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달성12경)] [[파일:external/www.idaegu.com/01010100601.20140115.000028449.02.jpg]] [목차] 한자 : 大見寺 / 로마자 : Daegyeonsa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휴양림길 232(용리 산1-2)에 있는 [[절(불교)|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비슬산]] 정상에 있는 절로 한 때는 폐사된 상태에서 삼층석탑만 달랑 있었기에 '대견사지'라고 불렀다. == 역사 == 창건자는 미상이나, [[신라]] [[흥덕왕]] 때 창건된 사찰이라고 전한다. [[전설]]로는 [[당문종]](文宗)이 절을 지을 곳을 찾고 있었는데 하루는 낯을 씻으려고 떠놓은 대야의 물에 아주 아름다운 경관이 나타났다. 이곳이 절을 지을 곳이라 생각한 문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찾게 하였다. 결국 중국에서는 찾을 수 없게 되자 신라로 사람을 보내어 찾아낸 곳이 이 절터이다. 이 터가 대국(大國)에서 보였던 절터라 하여 절을 창건한 뒤 대견사라 했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역사는 거의 전래되지 않고 있지만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이 승과 선불장에 장원급제한 뒤 초대 주지로 부임해 22년 동안 지냈으며 이 곳에서 삼국유사를 구상했다고 한다. 1416년(태종 16년) 2월 29일, 1423년(세종 5년) 11월 29일 이 절에 있던 장륙관음석상(丈六觀音石像)이 땀을 흘려 조정에까지 보고되었고 종파는 교종(敎宗)에 속하였다고 한다. 절의 폐사에는 [[빈대]]가 너무 많아서 이를 견디지 못하고 모두 떠나 자연스럽게 폐사되었다는[* 또는 일부러 불을 질렀다는] 일반적인 설화가 전래되고 있지만 그 시기는 [[임진왜란]] 전후로 전해지고 있기에 임진왜란 때 일어난 화재로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광해군]]과 [[인조]] 때 재건되었으며 [[1900년]] [[영친왕]]의 즉위를 축하하고 [[대한제국]] 축원을 위해 이재인(李在仁)이 중창했으며 관리를 안 하는 사이 [[1908년]] 허물어지기 시작하여 [[1909년]] 다시 폐허화되었다. 결정적으로 [[일제강점기]]인 [[1917년]] 강제 폐사됐는데 당시 대견사의 [[대웅전]]이 [[일본]] 쪽으로 향해 [[대마도]]를 끌어당기고 일본의 기를 꺾는다는 이유로 [[조선총독부]]가 민족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강제로 없앴다고 한다. 그렇게 100년 가까이 삼층석탑만 남은 채로 방치되는가 싶었지만... === 복원 === [[2013년]] [[8월 15일]] 전체 사찰 부지 3633㎡에 대웅전을 비롯해 대견보궁, 선당, 산신각, 종무소, 요사채 등의 건물을 폐사 당시의 원형대로 최대한 복원하기 위해 공사를 시작했다. 특히 대웅전의 대들보는 지름 60㎝에 길이 10m인 [[강원도]]산 [[소나무]] 황장목으로 만들어졌는데 수령이 500년 됐고 한 개 가격이 2000만원에 이른다고 한다. [[2014년]] [[3월 1일]] 공사를 끝내고 복원 완료했다. 대견보궁에는 [[스리랑카]]에서 가져온 진신[[사리(불교)|사리]] 1과가 모셔져 있다. == 교통 == [[유가사]] 주차장에서 대견사까지는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대중교통]]으로는 [[대구 버스 600|600번]] 유가사 노선(주말 공휴일만 운행)과 [[대구 버스 달성5|달성5번]]이 있으며 해당 노선은 [[용연사]]와 [[유가사]], 대견사를 모두 오가고 있으니 비슬산 쪽에 있는 절에 갈 때는 참고하면 좋다.[* 경로는 대구시내에서 출발해 달성5번은 귀남지를 거치고 [[용연사]]를 거치며, 600번은 간경리와 기세리를 거쳐 [[용연사]]로 들어와 김흥리를 지나 설티고개를 넘어 달성1차산단을 지나 [[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가서 현풍읍내를 통과한 다음에 [[테크노폴리스]]를 통과하고 대견사로 와서 [[유가사]]로 간다.] 단, 대견사 안쪽까지는 들어오지 않으니 '비슬산자연휴양림' 정류장에 내려서 꽤 걸어야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381999|그 외에도 전기 셔틀버스가 운행 중이다.]] 하루 운행 횟수는 하루 18회, 운행 간격은 평시 20분으로 탑승 요금은 편도 기준 어른 5천원, 어린이[* 초등학생까지] 3천원이다. [[분류:대한불교조계종 말사]] [[분류: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분류:비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