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6년 2월 18일 ~ 2006년 9월 24일까지 운행하였던 달성3번, rd1=대구 버스 달성2)] [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대3802.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달성3.jpg|width=100%]]}}}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br](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고봉리)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7:11 || || 막차 || 21:05 || 막차 || 21:41(장날) / 21:45(평시) || ||<-2> 배차간격 ||<-4> 1일 11회 || ||<-2>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2> 인가대수 || 통합 1대[*저상버스 저상버스로만 운행한다.] || ||<-2> 노선 ||<-4>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스포츠파크 - [[현풍읍]] 행정복지센터 - 달성소방서 - 구지면사무소 - 창2리 - (← 구지면사무소) - 창1리 - (응암1리 → 고봉리 → 응암1리) 이후 역순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도동서원]] 방면)}}}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br](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도동서원) || ||<|2> 종점행 || 첫차 || 09:39 ||<|2> 기점행 || 첫차 || 10:30 || || 막차 || 14:24 || 막차 || 15:14 || ||<-2> 배차간격 ||<-4> '''1일 2회(장날에만 운행)''' || ||<-2>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2> 인가대수 || 통합 1대[*저상버스 저상버스로만 운행한다.] || ||<-2> 노선 ||<-4>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스포츠파크 - 현풍읍 행정복지센터 - 달성소방서 - 고봉리 - 응암1리 - 창1리 - 구지면사무소 - 창2리 - 도동서원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현풍''' 방향 || 없음 || || '''고봉리''' 방향 || 없음 || || '''도동''' 방향 || 없음 || == 개요 ==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naver.me/GUzLPNoT|본선]], [[http://naver.me/5QRFZAxh|도동서원]]) == 역사 == * 2007년 8월 27일에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2차산단 - 달성1차산단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순환 운행했던 달성공단2번으로 신설되었다. [[http://peace2833.blog.me/100138564269|관련 게시물]]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원래는 [[창성여객(대구)|창성여객]]이었으나, 2010년에 [[창성여객(대구)|창성여객]]이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에 합병됐다.]에서 2대로 운행되었으며, 배차간격은 30분이었다. 운행 방식이 특이했다. 첫번째 운행은 달성2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1차산단으로 올라갔다. 두번째 운행은 반대로 달성1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2차산단으로 내려갔다. * 2012년 2월 18일 개편 때 달성1차산단과 달성2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터미널]]과 응암2리를 오고가는 노선으로 조정한 후, 달성3번으로 노선 번호를 바꾸었다. 인가대수 1대를 [[대구 버스 달성2|달성2번]]에 보냈다.[* 2011년 8월부터 [[대구 버스 600|600번]]이 달성2차산단을 운행하였으므로, 달성공단2번의 수요가 감소하였다. 예전에도 달성3번이 있었다. 이 번호가 결번이었기 때문에, 어지간히 찜찜했던 듯하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간선버스]]의 경우 603번, 613번, 636번이라는 노선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들은 폐선되어도 다른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노선 번호가 비어도 상관없다. 간선버스의 경우 세자리 모두 일련번호 체계가 아닌 '''권역번호''' 체계다. [[지선버스]]는 생활권 문자 뒤에 오는 숫자가 '''일련번호'''이기 때문에 중간에 결번이 있으면, 조금 어색하다.] * 2013년 5월 4일 개편으로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터미널]]에서 현풍중앙로(현풍 구길)로 직진하지 않고 기존에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았던 현풍동로 - 비슬로(달성군민운동장 - 달성문화원 - 현풍석빙고 - 현풍읍사무소) 구간 경유로 조정되었다. * 2015년 4월 9일에 대리 - SK주유소(창리로) - [[구지면]]사무소 대신 대리 - SK주유소(과학대로) - [[구지면]]사무소 구간 경유로 변경되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가 폐쇄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과학북로에는 [[대구 버스 급행4|급행4번]]과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이 운행 중이다. * 2017년 3월 31일에 응암2리 종점이 폐지되고 고봉리로 단축됐으며, [[구지면]]사무소에서 창2리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국가산단 개발 때문에 매방마을 종점이 쓸려 나간 듯. 또 폐지된 [[대구 버스 달성4|달성4번]]의 도동서원 구간을 이어받아 현풍5일장이 열리는 날(매달 5, 10, 15, 20, 25일)에만 1일 2회씩 운행하는 [[지원운행]] 가지노선이 생긴다. 이 때는 대리를 앞두고 용연저수지를 통해 바로 고봉리로 내려갔다가 [[구지면]]사무소로 간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구지면]] 구간에 노선 경로 조정이 생겼다. * 2019년 8월 1일부터 현풍교 ~ 상리교 구간 보행환경 개선 사업에 따른 [[일방통행]] 시행으로, 달성문화원 →︎ 구지 방향은 현풍천 남쪽의 현풍로를 경유한다. 달성문화원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터미널]] 방면은 여전히 현풍천 북쪽의 비슬로134길을 경유한다. [[http://businfo.daegu.go.kr/ba/notice/notice.do?act=hpdetail&id=18748&curPage=1&fix_yn=N|참조]] == 특징 == * 달성공단2번 때는 많아야 하루에 40명 정도 이용했다. 달성2차산단 구간을 운행하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다.[* [[대구 버스 달성7|달성7번]]은 [[구지면]] 내부만 순환하는 오지노선이다.] * 2011년 5월에 달성공단2번과 [[대구 버스 달성5|달성5번]]을 통합하여, 달성2차산단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구간을 운행한다는 노선 변경 공고가 뜬 적도 있었다. 이 계획이 취소되었다. * 현풍5일장 기간에만 다니는 도동서원 방면 한정으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다.[* 여담으로 [[2012년]]까지는 [[대구 버스 달성2|달성2번]]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가지노선이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현재는 폐선.] === 시간표 === ==== 고봉리 방면(평시) ==== || 순번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출발)]] || 고봉리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도착)]] || || 1 || 06:30 || 07:11 || 07:52 || || 2 || 08:12 || 08:53 || 09:29 || || 3 || 09:39 || 10:15 || 10:51 || || 4 || 11:01 || 11:37 || 12:13 || || 5 || 12:33 || 13:09 || 13:45 || || 6 || 13:55 || 14:31 || 15:07 || || 7 || 15:17 || 15:53 || 16:29 || || 8 || 16:39 || 17:15 || 17:56 || || 9 || 18:16 || 18:57 || 19:33 || || 10 || 19:43 || 20:19 || 20:55 || || 11 || 21:05 || 21:45 || 22:20 || ==== 고봉리 방면(현풍5일장) ==== || 순번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출발)]] || 고봉리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도착)]] || || 1 || 06:30 || 07:11 || 07:52 || || 2 || 08:12 || 08:53 || 09:29 || || 3 || 11:40 || 12:16 || 12:52 || || 4 || 13:02 || 13:38 || 14:14 || || 5 || 16:19 || 16:55 || 17:36 || || 6 || 18:01 || 18:42 || 19:23 || || 7 || 19:38 || 20:14 || 20:50 || || 8 || 21:05 || 21:41 || 22:15 || ==== 도동서원 방면(현풍5일장) ====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br](출발)]] || 고봉리 || 도동서원 || 고봉리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br](도착)]] || || 09:39 || 09:59 || 10:30 || 10:55 || 11:20 || || 14:24 || 14:44 || 15:14 || 15:39 || 16:04 ||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번}}}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32명 || 35명 || 33명 || 39명 || 22명 || 38명 || * 1일 평균 이용객이 50명도 되지 않는다. [[구지면]] 구간에서 단독 구간이 없는 게 원인인 듯. [[대구 버스 600|600번]] 및 [[대구 버스 달성7|달성7번]]과 겹친다. [[현풍읍]] 구간에서 단독 구간이 있기는 하지만 배차간격이 처참해서 그냥 걸어다니거나 택시 타는 게 더 나을 정도이니. 과거에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수요 최하위였지만, 2019년 4월 20일에 [[대구 버스 칠곡5|칠곡5번]]이 개통되어서 최하위는 벗어났다. 하지만 [[대구 버스 칠곡5|칠곡5번]]은 나중에 도남지구 수요가 크게 늘어나 [[가축수송(교통)/사례/버스|가축수송]]까지는 아니어도 승객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달성3번은 증가 가능성마저 없다. [[구지면]] 일대가 국가산단 및 달성2차산단 배후지로 개발되기는 했지만, 이쪽 주민들에게 달성3번은 [[아웃 오브 안중]]이다.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을 타고 [[유가읍]]사무소 일대의 상업시설들을 이용하거나 대구 시내로 나가지, 달성3번을 시간 맞춰서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현풍 읍내로 나갈 사람들은 [[대구 버스 600|600번]]을 탄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