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계획취소)] ||<-2> [br] [[파일:지하철 6호선.png|width=100%]]추정 노선도[* 시종점과 환승역만 표기하였으며, 언론 기사 등의 자료를 토대로 만든 것이라 실제 계획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2> {{{#ffffff 대구 도시철도 6호선[* 임시로 지정한 색상이다.]}}} || || '''운영기관''' || [[대구도시철도공사]] || || '''영업거리''' || 12.9km || || '''궤간''' || 1435㎜ || || '''역수''' || 15개 || || '''전기''' || 직류 1500V || || '''신호''' || ? || || '''표정속도''' || ? || || '''차량기지''' || ? || || '''지상구간''' || ? || || '''진행 상황''' || 백지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에서 계획하던 [[대구 도시철도]]의 노선 중 하나였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한 자금난에 의해 취소되었다. == 계획 == [[1991년]] 수립된 [[대구 도시철도]] 기본계획의 중장기 2단계 계획으로 지정되었으며, 1호선 건설지에 의하면 [[파동(대구)|파동]] ~ [[남구(대구)|남구청]] ~ [[중구(대구)|중구청]] ~ [[효목동]] 구간으로, 중동역과 효목역에서 4호선, [[건들바위역]]과 [[벤처밸리네거리역]]에서 3호선, [[경대병원역]]에서 2호선과 환승될 예정이었고, 2호선 건설지에도 [[경대병원역]]은 6호선 환승을 염두에 뒀다고 나와 있다. 또한 파동의 종착역은 차량기지 내 역사로, 현재의 [[문양역]]과 유사하게 계획되었다. 효목동에서 끊기지만, 백지화되지 않았다면 [[화랑교]] 아래를 건너서 [[화랑로(대구)|화랑로]]를 따라 직진하다가 [[용계역]]에서 1호선과 환승하고,[* 효목동에서 끊기는 1단계 구간 기준으로는 1호선과의 환승역이 없다.] 1호선이 지나가지 않는 [[반야월로]][* 흔히 반야월 구길이라 불린다.]를 경유, [[신서혁신도시]]로 연결해 1호선 동부 구간의 바이패스 노선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 역 목록 == ||<|2> {{{#ffffff 역번}}} ||<|2> {{{#ffffff km}}} ||<-2><|2> {{{#ffffff 역명}}} ||<-2> {{{#ffffff 승강장}}} ||<|2> {{{#ffffff 환승노선}}} ||<|2><-2> {{{#ffffff 소재지}}} || || {{{#ffffff 형태}}} || {{{#ffffff 횡단}}} || || 601 || 0.0 || 파 동 || 巴 洞 || ? || ? || ||<|5> [[수성구]] || || 602 || || 용 두 || 龍 頭 || ? || ? || || || 603 || || 상 동 || 上 洞 || ? || ? || || || 604 || || 중 동 || 中 洞 || ? || ? || [[파일:Daegu4.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5호선|4호선]]~~[*명칭변경 초기 계획 상 순환선은 4호선이었으나 이후 4호선은 엑스코선으로 지정되었고 순환선은 5호선으로 변경] || || 605 || || 희망교 || 希望橋 || ? || ? || || || 606 || || 이 천 || 梨 泉 || ? || ? || ||<|2> [[남구(대구)|남구]] || || 607 || ||<-2> [[건들바위역|건들바위]] || ? || ? || [[파일:Daegu3.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 608 || || [[경대병원역|경대병원]] || 慶大病院 || ? || ? || [[파일:Daegu2.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3> [[중구(대구)|중구]] || || 609 || || 중구청 || 中區廳 || ? || ? || || || 610 || || 동 인 || 東 仁 || ? || ? || || || 611 || || 청 구 || 靑 丘 || ? || ? || ||<|5> [[동구(대구)|동구]] || || 612 || ||<-2> [[벤처밸리네거리역|벤처밸리네거리]] || ? || ? || [[파일:Daegu3.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초기 계획 상 3호선 지선 환승예정이었으나 이후 [[대구 도시철도 4호선]]으로 변경.] || || 613 || || 효 신 || 孝 新 || ? || ? || || || 614 || || 효 목 || 孝 睦 || ? || ? || [[파일:Daegu4.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5호선|4호선]]~~[*명칭변경] || || 615 || || 망우당공원 || 忘憂堂公園 || ? || ? || || == 현재 == 원 계획은 외환 위기로 완전히 백지화된 상태. [[파일:대구 도시철도 신천선.png]] 이후 2012년 대구 도시철도 계획에서 신4호선으로 계승되었다. 구 6호선과 구 5호선의 북부구간을 합쳐놓았다. 신4호선은 18km 모노레일로 계획되었다. [[파일:대구도시철도국채보상로선.png]] 다만 [[대구 도시철도 국채보상로선]]이 개통될 경우 '6호선'이라는 이름을 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1호선 안심구간이 대구의 최대수요처인 도심부와 동대구역을 직통으로 이어주는데도 이용객이 바닥을 기는 현실을 감안하면 부활할 가능성이 지극히 낮아보인다. 다만 구상 노선인 [[국채보상로선]]이 생길 경우 이 노선의 북부 구간(중구청~효목)이 이에 해당하므로 일부구간 부활할 가능성이 있으나 [[국채보상로선]]이 추진될지는 미지수라 부활이 어려울 수도 있다. 현재 이 노선은 2021년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에서 후보노선으로 지정되었다. [[파일:수성남부선.jpg]] 최근 중동, 상동, 파동 주민들이 구 6호선의 남부 구간을 계승한 [[대구 도시철도 6호선]] 건설을 주장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대구 도시철도 4호선]] * [[대구 도시철도 달서선]] * [[대구 도시철도 국채보상로선]] * [[대구 도시철도 6호선]] * [[대구 도시철도 5호선]] [[분류:계획이 무산된 대구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