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특수 문자]]의 하나로, [[대각선]] 방향의 [[화살표]] 기호다. [[유니코드]]에는 다음과 같이 등록되어 있다. ||↖||NORTH WEST ARROW||U+2196|| ||↗||NORTH EAST ARROW||U+2197|| ||↘||SOUTH EAST ARROW||U+2198|| ||↙||SOUTH WEST ARROW||U+2199|| == 입력하는 방법 == === [[Microsoft Windows]] === 한글 입력기(IME)에서는 다음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 [ㅁ]을 입력하고 [한자]를 눌러서 [[특수 문자]] 메뉴를 연 다음, * [[특수 문자]] 입력란이 가로형(문자 10개가 가로로 나열되고 메뉴가 회색으로 나올 때)일 경우 오른쪽 화살표[→]를 6번 누르고 [3]↗, [4]↙, [5]↖, [6]↘번 키를 누른다. * 특수 문자 입력란이 세로형(문자 10개가 세로로 나열되고 메뉴가 흰색으로 나올 때)일 경우 아래쪽 화살표[↓]를 6번 누르거나 위쪽 화살표[↑]를 3번 누르고[* 다른 방법으로는 {{{[Page Down]}}}을 6번 누르거나 {{{[Page Up]}}}을 3번 누르면 된다.] [3]↗, [4]↙, [5]↖, [6]↘번 키를 누른다. [[Windows 10]]에서는 [[윈도우 키|{{{Win}}}]]+{{{.}}} 또는 {{{Win}}}+{{{;}}}으로 특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추가되어서 모든 언어에서 입력 가능하다. Ω를 눌러서 기호 탭으로 들어간 뒤 ⇆를 누르면 온갖 종류의 화살표들이 당신을 반겨줄 것이다. === [[macOS]] === 매버릭스(10.9) 이전 버전은 {{{cmd + opt + T}}}를, 매버릭스 이후 버전은 {{{ctrl + cmd + space}}}를 입력하면 특수 문자 입력기가 표시된다. 왼쪽 내비게이션 창에서 화살표(Arrows) 또는 유니코드→화살표를 찾아 들어가면 여러 가지 화살표를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에 커맨드 물리키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윈도우 키|파워 키]]가 [[커맨드]]로 매핑된다. == 사용 == * [[국제음성기호]] 억양의 전체적 상승(↗)과 전체적 하강(↘)을 나타낸다. * [[증감표]] 함수의 증가, 감소를 표시한다. * [[대전 액션 게임]] [[필살기 커맨드]]를 설명할 때 이 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A' 이런 식으로. 하지만 입력하기가 귀찮은 관계로 보통은 키보드 오른쪽 키패드의 숫자 배열에 착안해 5를 중립으로 두고 각 방향에 맞는 숫자를 대신 적는다. ↓↘→A의 경우라면 236A가 되는 것. * [[펌프 잇 업]] 발판 배치와 대응되는 노트 모양이 이 화살표의 방향과 모양을 따른다. 다만 이쪽은 가운데에 화살표가 아닌 발판과 노트가 있는데, 원래는 양 발바닥 모양이 그려진 네모 모양이지만 텍스트로 표기할 때에는 그런 기호는 없으므로(...) 그냥 □로 쓴다. 판정선은 ↙↖□↗↘ 형태로 되어 있다. * [[디시인사이드]] 음성 합성물에 [[성조(언어)|성조]] 효과가 있는 경우 댓글로 올라가는 소리 뒤에 ↗ 표시를 쓰고 내려가는 소리 뒤에 ↘ 표시를 쓴다.[*예1 [[제동신의 모험|택↗용↘아→ 체력을↓너↗무↘많↗이↘쓴↑것→같↘아↗]], [[세종대왕(문명 5)|조선의↗궁궐에↘당도한→것을↗환영하오→낯선이여↘]], [[나를 지금 바보로 아는 거야|나를 지금 바보로 아는 거↗야↘]]] 응용으로 [[합성 갤러리|합필갤]] 등지에서 [[붕탁]]을 취급할 때는 ↗을 ♂로 바꾸는 암묵의 룰이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일본어 입력기에서 대각선 화살표를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은 표기를 일반 화살표(↑, ↓)로 사용한다. [[니코니코 동화|니코동]]의 코멘트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야수선배|여↑기↓]]~~ 또한, 이것이 다른 사이트에도 퍼져서 음성 자료를 설명할 때 억양이 특이하게 오르락내리락할 때도 쓰이고 있다.[*예2 [[서울메이트|서울말은 끝말만 올리면 되는 거 모르 ~니~이↗?]]] * [[루리웹]] [[좆]]이라는 단어를 게시글이나 댓글에 입력하면 ↗으로 필터링된다. * 그 외에도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유즈맵]] 중 텍스트 표시 부분과 같은 텍스트만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할 곳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언제부터인가 일부 [[스마트폰]] 기종에서 [[이모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위, 아래 화살표와는 달리 주황색의 두꺼운 형태로 바뀌었다. [[분류:특수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