던 439번이 무태로 들어가면서 폐지된 이래 충의로[* [[대구 버스 937|937번]]이 운행하는 급경사길이다. 당시 안내서에는 "예술인주택"으로 표기했다.]같이 노선버스가 오랫동안 없었다.[* 효목로는 무태로 가기 전의 439번(현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이 한동안 효목태왕메트로시티(옛 효목아파트)에서 우회전하여 편도운행했던 구간이다. 439번이 무태로 돌린 후에는 효목로에 노선버스가 없었다. 물론 효동로와 효목로를 오고가는 노선버스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 주민들의 숙원 사업이기도 했다.[* 다만, 노선 변경 직전에 홍보가 부족했던 점이 아쉽다. 아양교역 ~ 동대구역 구간을 빼면, 노선 변경 안내 종이를 부착하지 않았다. 아예 안내가 안된건 아니였는데, 버스 내에서 성우 안내방송으로 본 노선이 6월 22일부로 변경되오니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라고 송출되긴 했다. 개편 초기에 동구1-1번 기사님이 일일이 동구청, 동대구역 안 간다고 승객들에게 안내했다. 이제야 이 소식을 들은 일부 승객들은 타려다가 내렸던 경우가 많았다.] == 특징 == * 신덕마을 표지석 못 가서 회차하는 [[대구 버스 156|156번]]과 달리, [[조일고등학교|조일고교]]를 기종점으로 쓰고 있다. 조일고교는 [[대구 버스 156|156번]] 전용 회차지에서 약 600m 거리에 있다.[* 2006년 개편 전에 [[대구 버스 156|156번]]과 [[대구 버스 301|301번]]이 들어갔다. 동구1(-1)번이 신설되면서 [[대구 버스 156|156번]] 대신 동구1(-1)번이 대신 들어간다. 두 노선이 동시에 들어가기에는 회차지가 좁기 때문이다. 156번 전용 회차지는 [[동대구JC]]로 가는 도로와 나란히 있어서, 고속도로를 지나가면 잠시 쉬고 있는 156번을 볼 수 있다.] * 배차간격은 동구1-1번이 약간 더긴데, 대구 공군기지 정문에서 U턴하기 때문이다. * 동구1번 기사 교대는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일대에서 실시한다. 주로 [[용계역]]에서 교대를 많이 한다. * 가스 충전은 [[동호공영차고지]]에서 한다. [[용계역]]에서 승객들이 다 내리면, 용계역에서 타절하고 [[동호공영차고지]]로 간다. 신평동에서 반야월 방향으로 좌회전을 못하기 때문이다. === 2015년 개편 이후 === * [[대구 버스 805|805번]]과 더불어 망했다. 신설했던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은 죽전네거리를 남북으로 일직선 관통하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하나 있으나, 동구1(-1)번은 좋은 효과가 없다. '''동구1(-1)번의 변경은 805번의 단축과 더불어 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의 대표적 실패 사례다.''' *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도 문제점이 많지만, '''이 노선은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의 정도로 따지면 그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보다 더 하다.'''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은 서대구산단과 통학로, 파도고개로 일대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도시철도 2호선]] 환승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죽전역(대구)|죽전역]] 이용률이 증가했고, 배차간격이 다소 긴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보다 많이 이용하고 있지만, 동구1번, 동구1-1번은 공통 구간인 조일고등학교 구간을 제외하고는 [[대구 버스 618|618번]], [[대구 버스 805|805번]], [[대구 버스 808|808번(대구대행)]], [[대구 버스 980|980번]], [[경산 버스 818|경산 818번]] 등의 노선, 지하철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과 선형이 거의 중복된다. 거기에다가 동구1번이 기점에서 출발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뒤에 동구1-1번이 따라 나오는 등, 이렇다 보니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지역에서는 수요가 도저히 나올 수 없다. 신평동 안동네 구간을 단독으로 다니기 때문에, 동구 구간을 자르는 것도 불가능하다. * 그나마 제 역할을 하는 구간은 통학 시간대의 조일고교 구간과 [[수성구]] [[범어역]] - [[만촌동]], [[효목동]] 구간 그리고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수요다. 하지만 수성구도 이 지역들을 제외하고 [[범어역]]~[[수성시장역]][* 이 구간은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 [[대구 버스 413|413번]],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순환2(-1)번]]이 있던 구간이다. 게다가 이 노선 '''전부''' 동구1(-1)번보다 배차가 좋다.], [[대구 버스 400, 400-1|400(-1)번]]에서 넘겨받은 청구네거리~수성동4가 구간의 승객들은 거의 없다.[* 100% 동일한 선형은 아니지만 비슷한 곳으로 다녔던 옛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도 수성네거리, 수성시장, 수성동, 청구네거리 구간에서 승객이 적어 결국 2006년 개편 때 814-1번에 통합되는 원인이 되고 말았다. 옛날에 했었던 잘못을 또 저지른 셈. 물론 다니는 구간도 다르고 무료환승제 도입, 도시철도 2,3호선 개통에 따른 도시철도 연계,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대구신세계]] 개장 등, 구 814번이 다녔던 당시와는 여건이 많이 달라지긴 했다.] * 한편 2015년 8월 1일 개편 전에는 방촌 지역의 수요를 분담하던 [[대구 버스 836|836번]]이 동구1(-1)번의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구간 철수로 인해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주민들의 이용률이 늘어났다. 산격종합시장, 산격4동 일대도 [[대구 버스 304|304번]]이 동구1(-1)번의 변경으로 [[대구 버스 303, 303-1|303(-1)번]] 시절보다 이용률이 늘어났다.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에 가려져서 그렇지, 일부 시민들도 동구1(-1)번의 시내/북구 구간 철수를 그다지 호의적으로 보고 있지 않은 듯하다. 게다가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도 동구1(-1)번의 산격4동 철수 때문에 경대체육센터삼거리에서 산격4동주민센터로 진입하게 되어 [[경북대학교|경대북문]]에서 강제로 철수해야 했다. * 그야말로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 그 자체로 인해 [[대구 버스 202, 202-1|202(-1)번]]과 더불어 원래 노선으로 환원하라는 의견도 많았지만, '''대체 노선 없이 무작정 환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동구지선을 굳이 수성구까지 끌고 올 필요가 있었냐는 비판이 있지만, 수성동4가 구간, [[범어역]]~[[만촌동]], [[효목동]] 구간에서 대체 노선 없이 변경하면 민원들이 반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사실상 개편 + 기존노선 폐지 + 감차 필수 + 대체노선 부재에 따라 짬뽕으로 만든 대체노선 =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의 결과다. * 2015년 8월 1일 노선이 변경된 후 그나마 장점이 생긴 게 있다면 신천동 일대에서 지하철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및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과 연계가 쉬워졌다는 것. 버스 정류장에서 도시철도역 간 거리도 짧은 편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경우 대구시교육청앞(동구1), 수성하이츠(동구1-1) 정류장에서 연계할 수 있고,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은 [[수성시장역]] 정류장에서 연계할 수 있다. * 2020년 6월 22일 노선이 변경되면서 효목성당 - 효목1동 행정복지센터 - [[아양교역]] 경로로 운행하기 때문에 효목동 일대의 도시철도 연계 및 신규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아양교역]]을 앞두고 효동로에 들어가게 되어 [[아양교역]] 연계가 다소 불편해졌고,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을 제외한 팔공산권 노선(불로삼거리 이북으로 가는 노선)과의 환승이 불편해졌다.[* 내린 그 자리에서 환승은 불가능하고, 한 정류장을 걸어 이동한 뒤 길을 건너야 환승이 가능하다.] 변경 전 구간은 805번과 경산 818번이 대체하기 때문에, 동구1(-1)번이 없어도 크게 걱정할 만한 문제가 아니다. * 동구1-1번은 [[대덕교통]]의 운행 노선들 중 유일하게 대덕교통이 단독 배차하는 노선이며, [[북구(대구광역시)|북구]]와 [[중구(대구광역시)|중구]]를 지나지 않는다.[* 단 2015년 8월 1일 개편 전까지는 상술했듯 [[북구(대구광역시)|북구]]와 [[중구(대구광역시)|중구]]를 지났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2,928명 || - || || 2015년 || 2,947명 || {{{#red,#salmon △ 19}}} || || 2016년 || 1,983명 || {{{#blue,#6495ed ▽ 964}}} || || 2017년 || 1,981명 || {{{#blue,#6495ed ▽ 2}}} || || 2018년 || 2,034명 || {{{#red,#salmon △ 53}}} || || 2019년 || 2,053명 || {{{#red,#salmon △ 19}}}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438명 || {{{#blue,#6495ed ▽ 615}}} || || 2022년 || '''1,717명''' || {{{#red,#salmon △ 279}}}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3,126명 || - || || 2015년 || 2,915명 || {{{#blue,#6495ed ▽ 211}}} || || 2016년 || 2,371명 || {{{#blue,#6495ed ▽ 544}}} || || 2017년 || 2,239명 || {{{#blue,#6495ed ▽ 132}}} || || 2018년 || 1,973명 || {{{#blue,#6495ed ▽ 266}}} || || 2019년 || 1,973명 || -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340명 || {{{#blue,#6495ed ▽ 633}}} || || 2022년 || '''1,778명''' || {{{#red,#salmon △ 43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중앙로 대신 수성구청으로 경유지가 변경되면서 수요가 대폭 감소하였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용계역]], [[방촌역]], [[해안역]], [[동촌역]], [[아양교역]][* 동촌강나루아파트 하차],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수성구청역]], [[범어역]], [[대구은행역]][* 대구시교육청(동구1번)/수성하이츠(동구1-1번) 하차.]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수성구민운동장역]][* 여성메디파크(동구1번)/범어쌍용예가(동구1-1번) 하차.], [[수성시장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