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 [[파일:달성8번 저상버스.jpg|width=100%]] || [[파일:달성8-1 저상버스.jpg|width=200%]] ||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소속 시절[br]달성8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소속 시절[br]달성8-1 || [목차] == 노선 정보 == ||<-10><:><#f6af30>{{{#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8번}}}|| ||<-2><:>기점||<:>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현풍시외버스터미널)||<-2><:>종점||<:>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현풍시외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06:30||<|2><:>기점행||<:>첫차||<:>-|| ||<:>막차||<:>21:28||<:>막차||<:>-|| ||<-2><:>배차||<-4><:>1일 19회|| ||<-2><:>운수사명||<:>[[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2><:>인가대수||<:>1대|| ||<-2><:>노선||<-4><:>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우체국 - (고래들공원 → [[DGIST]] → 초곡리입구 → 우미린아파트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국립대구과학관]]정문 → 세하 → 포산고) 이후 역순|| ||<-10><:><#f6af30>{{{#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8-1번}}}|| ||<-2><:>기점||<:>대구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br](현풍시외버스터미널)||<-2><:>종점||<:>대구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br](현풍시외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06:10[* 대구과학관 중간출발]||<|2><:>기점행||<:>첫차||<:>-|| ||<:>막차||<:>21:45||<:>막차||<:>-|| ||<-2><:>배차||<-4><:>1일 20회|| ||<-2><:>운수사명||<:>[[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2><:>인가대수||<:>1대|| ||<-2><:>노선||<-4><:>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우체국 - (포산고 → 세하 → 국립대구과학관정문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남해오네뜨2차 → 초곡리입구 → DGIST → 고래들공원) 이후 역순||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소''' || || '''달성8''' 방향|| 없음 || || '''달성8-1''' 방향 ||<(>국립대구과학관 || ||<-2><:><#B2EBF4> '''중간 종료 정류소''' || || '''달성8''' 방향|| 없음 || || '''달성8-1''' 방향 || 없음 ||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유가읍]] 상리 [[국립대구과학관]]을 거쳐 다시 현풍읍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순환운행하는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8000&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달성8번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8100&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달성8-1번 정류소 목록]] == 역사 == [[2013년]] [[7월 28일]] 신설된 노선으로 [[현풍읍]]과 [[유가읍]] [[테크노폴리스]] 일대를 순환하는 단거리 셔틀형 노선이었다. 처음에는 인가대수는 달성8번, 달성8-1번 각각 2대, 배차간격도 각각 25분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왠지 인가대수로 1대로 줄고 따라서 배차간격도 36분으로 늘어났다. 여유 차량도 없고[* 하술하지만 순수증차가 안 되는 이상 노선을 신설할려면 다른 차량에서 노선을 감차해서 가져와야 된다.] 당장은 입주한 기업도 별로 없기 때문에 상주 인구는 거의 없다시피한 상황에서 2대까지 운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 따라서 향후 상주 인구가 생기고 기업들도 많이 들어서면 증편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일단은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을 각오하고 만든 노선이며 [[테크노폴리스]]로 가는 노선이 이 노선을 제외하면 [[대구 버스 달성5|달성5번]]이랑 [[대구 버스 600|600번]](주말, 공휴일 노선)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 노선들도 [[테크노폴리스]] 일부 지역으로만 운행하는 노선이라 교통 편의 차원에서 신설한 듯하다.[* 그나마 2014년 7월 12일 이전에는 [[대구 버스 달성5|달성5번]], [[대구 버스 600|600번]](주말, 공휴일 노선)은 [[테크노폴리스]] 구간을 경유하면서 정차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공기수송을 면할 수 없었고, 긴 배차간격에 노선과 주민들의 생활 경로와 일치되지 않는 문제에 따른 저조한 이용률 때문에 결국 신설 이후 약 6년만에 2019년 4월 19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대부분의 구간은 [[대구 버스 655|655번]]이 운행하여 대체할 예정이나, 이에 따라 655번은 다시 100km 가까이 나오는 노선으로 회귀하게 됐다.[* 당장 600번이 왕복 96.5km다.] == 특징 == 신설 당시에는 1회 운행할 때 걸리는 시간이 27분으로 대구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짧았기 때문에 기점인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쉬는 시간이 5~10분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아침, 점심, 저녁시간에 한번씩 쉬는 시간이 20분씩 주어질 때가 있었는데 아침, 저녁시간에는 식사시간을 감안해서 휴식시간이 길었던 듯 하다. 점심시간에 [[논공읍]] 하리 약산온천 옆에 있는 하리CNG충전소에 가서 가스충전을 하면서 충전소에서 기사교대가 이루어지는 듯했으며, 실제 배차간격은 32~47분이었다. [[현풍읍]]으로 들어가는 다른 지선노선들과는 달리 [[현풍읍]] 안쪽을 경유하지 않고 우회도로를 경유한다. 이 노선이 신설된 당시 [[테크노폴리스]] 공사가 덜 되어 테크노폴리스 내에 작동하는 신호등이 '''단 1개'''밖에 없어 편도구간인 대구테크노폴리스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2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았으나... 2014년 경부터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생기기 시작했고, 이후 상주인구 및 유동인구가 늘어나면서 운행시간이 더 늘어나게 되었다. 그렇지만 운행시간이 늘어났다 해도 길어야 20분 내외라 버스 기사들이 좋아할 거 같은 노선인 듯하다. 일단 운행시간이 짧아서 화장실 갈 걱정은 안 해도 되고 승객도 별로 없다. 거기다가 아직까지는 운행구간 중 [[헬게이트]]가 열릴 만한 구간이 없다. 각 1대밖에 없으니 시내 노선들처럼 앞차와 뒷차 간격을 생각하면서 운전할 필요도 없다. 그래서 그런지 이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들은 친절한 편이다. 수요가 워낙 적어서 이후에 시간표를 개정하면서 1타임당 운행시간이 32분으로 5분 더 늘어났고 그에 따라 운행횟수도 각 23회로 4회 감회되고 배차간격도 40분으로 길어졌다. 다만 아침, 저녁식사에는 아예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데 [[테크노폴리스]]가 점점 개발되고 신호등이 늘어나면서 운행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은 [[테크노폴리스]]는 한창 개발 중이다. [[테크노폴리스]]의 완공 시점은 2015년이지만 정주 여건이 완비되려면 2020년은 넘어야 할 것이다. 2015년 1월에 다시 시간표를 개정하면서 운행횟수 20회[* 달성8-1번은 아침 1회차 운행 시 국립대구과학관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차가 있는데, 이 차까지 포함하면 21회다.], 배차간격은 50분으로 더 길어졌다. [[현풍읍]] 구간에서 달성8, 달성8-1 통합 배차간격은 25분 정도다. 막차 다이어도 당겨졌다. 2017년 현재, 테크노폴리스 내 상주인구가 많이 늘어나서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이 시간대를 가리지 않고 기본 만석은 찍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잉여 취급을 받는 듯하다. 일단은 배차간격이 길고, 테크노폴리스 내 상업지구랑 아파트 밀집지역을 극히 일부만 통과하기 때문에 테크노폴리스 내부 수요도 그리 많지 않고, 테크노폴리스가 있는 [[유가읍]] 자체는 현풍 생활권이긴 하지만 테크노폴리스 내 아파트가 생기면서 유입된 주민들은 볼일을 [[현풍읍]] 소재지로 나가서 해결하기보다는 테크노폴리스 내부에서 해결하거나,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을 타고 대구 시내로 나가서 해결한다. 이와 같은 문제로 폐지 수순을 밟게 되었다. == 시각표 == [[http://businfo.daegu.go.kr/ba/page/schedulegap.do?act=list&route_id=4040008000&d_t_cd=0&route_no=%B4%DE%BC%BA8|달성8번]] [[http://businfo.daegu.go.kr/ba/page/schedulegap.do?act=list&route_id=4040008100&d_t_cd=0&route_no=%B4%DE%BC%BA8-1|달성8-1번]] == 이용 팁, 주의점 == 달성8번이나 달성8-1번이나 모두 배차간격이 길다. 따라서 왕복구간인 [[현풍읍]] 구간에서 [[테크노폴리스]]로 가려면 달성8번이나 달성8-1번이나 '''그냥 먼저 오는 걸 타는 게 낫다.''' 예를 들면 현풍터미널에서 [[DGIST]]를 가려고 할 경우 달성8번을 타면 더 빨리 가지만 달성8-1번이 먼저 출발한다면 달성8-1번을 타고 가는 게 낫다는 뜻이다. 반대로 [[테크노폴리스]] 구간에서 현풍으로 갈 경우에도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위치를 확인한 후 먼저 오는 버스를 타는 게 낫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노선이 [[테크노폴리스]]를 다 도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테크노폴리스]] 어디를 가든지 어느 노선을 타나 소요시간이 길어야 10분 차이밖에 안 나기 때문이다. 50분이라는 긴 배차간격을 생각한다면 목적지까지 조금 더 걸리더라도 먼저 오는 버스를 타는 게 더 빨리 도착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정신건강에도 좋고~~ 달성8번과 달성8-1번 모두 DGIST 내부를 돌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운행한다. 이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릴 때에는 폴대가 설치된 곳에서 기다려야 하고 반대쪽은 학교측에서 운행하는 스쿨버스 전용 정거장이다. 그러나 2019년 4월 20일 이후로 어떤 시내버스도 DGIST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f6af30>{{{#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8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 ||<:>42명||<:>32명||<:>36명||<:>51명|| ||<-10><:><#f6af30>{{{#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8-1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 ||<:>44명||<:>43명||<:>34명||<:>42명||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