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당대불패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한국마사회 연도대표마)] [include(틀:한국마사회 최우수 국내산마)] [Include(틀:100투더 트랙)] }}}}}}}}} || ||<-3> '''2012년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연도대표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대불패.jpg|width=100%]]}}} || ||<-2> 이름 ||당대불패[br]DANGDAE BULPAE || ||<-2> 마번 ||022651 || ||<-2> 출생 ||[[2007년]] [[2월 24일]]([age(2007-01-01)]세) || ||<-2> 성별 ||수컷 || ||<-2> 털색 ||밤색 || ||<-2> 아비 ||비와신세이키(BIWA SHINSEIKI) || ||<-2> 어미 ||인디드마이디어(INDEED MY DEAR) || ||<-2> 외조부 ||Alydeed || ||<-2> 생산자 ||김종식 || ||<-2> 마주 ||범한산업→정영식 || ||<-2> 조교사 ||유병복 || ||<-2> 성적 ||32전 19승 || ||<-2> 총상금 ||2,985,985,000원[* 당시(2013년) 한국경마 최고 기록. 현재 최고기록은 42억원을 수득한 트리플나인이다.] || ||<|3> 주요 우승 || G1 ||'''[[대통령배]](2010,2011,2012)'''[* 대통령배 최초 3연패] || || G2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농림수산식품부장관배]](2010) || || G3 ||[[뚝섬배]](2011) [[부산광역시장배]](2012) [[Owners` Cup]](2012) 경상남도지사배(2010) || ||<-2> 주요 수상 ||부산경남 최우수 국내산마(2010,2012) 부산경남 연도대표마(2012) || ||<-2> 상세 정보 ||[[https://studbook.kra.co.kr/html/info/ind/s_majuck.jsp?mabun=0022651|[[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width=75]]]] |[[https://www.horsepia.com/hp/pa/hh/PAHH2040D01/detail.do?hrNo=0022651&hrsGbCd=00100&eqsthrConvYn=N|HORSEPIA]]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번 022651, 2007년 2월 24일생. >몸무게 516kg인 밤색 수말. >32차례 출전해 19번 우승, >국내 최고 권위인 대통령배 대회 3연패. >'''90년 한국 경마 역사상 최고 국산마.''' > >출발대가 열리면 >나는 오로지 앞만 보고 달려간다. >다른 말들이 내 앞을 막기 위해 육중한 몸을 부딪쳐와도 두렵지 않다. >힘껏 내달리다 보면 어느 순간 >내 앞에는 아무도 없다. > >[[당대불패]]. '''내 이름은 이제 역사가 된다.''' >내가 30년동안 말하고 지내왔단 말여. 그중에서도 당대불패는 단연 최고지. 내 분신과도 같은. 내 인생의 전성기를 얘가 가져왔거든. >- 유병복 조교사 한국의 경주마. 명마들이 쏟아져 나왔던 2010년대 한국 경마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명마중의 명마이다. 특히 같은 2007년생인 [[미스터파크]], [[터프윈]]과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여 당시 많은 경마팬들의 열기를 이끌었다. [[트리플나인]]이 나오기 이전 최초의 대통령배 3연패와 더불어 2013년 기준 한국 경마에서 가장 많은 수득 상금을 얻었던 경주마였으며 당시 라이벌들의 수준을 고려하면 당대불패가 그 때 얼마나 명마중의 명마였는지 바로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당대불패가 은퇴를 하게 되었을 때 한국마사회에서 고별 질주를 헬리캠으로 촬영을 하려고 했거나 은퇴 이후 멀티미디어 기사가 나오고, 이 때를 기점으로 수많은 경마 팬들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했으니 당대불패가 그 때 당시 얼마나 인기 있는 경주마였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비와신세이키[br]{{{-2 ビワシンセイキ}}}[br]{{{-2 1998}}}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2>Forty Niner[br]{{{-2 198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미스터 프로스펙터#S-4|Mr. Prospector]]''' || ||File || ||<|2>Oceana[br]{{{-2 198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노던 댄서|Northern Dancer]]''' || ||South Ocean || ||<|4>인디드마이디어[br]Indeed My Dear[br]{{{-2 199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2>Alydeed[br]{{{-2 1989}}}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Shadeed || ||Bialy || ||<|2>Dawnie Dear[br]{{{-2 198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Grey Dawn || ||Continuance || 부마인 비와신세이키는 통산 33전 10승. 2002,2003 일본 더트 경주마 능력평가 3위를 한 마필이다. 경주거리 1400m ~ 1800m에 강점을 보였다. 제주 푸른목장에서 2세마때부터 씨수말로서 눈도장을 찍었고 이후 2005년, 신디케이트로 제주 생산자 16명으로 구입되었다. 푸른목장주는 처음부터 전략적으로 Forty Niner의 직계혈통을 찾았고 적중하였다. Forty Niner는 1988년 미국 2세 챔피언에 등극한 마필로 일본에서 씨수말로 수입되었으며 자마들이 모래주로에 강점을 보이는 특성이 있다. 이후 [[미스터 프로스펙터|Mr. Prospector]] -> Forty Niner[* 일본 최초의 동경대상전 3연패를 이룬 [[오메가 퍼퓸]]와 우마무스메에 캐릭터로 출시된 [[스윕 토쇼]]도 이 혈통이다.]으로 이어지는 혈통은 연도대표마가 다수 배출되면서 한국 경마의 주된 혈통이 되었다. South Ocean은 세계 최고급 씨수말로 평가받는 '''Storm Cat'''의 부마인 Strom Bird를 배출한 명마혈통이다. == 생애 == 2007년. 평소 제주도에서 푸른목장을 운영하는 김종식 씨와 교분이 있었던 마주 정영식 씨는 어느 날, 급한 연락을 받았다. 데리고 있던 말들이 죽으면서 목장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운영자금이 필요한데 말을 좀 사주지 않겠냐는 간곡한 부탁이었다. 목장에 가니 태어난 지 4개월 된 망아지 두 마리가 있었다. 청을 거절하기 어려워 정 씨는 지인과 함께 망아지 두 마리를 5000만원에 사기로 했다. 두 마리 중 숫말은 정 씨가 2900만원에, 암말은 지인이 2100만원에 나눴다. 정 씨가 가진 숫말이 바로 당대불패였다. 따라서 일찍이 주인이 정해진 당대불패는 경매시장에 나오지 않고 전북 장수의 후기 육성목장에서 인마순치 과정을 밟고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 경마공원]]으로 옮겼다. 이 때가 2009년 2월. 태어난 지, 28개월이 지난 때였다. 5조 유병복 조교사 마방에 입사한 당대불패는 가슴 사이에 주먹 하나가 겨우 들어갈 만큼 덩치가 작았다. 다만 18개월이면 다 자라는 다리는 튼실했고 키도 컸다. 2009년 9월. 국산 5등급 데뷔전. 12마리 출전에 11번을 배정받아 자리가 좋지 않았다. 아니라다를까, 스타트가 느렸고 이후 뒤쳐지며 10위를 달렸다. 유 조교사가 이러다 실격되지 않을까하는 순간, 마지막 구간에서 놀라운 스퍼트를 발휘하며 최종 5착하였다. 마지막 구간 랩타임 12.2초. 출전한 12마리 중 마지막을 12초대로 통과한 마필은 당대불패가 유일했다. 다음이 기대될 만큼 끝 모습이 좋았다. 2달 후에 펼쳐진 경주에서 당대불패의 스타트는 늦었다. 그러나 기대했던대로 중반 추입력을 발휘하여 1착하였다. 첫 승이었다. 유 조교사는 마방에서 기특하다 당대불패의 엉덩이 뒤쪽이 좋지 않았던 것을 발견하였다. 스타트가 늦은 원인이 여기에 있었다. 원인을 찾고 집중적으로 관리하자, 당대불패의 잠재력이 터져나왔다. 살이 찌고 근육이 올라오면서 체격이 좋아졌다. 그 때부터 나가는 경주마다 우승을 하기 시작했다. 트리플 크라운(3관마)에 도전할 자질이 있었다. 이 때 3관경주에서 가장 성적이 좋은 마필을 씨수말로 채용하고 포상하는 시스템이 있었다. 당대불패는 3관 첫 번째 경주인 KRA컵 마일에서 12착으로 고전했다. 코리안더비에선 사행을 하면서 3착을 했다. 마지막 농림수산식품부장관배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 천년대로가 2착을 하면서, 종합성적으로 천년대로가 씨수말로 선정됐다. 그리고 당대불패는 그 해 첫 대통령배 우승을 거머쥐었다. === [[미스터파크]] === 2010년. 부산경남 경마장을 뜨겁게 달군 두 마필이 있었으니, 국산마 당대불패와 포입마 미스터파크였다. 미스터파크는 첫 경주를 제외하고 내리 파죽지세로 연승을 달려 당시 [[새강자]]가 가진 15연승을 깰 마필로 점쳐지고 있었다. 하지만 포입마는 삼관 및 국산마 대상경주에 참여할 수 없어 당대불패와 여지껏 맞대결이 없었는데, 2010년 최강의 경주마를 가리는 그랑프리에 드디에 맞붙게 되었다. 많은 이들의 기대 속에 게이트가 오픈되고 당대불패는 초반부터 선행을 달렸다. 중반 이후 미스터파크와 터프윈, 동반의강자가 선입으로 치고 올라오면서 당대불패를 추격하였다. 미스터파크와 접전을 펼친 당대불패는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힘이 빠진 듯, 뒤로 처지며 미스터파크의 11연승이자 그랑프리 첫 우승을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11착. 당대불패의 완패였고 이후 2010년 연도대표마는 미스터파크가 선정되었다. 이후, 당대불패와 [[미스터파크]]는 다른 길을 걷게 되는데 대상 경주에 참여하여 우승의 역사를 써내려간 당대불패와 달리, 미스터파크는 일반 경주에 참여하여 연승의 역사를 써내려갔다. 2011년 부산경남 능력평가에서 당대불패와 미스터파크가 공동 1위를 할만큼 우열을 알 수 없었고 때문에 많은 경마 팬들은 두 마필의 맞대결을 보고 싶어했다. 그러나 적성 거리가 서로 다르다고 판단(1800m, 2300m)하여 당대불패는 정작 그랑프리에 출전하지 않았고 맞대결 성사는 1년 3개월 뒤에나 이루어지게 된다. 2012년 3월 25일 부산경남 제 7경주. 불멸의 17연승과 대통령배 2연패를 기록한 두 마필의 맞대결이 매치되었다. 중량을 부담을 덜기 위해 신인기수로 감량을 받은 뒤 펼쳐진 2000m 경주에서 두 마필이 나란히 선행을 달렸고, 4코너를 치고 나가면서 두 마필의 독주가 시작되었다.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이미 3위와의 격차가 10마신 이상 벌어졌지만 미스터파크와 당대불패의 격차는 좁혀지고 있었다. 그들만의 레이스였다. 당대불패는 추월하기 위해 있는 힘껏 달렸지만 미스터파크를 제치지는 못했다. 결국 1마신 차 [[미스터파크]]의 승리로 끝난 7경주는 3위와 무려 5초. 무려 26마신차란 기록을 남기며 희대의 명승부로 기록되었다. === [[터프윈]] === 과천 경마장은 그랑프리 2연패에 빛나는 동반의강자를 이을 재목으로 터프윈이 있었다. 2010년 [[미스터파크]]에게 그랑프리 우승을 뺏기기 전까지 내리 9연승을 달렸던 마필로 당대불패와 대상경주에서 총 5번을 맞붙었다. 그랑프리 2번, 부산광역시장배 3번으로 상대전적은 당대불패가 3승 2패로 근소하게 앞섰다. 2012년 부산광역시장배는 당대불패가 우승, 2013년은 터프윈이 우승하며 맞대결 타이틀 우승은 같다. 남은 3차례 맞대결은 선입으로 서로 경합을 벌이다 체력이 떨어져 동반 몰락하는 양상이 전개되었다. 1, 2착 경합이었다면 경마팬들이 환호했겠지만 이 두 마필은 레이스 스타일이 비슷할 뿐더러 초반부터 경합을 벌일 때가 잦았다. 그만큼 두 마필의 라이벌 의식은 치열했다. 2013년 당대불패는 만성질환[* 구절 활막염, 관절을 구성하는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섬모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질병을 이른다. 관절의 움직임이 뻣뻣해지고 근육이 굳기 때문에 경주마로서는 치명적인 부상이다.]으로 수술을 여러차례 받으며 끝내 제 기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그 해 은퇴하였다. 당시 역대 최고의 국산마란 평가를 받으며 한국마사회에서 당대불패의 고별질주를 헬리캠으로 영상으로 촬영하는 등 대형 프로젝트를 기획했으나, 정작 당대불패가 난리를 부리면서 무산되고 말았다. === 은퇴 후 === 씨수말 생활을 위해 제주 이시돌 목장에서 생활하였으나, [[고자|생식기관에 문제가 발견]]되어 씨수말은 되지 못하고 성이시돌 목장에서 관상마로 유유자적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다만 목장의 방침상 외부인의 견학이 금지하고 있어 볼 순 없다.] 동시대의 말들 중에서는 여생이 가장 잘 풀린 케이스. [[동반의강자]]도 비슷한 이유로 씨수말이 되지 못한 사례가 있던 것과 비슷한 사례.[* 미국에선 고마왕도를 제패한 시가(CIgar)가 있다.] [youtube(4IUQ3em8ArE)] [youtube(BWhkz2gK7yM)] == 여담 == * 마방에서 당대불패 앞에는 물을 가득 담은 양동이가 놓여 있었는데, 당대불패는 항상 자기가 먹을 여물을 양동이에 담아 불려 먹었다. 유병복 조교사는 이를 기특하게 여겼는데 말에게 치명적인 질병인 산통을 스스로 예방한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한 것이다.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에 당대불패를 기리기 위한 동상이 세워져 있다. * 2011년부터 마주가 당대불패의 이름으로 1억원씩 3년간 기부해 아너 소사이어티에 등록되었다. 이는 아너 소사이터 역사상 최초의 동물 회원이다. * [[http://digital.mk.co.kr/horse/|매일경제에서 당대불패를 기리기 위한 멀티미디어기사를 등재하였다.]] * 2013년 한 경마 블로거가 성이시돌 목장에서 여생을 보내던 녀석을 만나러 간 적이 있다. [[https://blog.naver.com/elan959/80209518802|#]][* 목장 대표인 아일랜드인 리처드와 정영식 마주도 나온다.] ||[youtube(roaoqdKCbmM)]|| * '100투더트랙' 10대 명마 중 6위에 선정되었으며 '10대명마X가상경주' 5화에 소개되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 그레이드 || 트랙 || 순위 || 기수 || 1착마[br](2착마) || ||<-8> 2009년 {{{-1 (2세)}}} || || 09.25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5 || 더트 1000M || 5위 || 김명신 || 백점만점 || || 11.13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5 || 더트 1200M || '''{{{#RED 1위}}}''' || 조창욱 || (클릭투윈) || ||<-8> 2010년 {{{-1 (3세)}}} || || 01.08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4 || 더트 1600M || '''{{{#RED 1위}}}''' || 채규준 || (세계대작) || || 01.29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3 || 더트 1600M || '''{{{#RED 1위}}}''' || 조창욱 || (가즈워드) || || 03.05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3 || 더트 1600M || '''{{{#RED 1위}}}''' || 조성곤 || (올마이티히트) || || 04.04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KRA컵 마일]] || GII || 더트 1600M || 8위 || 마틴 || [[머니카]] || || 05.16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코리안더비]]''' || '''GI''' || 더트 1800M || 3위 || 김어수 || [[천년대로]] || || 06.25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2 || 더트 1600M || '''{{{#RED 1위}}}''' || 조성곤 || (포트히어로) || || 08.08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2 || 더트 1900M || '''{{{#RED 1위}}}''' || 채규준 || (솔라시티) || || 09.12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경상남도지사배 || GIII || 더트 1800M || '''{{{#RED 1위}}}''' || 조창욱 || (골든어필) || || 10.10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농림수산식품부장관배]] || GII || 더트 2000M || '''{{{#RED 1위}}}''' || 조성곤 || ([[천년대로]]) || || 11.14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더트 2000M || '''{{{#RED 1위}}}''' || 조성곤 || ([[연승대로]]) || || 12.12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그랑프리(한국경마)|그랑프리]]''' || '''GI''' || 더트 2300M || 11위 || 조창욱 || [[미스터파크]] || ||<-8> 2011년 {{{-1 (4세)}}} || || 01.28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1 || 더트 1900M || 2위 || 조성곤 || 무패스타 || || 03.06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혼1 || 더트 1800M || '''{{{#RED 1위}}}''' || 채규준 || (두드림) || || 04.17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뚝섬배]] || GIII || 더트 1400M || '''{{{#RED 1위}}}''' || 조성곤 || ([[천년대로]]) || || 06.12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KNN배 || L || 더트 1600M || '''{{{#RED 1위}}}''' || 조성곤 || ([[천년대로]]) || || 07.17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광역시장배]] || GIII || 더트 2000M || 6위 || 조성곤 || [[연승대로]] || || 09.04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Owners` Cup]] || GIII || 더트 2000M || 6위 || 조성곤 || 카오산 || || 11.06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더트 2000M || '''{{{#RED 1위}}}''' || 조성곤 || ([[천년대로]]) || ||<-8> 2012년 {{{-1 (5세)}}} || || 01.29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혼1 || 더트 1800M || 4위 || 조성곤 || 풀포리스트 || || 03.25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1 || 더트 2000M || 2위 || 김정웅 || [[미스터파크]] || || 04.22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1 || 더트 1600M || '''{{{#RED 1위}}}''' || 조성곤 || (갈매기꿈) || || 06.24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2> 국1 || 더트 1800M || '''{{{#RED 1위}}}''' || 조성곤 || (이시대강자) || || 07.22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광역시장배]] || GIII || 더트 2000M || '''{{{#RED 1위}}}''' || 조성곤 || (스마티문학) || || 09.09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Owners` Cup]] || GIII || 더트 2000M || '''{{{#RED 1위}}}''' || 조성곤 || ([[경부대로]]) || || 11.11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더트 2000M || '''{{{#RED 1위}}}''' || 조성곤 || ([[지금이순간]]) || || 12.09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그랑프리(한국경마)|그랑프리]]''' || '''GI''' || 더트 2300M || 3위 || 조성곤 || [[감동의바다]] || ||<-8> 2013년 {{{-1 (6세)}}} || || 02.24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일보배]] || L || 더트 1600M || '''{{{#RED 1위}}}''' || 조성곤 || (동서정벌) || || 07.28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광역시장배]] || GIII || 더트 2000M || 3위 || 조성곤 || [[터프윈]] || || 09.08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Owners` Cup]] || GIII || 더트 1800M || 2위 || 조성곤 || [[경부대로]] || || 11.10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더트 2000M || 10위 || 조성곤 || [[인디밴드(말)|인디밴드]] ||}}} [include(틀:대통령배,grade=GI)] [include(틀: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grade=GII)] [include(틀:뚝섬배,grade=GIII)] [include(틀:부산광역시장배,grade=GIII)] [[분류:경주마/한국 생산]][[분류:경주마/한국 조교]][[분류:2007년 출생/경주마]][[분류:포티나이너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