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달팽이(동음이의어))] [include(틀:십이지)] ||<-2> '''{{{#fff {{{+1 달팽이}}}(와우^^蝸牛^^)[br] Snai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달팽이.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Helicoidei'' '''[br]Rafinesque, 1815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연체동물문 생물 목록|연체동물문]](Mollusc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복족강(Gastropoda) || || [[생물 분류 단계#아강|{{{#000 '''아강'''}}}]] ||유폐아강(Pulmona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병안목(Stylommatophora) || || [[생물 분류 단계#아목|{{{#000 '''아목'''}}}]] ||달팽이아목(Helicidae) || || [[생물 분류 단계#아목|{{{#000 '''하목'''}}}]] ||달팽이하목(Helicoide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달팽이1.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연체동물]] [[복족류]](腹足類: 배가 발인 무리) 가운데 나선형 패각이 있는 종류를 통칭하는 말. 패각이 없는 종류는 [[민달팽이]]라고 칭한다. 또는 달팽잇과 중에서 ''Fruticiola sieboldiana''를 그냥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세계에 '''약 2만 종'''이 분포한다. == 특성 == 야생에서 달팽이는 주로 다양한 [[식물]], [[이끼]], [[곰팡이]], [[버섯]]에서 드물게는 [[벌레]] 등 [[동물]]의 사체까지 먹고 사는데, 심하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이러한 [[기생물|기생 생물류]]를 먹고 잘게 분해해 배설물을 배출하며, 비료 역할을 하는 달팽이의 배설물을 먹고 자라는 자연계의 다른 동식물들의 성장을 돕는 생태계의 순환자, 즉 '환경미화원' 노릇을 한다.[* 반면 달팽이의 부식성 습성은 기생충의 매개가 되는 [[영 좋지 않은]] 부작용도 존재한다.] 습도가 높거나 비가 자주 내리는 곳을 좋아하는 특성상 [[한국]]에는 100여 종밖에 되지 않지만 [[일본]]에는 600여 종이 서식한다고 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달팽이 100여 종 중에 우리나라 고유종이 50여 종이나 된다는 사실이다. 토종달팽이 종으로는 깨알우렁이, 산우렁이, 둥근산우렁이, 제주애기산 우렁이, 좀산우렁이, 거문도좀혹달팽이, 나사산우렁이, 둥근혹달팽이, 주름혹달팽이, 제주혹달팽이, 번데기우렁이, 아리니아깨알달팽이, 제주깨알달팽이, 거문도깨알달팽이, 깨알달팽이, 큰깨알달팽이, 참깨알달팽이, 왼돌이깨알달팽이, 목주림고둥, 분홍목주림고둥, 둥근동굴우렁이, 줄양귀비고둥, 양귀비고둥, 반디고둥, 쇠평지달팽이, 번데기고둥, 민이빨번데기고둥, 모래고둥, 울릉도모래고둥, 금강입술대고둥, 대고둥가시대고둥, 주름번데기, 납작평달팽이, 울릉도납작평달팽이, 평탑달팽이 등이 있다. 외국 달팽이 종으로는 빨강달팽이, 물레달팽이, 자이언트달팽이, 아프리카왕달팽이(백와/금와/흑와/흑금와/흑백와) 등이 있다.[* 아프리카왕달팽이는 빠른 성장과 뛰어난 적응력 덕분에 애완용으로 많이 키워지기도 한다. 물론 달팽이는 달팽이라 번식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신경써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 언어별 명칭 == ||||||||||<:><#f5f5f5,#191919>'''언어별 명칭''' || || '''영어 ''' || snail || || '''라틴어 ''' || [[달팽이관|cochlea]] || || '''일본어''' || カタツムリ || || '''러시아어 ''' || улитка || || '''스페인어''' || caracol || || '''프랑스어 ''' || [[에스카르고|escargot]] || || '''몽골어''' || эмгэн хумс || == 습성 및 생태 == 대부분 [[자웅동체]]이고 [[짝짓기]]를 하여 [[알]]을 낳아서 [[번식]]한다.[* 짝짓기를 하지 않고 자가수정해 낳는 종도 있지만 [[근친번식]]의 위험성 때문에 드물고 [[애플스네일]]같이 암수 딴몸인 종도 있다.] 번식은 평소의 자신이 남긴 점액으로 서로를 발견하는데에서 시작한다. 언젠가 서로를 만났을 때는 한참 동안 서로가 동족 달팽이가 맞는지 탐색하고 짝짓기를 시작한다. 달팽이의 생식기는 얼굴 쪽에 있으며 짝짓기 시에 생식공이라는 기관이 노출된다. 이때 서로의 [[생식기]]를 서로의 생식공에 밀어넣어서 [[정자(세포)|정자]]를 교환한다. 그리고 반투명한 가시로 서로를 찌르려하는데 이 가시(패각과 동일 성분)에는 자신의 정자를 보호하는 성분이 있어서 찌른 쪽의 정자가 상대 몸에서 잘 죽지 않게 한다. 이때 [[암컷]]의 역할([[난자]] 생산 및 [[임신]] [[산란]])은 정자를 생성하고 주입 [[수정(생물학)|수정]]시키는 것보다 에너지가 많이 들어 운신이 버거워져 험한 자연에서 살기 영 어려워지기 때문에 서로 수컷 역할을 맡아 [[암컷타락|상대에게 암컷 역할을 맡겨 자기 자손을 낳게 만들기 위해 경쟁한다.]] 겨울에는 [[겨울잠]]을 자기도 한다. 피부호흡을 하기에 햇빛이 있는 낮에는 수분손실을 막기 위해 달팽이 패각 속에 얇은 막을 쳐놓고 단단한 물체에 붙어 있거나 돌 밑 등에 숨는다. 습기가 많은 때나 밤에는 풀 위에 기어올라가 [[버섯]]이나 [[지의류]] 같은 [[균류]], [[식물]]의 잎 등을 치설이라 불리는 입의 [[이빨]]로 갉아먹는다. 보통 [[초식동물|초식성]]이나, [[벌레]] 등 동물의 사체나 탈피 중인 [[곤충]]을 먹기도 한다. 사람 손 위에 올리면 손에 입을 대고 오물거리는데, 입 안에 난 치설 때문에 아주 미약하게 사포로 문지르는 듯한 간지러운 느낌이 든다. 머리에는 [[뿔]]처럼 생긴 유연한 [[더듬이]]가 2쌍 있는데 대촉각과 소촉각으로 구분한다. 대촉각 끝에 시력은 거의 없지만 명암을 판별할 수 있는 눈이 있다. 더듬이 네 개 모두 넣었다 뺐다 할 수 있어서 손으로 톡 건드리면 쑥 들어갔다가 다시 나온다. 그렇다고 건드리진 말자. 달팽이가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 뿔 같은 더듬이에서 유래한 말이 '''[[와우각상]]'''(蝸牛角上)으로, 달팽이의 뿔 위만큼 좁은 세상을 뜻한다. 또한 달팽이 뿔 위에서 싸우는 것만큼이나 부질없는 싸움을 이르는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 줄여서 '''[[와각지쟁]]'''(蝸角之爭)이라는 고사성어도 있다. 달팽이는 이빨 역할을 하는 돌기가 난 혀가 있는데, 이를 치설이라 한다. 이 치설은 줄 모양으로 생겼으며, 종마다 다르지만 1만 ~ 3만 개 이상 존재한다. 소화기관에 색소를 분해하는 기능이 없어 먹은 음식의 색에 따라 [[대변]]의 색상이 달라진다. 노란 걸 먹으면 노란색, 빨간 걸 먹으면 빨간색. 달팽이들은 흙도 먹는데, 대변이 갈색이거나 검정색이라면 흙을 먹은 것이다. [[천적]]으로는 [[새]], [[고슴도치]][* 고슴도치는 달팽이의 껍데기를 [[개발살]]내고 달팽이를 잡아먹는다.], [[개구리]], [[두꺼비]], [[길앞잡이]], [[딱정벌레]],[* 딱정벌레 중에서는 대체로 [[곤봉딱정벌레]]가 많이 사냥하지만, 딱정벌레류는 달팽이류에겐 사신이자 저승사자 같은 존재이다. 문자그대로 달팽이를 먹기 위해 태어난 천적.] [[개미]], [[반딧불이]]의 유충[* 반딧불이의 경우 대체로 늦반딧불이의 유충이 많은 편이다.]이 있다. 몇몇 [[영장류]]들도 달팽이를 포식하는 것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동할 때 생기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 배 부분에서 [[점액]]을 분비하는데, 다른 동물의 이동방식에 비해 비효율적이지만 이 덕분에 달팽이는 날카로운 [[칼날]] 위도 맘껏 기어갈 수 있다. 달팽이는 가능하면 자신이나 다른 달팽이가 닦아 놓은 점액 길로만 다니는 습성이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점액을 절약하고, 에너지를 덜 소모하며, 짝짓기의 기회를 더 많이 노릴 수 있는 등 여러 이점이 있다. 달팽이의 점액은 끈적하다기보단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냄새가 나지 않는다. [[로션]]과 비슷하다. [[거북]][* 특히 이쪽은 이동속도를 희생한 대신 방어력을 강화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나무늘보]]와 함께 [[느림보]] 동물의 대명사기도 하다. 원래 달팽이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종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평균 한시간에 7 m 남짓한 속도로 움직인다. 예외로 육식성 달팽이의 몇몇 종, 특히 늑대달팽이처럼 다른 달팽이를 주식으로 삼는 달팽이는 일반적인 달팽이보다 빠르다.][* 달팽이 중에 빠른 편인 정원 달팽이garden snail는 한 시간에 0.048km를 가며 미터로는 한 시간에 48미터다. 사람이 뛰는 속도는 평균적으로 한 시간당 [[여성]]은 10km, 남성은 13km로 정원 달팽이보다 2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달팽이 입장에서 뛰고 있는 사람을 보면 사람이 초음속 비행중인 [[F-22]]를 보는 것처럼 순식간에 지나가는 속도로밖에 안 보일 것이다.] 개체군이 지역별로 격리되어 아종이 많이 생긴다. 그만큼 종류도 다양하다. 평균 패각의 높이가 100 mm인 아프리카마노달팽이도 있는 반면 약 1 mm인 왜달팽이도 있다. [[브라질]]에 서식하는 큰붕달팽이는 길이가 약 27 mm, 지름이 약 12 mm인 알을 낳는다. 달팽이의 [[후각]]은 생각보다 매우 좋다. 일반적으로 애완용으로 키우는 아프리카 왕달팽이는 50 cm 정도 떨어진 먹이의 냄새에도 반응할 정도이다. === [[뉴런|뇌세포]]가 2개밖에 없다? === 달팽이의 [[뉴런|뇌세포]]가 2개밖에 없다는 속설이 있었는데, 이것은 해외기사를 [[오역]]하여서 생긴 '''잘못된 정보'''이다. [[https://news.joins.com/article/20129858|해당 기사]] 잘못된 정보의 시초는 위의 기사이다. 해외 논문은 달팽이는 체내의 여러 뇌세포 중에 특정 의사결정을 하는 2가지 뇌세포를 언급한 것인데, 여기서 '뇌세포 2가지'라는 부분만 콕 찝어버려서 달팽이의 뇌세포는 2개밖에 없다고 오역하여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왔다. '''"달팽이는 '배가 고픈지 안 고픈지'와 '먹이가 먹을 수 있는 건지'를 판단하는 두 가지 뇌세포밖에 없다."라는 잘못된 내용'''이 사실마냥 떡 하니 있다. [[https://news.imaeil.com/Life/2019121715061981527|#]] 해외 기사를 왜곡하고 [[오역]]하여 졸지에 뇌세포 2개밖에 없는 아둔한 달팽이가 되어버렸다. [[https://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3623427/Snails-make-complex-decisions-using-just-TWO-brain-cells-Simple-neuron-network-helps-food-save-energy.html|#]] 이것이 위 중앙일보 기사에서 =언급한 해외 논문이다. 해외 기사의 내용은 '달팽이는 여러 가지 세포 중 뇌세포 단 2개로 복잡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지, 결코 달팽이는 뇌세포가 2개밖에 없다는 내용이 아니다. 애초에 뇌세포가 2개면 움직이지도 못한다. 저 말대로라면 호흡을 비롯한 기초적인 생명유지활동을 담당하는 뇌세포도 없다는 의미이니 아예 아무것도 못한다. '''Lymnaea [[물달팽이]](속)'''라는 달팽이의 뇌세포가 2만 개라는 논문이 있다. 모 물달팽이의 뇌세포 수는 1만 1천 개, 모 바다달팽이의 뇌세포 수는 1만 8천 개라는 논문이 있다. [[http://www.scholarpedia.org/article/Lymnaea|해외 자료]]. [[초파리]]의 [[구더기]] 같은 초소형 곤충 애벌레의 뉴런이 3000여개 [[https://zdnet.co.kr/view/?no=20230309083320|#]][* 다만 비행 같은 복잡한 운동을 제어하는 성체 초파리는 애벌레 시절보다 더 많은 약 20만 개의 뉴런을 가진다.[[https://medicalxpress.com/news/2021-05-fruit-flies-mosquitos-brainier-people.html|#]] 그렇다고 해서 초파리가 달팽이보다 뇌세포 갯수가 많다고 초파리가 더 똑똑하다는 것은 아니다. 사실 더 다양하게 고려해야 한다. 후술할 내용 참조.] 정도이며, 숫자를 세고 사회적 활동을 하는 성체 벌들이 약 100만 개의 [[뉴런]]이 있다는 점 [[https://m.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849487.html|#]]을 생각하면 달팽이들도 어느정도 지능이 있다는 걸 유추할 수 있다. 물론 달팽이 종류마다 크기가 천차만별이고 뇌세포의 수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위의 정보들을 토대로 보면 어지간한 달팽이들은 뇌세포가 평균적으로 적어도 수만 개 정도는 있다고 봐야 한다. 백 번 양보해도 수천 개는 있을 테니 '''달팽이의 뇌세포가 2개라는 말은 터무니없는 속설'''이다. 달팽이 몸에는 신경절 여럿과 신경절들의 중심이 되는 대뇌신경절이 있다. 신경절들을 이용해서 달팽이는 판단하고 학습하고 기억한다. 애완달팽이로 자리잡은 백와, 금와, 흑와, 흑금와, 흑백와 달팽이의 뇌세포 역시 만 단위는 될 것으로 추정된다. 갯수는 적지만 그러므로 달팽이는 어느 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뉴런 수가 적다고 해서 무조건 '인식할 수 없다, 지능이 없다' 그런 개념으로 이해해선 안된다. 물론 뇌세포 수가 많을수록 더욱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를 갖추고 고도의 사고가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기는 하며 실제 그런 경향이 있지만, 이것이 무조건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사실 아직 뇌나 지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복잡해서 현대 과학에서도 깊이 있게 들어가지는 못한 수준이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0%AF%EB%AF%BC%EC%88%AD%EB%8B%AC%ED%8C%BD%EC%9D%B4%EC%84%9C-%EC%82%AC%EB%9E%8C-%EB%87%8C%EC%A7%88%ED%99%98-%EB%8B%A8%EC%84%9C-%EB%B0%9C%EA%B2%AC/|갯민숭달팽이의 경우도 단지 1만개 정도의 뇌세포를 갖고 있지만 단순한 신경 구조에도 불구하고 사람과 똑같이 뉴런에서 뉴런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 물론 매커니즘이 그렇다는 거지 지능이 사람급으로 높다는 소리는 당연히 아니다.] 또한 종마다 진화된 특정한 방식으로 인간이 세운 지능의 고저 기준을 넘어서서 다양한 방식으로 무엇인가를 인식 및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 [[https://www.mk.co.kr/news/it/8395201|어항속 물고기, 주인 기억할 수도…통증까지 느껴요]] 예를 들어 [[https://www.youtube.com/watch?v=IcPCx3MqxxQ|늑대달팽이 vs 달팽이잡이얼룩뱀 영상에서는 달팽이가 뱀의 공격을 회피한 후 추가 공격을 받지 않기 위해 뱀 머리 위로 올라간다.]] 회피야 신체구조에 의한 단순 민첩함이지만[* [[뱀]]의 공격을 받는 순간적으로 머리를 숨겼다.] 이후 행동의 경우, 공격받은 방향 반대로 도망치는게 아니라 오히려 공격받은 그쪽 방향으로 간다는 것은 대단히 과감한 상황인데, 물론 이게 달팽이가 의도한 것인지, 단순히 '소경 문고리 잡기식' 우연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느 정도의 의도를 갖춘 혹은 경험적인 활용이었다면 상당히 똑똑한 행동이다. == 종류 == === 한국 서식종 === * [[명주달팽이]] * [[동양달팽이]] * 내장산띠달팽이 * 달팽이아재비 * 거제외줄달팽이 * 작은뾰족달팽이 * 실주름달팽이 * 호박달팽이 * 충무띠달팽이 * 북한산달팽이 * 제주밤달팽이 * 남방밤달팽이 * 제주배꼽털달팽이 * 밀자루밤달팽이 === 외래종 유입 === * [[아프리카왕달팽이]]: 식용 및 애완 목적의 사육으로 유입되었으며 달팽이 사육농장에서 양식으로 주로 길러지고 있다. 적응력도 높고, 토종 달팽이들과 달리 상당한 몸집까지 커지지만, 정작 국내에서 사람 손이 아닌 자연에서 적응하면서 살기에는 가혹한 우리나라 [[겨울]]에 월동이 힘들어 자생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엄청난 먹성과 생태계 교란으로 문제가 되는 몇몇 해외국가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해를 넘기기가 영 어려워 생태계 교란종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물론 그렇다고 막 방생해도 된다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 == 인간과 달팽이 ==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초식성이라 농가에서는 달팽이든 민달팽이든 신선한 화훼작물, 채소, 과일들을 아주 잘 갉아먹으므로 [[해충]] 취급이다. 점액 때문에 미리 뿌려둔 농약이나 일반 곤충에 적용되는 살충제도 은근 효과가 떨어지므로 달팽이의 농장 침략(?)이 심한 경우 달팽이 전용 구제약이 따로 있다. 주로 메트알데하이드[* 먹으면 점액분비세포를 파괴하여 남은 점액도 과잉분비하게 만들고 탈수로 사망에 이르게 한다.] 등을 첨가하고 먹기 좋게 만든 독먹이 방식. 달팽이는 고층 아파트의 화단에서도 어떤 경로로 유입되었는지는 몰라도 잔뜩 몰려와서 대량으로 서식하곤 한다. 그래서 화단에 있는 예쁜 [[꽃]]들의 연한 이파리들을 맛있게 죄다 갉아먹기도 해 꽃을 제대로 피우지 못하는 참사가 많이 발생한다. 이럴 땐 식물에 [[카페인]]을 뿌려주면 [[청산가리]] 같은 신경독작용을 해서 달팽이가 죽는다고 하고 친환경 달팽이 [[살충제]] 역할을 한다라고 하는데 사실 1-2%에서 100배 약한 농도로도 달팽이의 식욕을 떨어뜨릴 수가 있어서 일반 [[커피]]로도 가능하다. 반면 이와는 별개로 [[익충]]으로써 여러 목적에 사육되기도 하는데, 애완/반려동물로써 키워지기도 하며 패각의 색도 다양해서 빛깔이 아름다운 달팽이는 관상용으로 많이 팔리는데, 그 중에서 [[쿠바]]에서는 쿠바달팽이라고 하는 다채로운 색상의 아름다운 패각을 가진 달팽이[* [[https://www.google.co.kr/search?q=%EC%BF%A0%EB%B0%94%EB%8B%AC%ED%8C%BD%EC%9D%B4&newwindow=1&biw=1920&bih=906&source=lnms&tbm=isch&sa=X&ei=z-lmVcnqBeT6mQXbh4LACA&ved=0CAYQ_AUoAQ#newwindow=1&tbm=isch&q=cuba+snails|구글 검색이미지]]]가 서식하는데, 문제는 인간들이 이 달팽이의 아름다운 패각을 탐내서 마구 남획하는 바람에 숫자가 확 줄어서 정부 차원에서 보호하는 멸종위기종이 되었다고 한다.[* 끔찍하게도 패각을 얻기 위해 '''[[동물학대|나무 작대기로 달팽이가 죽을 때까지 찔러 죽이는]]''' 만행이 저질러지고 있다.], [[비스마르크 제도]]에 사는 초록색이 투명한 초록파푸아달팽이, [[일본]]에 서식하는 흑갈색 바탕에 황금색 무늬가 있는 금띠비단달팽이가 유명하다. 다만 이런 유명한 종은 그만큼 [[멸종]]하기도 쉽다. 어떤 달팽이 종은 종 전체가 10 × 20 (m) 남짓한 공간에서만 서식할 정도[* ''Cerion nanus''라는 종. 이 글에 명시된 규모는 19세기에 기록된 것이며, 현재는 개체군 전체가 1 km 정도 이동했다고 한다. 다만, 언제 멸종해도 이상할 것이 없는 상황이라 보호가 절실하다.]. 아무리 수집욕을 자극하는 예쁜 동물이라고 해도 마구잡이로 남획하면 안 된다는 교훈을 기억하자. 그 외에도 멸종했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달팽이 종들이 상당히 많다. 달팽이의 점액은 [[화장품]]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어느 [[의사]]가 달팽이를 기르는 사육사들의 손이 유달리 희고 부드럽다는 것을 알고 체계적으로 달팽이의 점액을 연구해보았더니, 달팽이 점액의 뮤신이 피부재생과 진정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얻어 달팽이 점액을 사용한 화장품을 만든 것이 시초이다. 달팽이 점액 크림은 웬만한 유명한 화장품 브랜드라면 하나씩은 구비한다. [[군대]]의 [[PX]]에서도 판매하기에 휴가나 전역한 장병들이 선물로 사들고 오는 일이 잦은 편이다. 달팽이 화장품으로 효과를 본 사람도 많지만, 끈적하기만 하고 효과가 [[영 좋지 않은]] 사람도 부지기수라 효능을 두고 싸우는 사람도 허다하다. 아마도 시중에 출시된 달팽이 크림 제품의 대다수는 실제 달팽이 점액 함량은 얼마 안 되고 끈적이기만 하는 유사 합성성분을 마구 넣어서 그런 듯하다. 제조시에는 달팽이들을 모아놓고 계속 물울 뿌려주며 달팽이 진액이 모이게 하는 방식으로 만든다. [[https://youtu.be/ac_iW3iA01E|영상]] 달팽이 점액을 이용한 연고도 개발되었는데, 당뇨성 족부궤양 상처나 흉터에 바르는 용도로 사용된다. 연고의 단점은 비싸다는 것과 반드시 냉장보관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달팽이 알이 혈액형 판정에 쓰인다는 소문이 있으나, 근거가 없다. 다만, 일부 종에 A형을 응고시키는 물질이 있긴 하다. === 식품으로서 특징 === [[파일:달팽이 식품.jpg]] [[인류]]가 최초로 식용을 위해 사육한 동물이 달팽이라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달팽이 식용의 역사는 길다. 달팽이는 채집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었고 조리도 취식도 비교적 간편하다. 그리고 먹이가 인간과 겹치지도 않고 신변에 위협을 가하지도 않았기에 관리도 간편하다. 실제로 일부 조개무지 유적에서 대량의 달팽이 패각이 발견되는 걸 보면 적어도 [[원시인|원시인류]]은 달팽이를 식용하였을 것이다. [[프랑스 요리]]인 달팽이 요리의 재료가 [[에스카르고]]라는 종인데, 요리한 것을 보면 패각이 멀쩡한 게 마치 [[소라(동물)|소라]] 요리 같다. 맛은 약간은 달달하면서 소라를 씹는 듯한 식감이다. [[연체동물]]이라 식감도 비슷한 듯. [[한국인]]이 즐겨 먹는 친척 [[골뱅이]]와도 꽤 비슷하다. [[크림소스]] 같은 데 졸이거나 그라탕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보통 [[프랑스]]만 달팽이를 많이 먹는다고 여기지만 주변국들도 많이 먹는다. [[스페인]]에서는 [[파에야]]에 넣기도 하며 [[포르투갈]]에서도 5월부터 8월 사이 여름철 [[리스본]]이나 [[포르투]] 같은 대도시 식당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작은 달팽이는 마늘, 허브를 넣고 삶아 올리브유, 레몬 즙을 뿌려서 이쑤시개로 뽑아 먹고, 큰 달팽이는 주로 구워먹는다. 삶은 달팽이는 쫄깃하면서 사르르 녹는 술 안주로 꽤 어울리는 맛이다. [[영국]] [[서머싯]] 지방은 토양이 좋아서 질좋은 달팽이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로마 제국]]부터 달팽이를 즐겨먹었는데 버터에 볶아 향신료를 뿌려먹는 전형적인 유럽 스타일의 요리법을 쓴다. 그리고 과거 [[프랑스 식민제국|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았던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 등 [[북아프리카]]([[마그레브]] 쪽)도 달팽이를 많이 먹는다. 노점상에서도 달팽이 통구이에서 달팽이탕을 팔 정도라고 하는데, 이웃 [[스페인]]도 모로코산 달팽이를 수입해서 먹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한다. 사실 이 지역은 [[고대 로마]] 시절부터 달팽이를 먹었다. 로마 시절 가장 유행하던 노점상 음식 중에 달팽이 구이가 있었으며, 코클레아리움(Cochlearium)이라는 [[https://en.wikipedia.org/wiki/Cochlearium|전용 스푼]]까지 있었을 정도였다.[* 껍질 속의 속살을 빼내기 쉽도록 자루 끝부분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마그레브 지역과 프랑스, 스페인에서 아직도 즐겨 먹는 데에는 이런 역사적 요인이 크다. 한국 여행자가 모로코 여행을 가서 달팽이를 가득 쌓아두고 뜨겁게 삶은 걸 파는 [[노점상]]을 보고 신기하게 쳐다보자 주인이 몇 개를 시식해보라고 줬는데 먹어보니 정말로 소라 맛이라 그리 거부감이 없어서 돈 주고 사 먹었는데, 한가득 준 값도 겨우 8디르함(우리돈 980원 정도)이라 한다. [[생존왕]]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기도 하다. 즉 유럽판 [[번데기(음식)|번데기]]. 느린 데다가 웬만해서는 독도 없고 그 말랑말랑한 살이 전부 단백질 덩어리이다. [[계란]] 까듯이 패각을 돌에 퍽퍽 내리친 다음에 먹는다.[[https://www.youtube.com/shorts/Vsa9rkB8BqI|#]] 1990년대 이후에는 국내에서도 식용 달팽이가 사육된다. 달팽이즙 등 한약재로도 종종 쓰이기도 하며, 골뱅이처럼 끓는 물에 한 번 익혀낸 뒤 무침으로 먹기도 한다. [[충청북도]] [[제천시]]에는 농장에서 직접 사육한 식용 달팽이 껍데기를 벗겨내고 반죽을 묻힌 뒤, 튀겨서 [[닭강정]]처럼 만들어 파는 곳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kahZfABpr4|해당 가게]]. [[중국]] [[류저우]]시에서는 달팽이로 만든 국수가 특별한 음식으로 손꼽힌다. 달팽이 국수에서는 특이한 냄새가 나는데 [[중국인]]들은 이러한 냄새를 굉장히 즐긴다고 한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757377&memberNo=16102356|중국 달팽이 요리]]. 달팽이 알도 [[캐비어]]처럼 먹는데, 굉장히 비싼 고급 식재로 취급된다. ==== 야생 달팽이 식용시 주의점 ==== 단, '''야생 달팽이는 식용을 조심해야 한다.''' 달팽이 자체에는 독을 생성하는 능력이 없지만, 만에 하나 [[독초]]를 먹었다면 달팽이의 체내에 독이 쌓이기 때문.[* 사실 굳이 달팽이만이 아니라, 야생에서 몸에 독이 있다고 알려진 동물들 중에는 이런 식으로 독이 있는 먹이를 섭취해 몸에 쌓은 경우가 많다.] 이를 피하려면 며칠간 독이 없는 풀을 먹여서 독을 빼내야 한다. 또한 야생 달팽이들은 '''[[기생충]]'''도 조심해야한다. [[호주]]에서는 샘 밸라드(Sam Ballard, 1989년생)라는 남자가 2010년 19살일 때 친구들과 술을 마시다가 야생 [[민달팽이]]를 삼켰다가 기생충에 감염되는 사고가 벌어졌다.[[https://www.foxnews.com/health/rugby-player-who-swallowed-garden-slug-as-dare-has-died-8-years-after-health-nightmare-began|#]] 밸라드가 민달팽이를 먹은 뒤로도 얼마 동안은 아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며칠 후 다리에 날카로운 통증을 느껴 병원으로 가보니 민달팽이 기생충인 쥐 폐선충이 밸라드의 뇌를 감염시켰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며칠도 안 가서 뇌수막염 일종인 호산구수막뇌염(eosinophilic meningoencephalitis)에 걸려 420일 동안 혼수상태에 빠졌다. 이후 정신을 차렸으나 말도 하지 못하게 되었고 훨체어를 타고 다니는 신세가 되었다. 3년 동안 온 몸이 아프다고 울부짖었으며 뇌 곳곳에 감염되어 온 몸에 통증이 극심했다고 한다. [[럭비]] 선수였을 정도로 운동도 잘하고 건강했지만, 술김에 부린 객기의 대가로 평생을 고통에 시달려야 했다. 게다가 호주 상해보험사는 밸러드가 일부러 달팽이를 먹은 탓이 크다며 의료비를 앞으로 반만 지불하겠다고 통보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 사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자 결국 보험사는 그 결정을 철회했다. 밸라드는 이후 말을 조금씩 하게 되었지만 2018년 향년 29세로 결국 사망했다. 기생충 중에서도 광동주혈선충에 오염된 달팽이를 날 것이나 덜 익은 상태로 섭취할 경우 인체에 기생충이 침투한다. 체내로 유입된 광동주혈선충은 뇌로 흘러들어가 심한 두통, 목의 뻣뻣함, 발열, 따끔거리는 통증, 구토 등의 증상과 뇌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http://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05|#]] 굳이 이 사례가 아니더라도 달팽이류는 [[주혈흡충]] 등 여러 치명적인 기생충의 중요한 중간숙주이므로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하며 '''절대로 생식해서는 안 된다.''' 충분히 익혀먹는다면, 기생충 문제에 대해서는 안전하다. [[베어 그릴스]]가 괜히 선호하는 게 아니다. === [[달팽이/사육|반려동물로서 특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달팽이/사육)] == 대중매체 == 보통 영 느린 동물이다 보니 창작물에서도 등장 캐릭터들을 환장하게 만드는 답답함을 보여주는 느림보짓을 많이 하는 [[발암 캐릭터]]인 경우가 많다. * [[라바(애니메이션)|라바]]에서도 [[레인보우(라바)|달팽이]]는 무지무지 느리지만, 사실은 페이크이다. * [[보노보노]]에서 [[너부리]]가 어느 달팽이를 잡아먹으려다가 주변에 있던 [[프레리독]]에게 "혹시, 너 아는 녀석이냐? 안다면 건드리지 않을께."라고 하자 프레리독은 생전 처음 보는데도 안다고 고개를 끄덕여 살려준다. 프레리독은 한참 뒤에 자기 집까지 그 달팽이가 와서 말없이 고개를 숙이며 고마움을 표하는걸 보고 여기까지 왔다고 속마음으로 놀라워했다. * 영화에서 달팽이 괴수도 나오는데 특이하게도 [[https://raremoviecollector.com/wp-content/uploads/2017/07/Mysterious_Planet_1982_rmc-324x324.jpg|쌍두 달팽이 괴수]]이다. Mysterious Planet라는 1982년 저예산 미국영화인데 놀랍게도 한국에서 KBS2로 1986~7년 경에 평일 저녁 7시쯤에 우리말 더빙하여 방영했다!(이후 재방영도 함) 해외에서 괴작 졸작 영화라는 악평도 듣는 영화임에도 한국에서 소리소문도 없이 방영했다.극중, 우주해적 습격으로 어느 이름도 모를 별에 불시착한 남녀 4명([[외계인]] 동료 1명 포함)이 별을 둘러보다가 갑자기 나타난 거대한 달팽이 괴수에게 1명이 물리지만 그래도 안 죽고 살아남고 그냥 쫓아내는 수준인데 스톱 애니로 엄청나게 후지게 느릿느릿 나온다. 디자인이 달팽이 껍질에 2개 얼굴과 몸을 가지며 [[거북이]]처럼 다리도 달려있다. 감독인 브랫 피퍼는 저예산 호러물을 주로 만들던 감독인데 그가 감독한 [[바이트]](1996)가 비디오로 한국에도 나온 바 있다. [[AV(영상물)|AV]] [[포르노]]를 만들러 시골 바닷가 마을로 가게 된 포르노 업체 제작진이 [[바다괴물]]이랑 다투는 줄거리인데 [[론 제러미]]가 [[카메오]]로 나온다. * 꾸물꾸물거리고 점액이 나오는 징그럽게 생긴 외모[* 키우다보면 귀엽지만.] 때문에, 공포물의 주 소재로 자주 이용당한다. [[수간]]/[[이종간]] 계열 [[에로 동인지]], [[에로 라이트 노벨]], [[에로게]] 등의 [[19금]] [[성인물|에로물]]에서 [[에로]] 괴물 역할로 출연하기도 한다. * 달팽이가 나온 영화에서 호러물도 있는데 달팽이와 다른 [[민달팽이]]가 주로 나온다. 아무래도 그냥 달팽이는 껍질 때문에 호러감이 덜해서인지 그런 듯. 민달팽이가 더 빠르게 나오기 일쑤이다. * [[KBS]] [[스펀지(KBS)|스펀지]]에서는 달팽이와 거북이에게 5m 마라톤 경주를 시키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물론 결과는 거북이의 승리로 끝났고, 달팽이는 경주를 시작한 지 '''7시간 50분'''만에야 결승선을 통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TvsW8Bs-9k|#]][* 해당 실험에서 나오는 거북은 반수생거북인 리버쿠터다. 현재는 생태계교란종.] * [[https://britishlibrary.typepad.co.uk/digitisedmanuscripts/2013/09/knight-v-snail.html|황당하게도 중세시대 책들의 삽화에는 중무장한 기사들이 맞서 싸우는 괴물로 등장한다.]] 이유는 정확히 불명인데, 삶과 죽음에 대한 비유라는 설, [[카롤루스 대제]]에게 패퇴당한 [[랑고바르드인]] 세력이 [[유럽]] 여기저기에서 [[고리대|고리대금업자]]로 활동하며 삶을 이어가자, 당대 [[프랑크인]]들이 랑고바르드인을 두고 '아무리 쫓아내도 집을 짊어지고 다니는 것처럼 옮겨다니며 살아남는다'는 점에서 달팽이에 비유하며 혐오했기 때문이라는 설, 그냥 재밌어서라는 설이 있다. * 게임회사 [[가이진]]의 심볼이다. 그 때문에 [[워 썬더]] 유저들은 운영이 영 좋지 못한 운영정책, 업데이트를 할 때마다 좆팽이 등의 멸칭으로 부른다. * [[깜찍이 소다]]는 달팽이 캐릭터들을 내세웠으며 CM 시리즈도 [[스톱모션]]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조형된 달팽이 캐릭터들이 많이 나온다. * [[꼬마거북 프랭클린]]에서 맥스라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 [[광란의 수족관]]과 [[식물 vs 좀비]]에서도 '스팅키'라는 이름을 가진 달팽이 캐릭터가 등장한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주인공 [[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이 [[핑핑이]]란 이름의 달팽이를 키우고 있다. 옴니버스식 애니메이션이 다 그렇듯 스폰지밥에게 받는 대접은 에피소드마다 천지차이. 하지만 애완동물 주제에 꽤 똑똑한 편. 근데 울음소리나 하는 행동이 [[고양이]]이다.[* 이 세계관에서는 [[지렁이]]가 [[개]]이고 [[조개]]는 [[새]], [[해파리]]는 [[벌(곤충)|벌]]이고 [[성게]]는 [[바퀴벌레]], [[해마]]는 [[언어|말]]이고 [[말미잘]]은 [[꽃]]이다.] 진짜 고양이인 케니는 일반 시민으로 등장했다. * [[드래곤볼]]에 나오는 [[나메크 성인]]은 이 생물을 모티브로 한 종족이다.[* 피콜로의 부모의 이름도 달팽이의 일본어인 카타츠무리(カタツムリ)의 앞 세글자를 딴 카타츠이고 나메크성 편 당시의 추장의 이름은 무리. 최고장로의 보좌관인 네일도 스네일(snail)에서 따왔다. --하지만 거의 모두 [[프리저|냉장고]]에게 당했다.--] * [[메탈슬러그 3]]에서 '[[메탈슬러그 시리즈/적#에스카르고|에스카르고]]'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인간보다 훨씬 체격이 크고, 달팽이인데도 불구하고 입에서 소화액을 토해내서 공격한다. 이 소화액에 남캐가 맞으면 옷보다 살이 먼저 녹아서 뼈가 보이지만, 여캐가 맞으면 '''옷이 녹아 벗겨지며 죽는''' 특수 데드신이 뜬다.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41124_183/kwon3558_1416812023210LgE9Y_JPEG/%25EB%25A7%25A4%25ED%2583%2588%25EC%258A%25AC%25EB%259F%25AC%25EA%25B7%25B83_%25EC%259B%2590%25EC%25BD%2594%25EC%259D%25B8%25ED%2595%2598%25EB%258A%2594_%25EB%25A7%259D%25EA%25B0%2580.jpg?type=w800|후방주의]] [[드릴 슬러그]]의 앞부분에 달린 드릴 부분으로 근접해서 밀어붙이기를 시도하면 드릴에 꿰어버릴 수 있으며 폭탄 버튼으로 드릴 공격을 가하면 아예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면서 스파크가 더 정교하게 튄다. 재밌게도 게임 이름인 메탈슬러그에서 Slug란 민달팽이를 뜻하기도 한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6부에서는 [[헤비 웨더(죠죠의 기묘한 모험)|주인공 일행을 역습하여 처절하게 발라버리는 달팽이 군단]]이 등장한다. * [[어드벤처 타임]]에서는 많은 에피소드에서 [[카메오]]로 등장한다. 단 매우 작게 나와서 찾기는 힘들다. * [[언더테일]] 속 [[NPC]] 괴물인 [[토리엘]]이 달팽이를 좋아한다.[* 주인공에게 달팽이에 관한 책을 권하며, 하드모드에선 달팽이 파이를 구워준다.] 그리고 또 다른 NPC 괴물 [[냅스타블룩]]은 달팽이 농장에서 달팽이를 키우며 달팽이 경마도 한다. 그리고 그곳의 달팽이들 중 한 마리는 [[언어|말]]을 할 수 있다! * [[연연천영전기]]에서 [[케사 쿠지루]]라는 민달팽이 요괴가 등장한다. * [[원피스(만화)|원피스]]에 등장하는 [[전화기]] 생물 [[전보벌레]]는 달팽이가 모델이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레이드 던전 [[천둥의 왕좌]]에서 메가이라 → 지쿤으로 가는 길에 복족이라고 하는 '''[[식인]]''' 달팽이가 있다. 모든 방어를 무시하고 자신에게 닿은 모든 캐릭터를 즉사시키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공격대 찾기 난이도에서는 이 구간에서 보통 10명 이상이 죽는다. 악명이 어찌나 높았는지 이후 [[오그리마 공성전]]에도 재등장. 이후 군단에서 [[드로그바]]라는 종족이 등장하는데, 드로그바들은 달팽이를 식용으로도 쓰고 달팽이를 애완 동물로도 기르며, 언더테일과 마찬가지로 달팽이로 경마 대회를 열어 돈을 걸기도 한다. * [[하스스톤]]에서는 이 게임의 원작 게임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인만큼 식인 달팽이 [[완강한 복족이]]가 여기서도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2/1/2 도발로 형편 없는 수준이지만 독성 효과가 붙어서 이 하수인과 전투를 벌인 적은 무조건 죽기 때문에 상대가 회심으로 낸 데스윙이나 강력한 몬스터를 상대로 내면 재밌는 광경이 펼쳐지기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 [[이야기 시리즈]]에서도 달팽이에 홀린 소녀인 [[하치쿠지 마요이]]가 등장한다. * [[이토 준지]]의 [[소용돌이(만화)|소용돌이]]라는 작품을 보고 어렸을 적엔 아무렇지도 않던 이 생물이 공포스럽게 다가온 사람들이 꽤 많을 것이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327/read?bbsId=G005&articleId=18902633&itemId=145|달팽이 소녀]]도 만만치 않다. * [[코즈믹 브레이크]]의 [[에스카고트]]는 이것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는데...더듬이를 표현한 머리의 2연장 머신건이다. 하지만 돈(캐쉬)를 들어마시는 가라폰의 마스코트가 하필 에스카고트 머리의 시민의 실루엣이라 애꿎은 에스카고트도 덩달아 가라폰에 헛탕친 유저들에게 원망의 눈총받고 있다. * [[터보(애니메이션)|터보]]라는 초고속 달팽이가 주인공인 애니메이션이 있다. * [[포켓몬스터]]의 [[쪼마리]], [[어지리더]], [[마그카르고]], [[미끄래곤]], [[총지엔]]의 모티브이다. * 프랑스의 전설에는 달팽이와 뱀이 섞인 '[[루 카르콜]]'이라는 [[상상의 동물]]이 나온다. * Sandlot Games에서 개발한 [[Snail Mail]]도 우주를 배경으로 한 달팽이 [[레이싱 게임]]이다. * [[FTL]]에서는 마인드컨트롤 면역을 가진 사기꾼 종족 ‘슬러그’로 나온다. * [[패닉(가수)]]의 노래 - [[달팽이(패닉)|달팽이]] * 일본 순정만화 『[[달팽이 전선]]』에서는 남자 주인공 카지와라 아츠시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달팽이로 변신한다. * 일본의 일렉트로팝 아티스트인 [[Snail's House]]의 오너캐는 아티스트 명의를 반영해 달팽이를 모에 의인화한 소녀이다. * [[요괴워치]]의 [[뽀로롱족]] 요괴인 마이마이 페이스가 달팽이 요괴이다. * [[록맨 X2]]의 [[크리스타 마이마인]]의 모티브이다. * [[복학왕]]에서는 [[김두치]]와 [[봉지은]]이 인류의 미래 운운하면서 자웅동체인 달팽이로 변해버리고 다른 등장인물들도 달팽이로 변해버려서 덕분에 별점은 수직하락하고 있다. 게다가 달팽이가 다른 달팽이도 잡아먹어서 더욱 거대해져서 건물보다 더 커졌다. 결국 기안도 수습이 안되는지 사실은 김원호의 촬영중인 드라마로 바꾼다. == 여담 == * 대중을 위한 교양 생물학 서적을 많이 집필하는 [[권오길(생물학자)|권오길]] 박사가 국내 달팽이 연구의 권위자이다. * 패각이 없는 종은 [[민달팽이]]로 달팽이과가 아니라 민달팽이과에 속한다. * [[소금]]을 뿌리면 삼투 현상에 의해 '''[[끔살|몸에 있던 수분이 밖으로 다 빠져나와 말라 죽게 된다.]]''' 이 말은 바닷물에 닿으면 죽는다는 말과 같으므로, 해안에 같이 달팽이를 데려가게 된다면 절대로 바닷물에 닿이는 일이 없도록 하자.[* 그 외에도 소금기가 묻은 먹이를 주거나 소금기와 접촉하고 온 손으로 달팽이를 만져서도 안 된다.] 또한 [[설탕]] 역시 마찬가지라고 한다. *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이라는 기생충의 숙주로도 유명하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7541632|보통의 달팽이와 다르게 패각 나선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 짝짓기를 못 하는 달팽이가 있다고 한다]]. [[https://www.npr.org/sections/thetwo-way/2017/10/13/557652159/jeremy-the-lonely-left-twisting-snail-dies-but-knows-love-before-the-end|그러나 다행히 다른 반시계방향 패각의 달팽이를 만나 짝짓기를 하고 죽었다]]. * [[일본어]]에서는 단어의 생성, 전파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어이다. 카타츠무리라는 단어가 [[교토]](과거 수도)에서 먼저 생성되어서 [[도쿄]] 지역까지 퍼졌고 그 사이 [[교토]], [[오사카]]에서는 でんでん虫(덴덴무시)라는 새로운 단어로 대체되었으나 19세기 이후 [[도쿄]]가 수도가 되면서 카타츠무리가 표준어가 되고 덴덴무시는 방언이 되었다. * [[아스키 아트]]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_@/'' 또는 "@.. * [[일론 머스크]]가 세운 터널 굴착 회사인 보링 컴퍼니의 목표는 달팽이가 기어가는 것 보다 빠르게 터널을 파는 것이다. 기존의 굴착 기술로는 터널을 뚫는 속도가 달팽이의 속도보다도 한참 느리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이것이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보링 컴퍼니는 공사 기간을 단축해 굴착 비용은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달팽이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 목표치를 가시적으로 느끼기 위해서인지 보링 컴퍼니의 굴착 현장에서는 실제로 개리(Gary)라는 이름의 달팽이를 키우고 있다.[* 이는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등장 캐릭터인 [[핑핑이]]의 원판 이름에서 [[https://www.entrepreneur.com/article/313782|따왔다]].] * [[네이버 웹툰]] 작가인 [[낢]]이 키우는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2045&no=314&weekday=thu|반려 동물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름은 둥글레. 역시 [[네이버 웹툰]] 작가이자 게임 스트리머인 [[이말년]]도 [[https://youtu.be/Z0mvphMygBY|키우고 있다]]. 이름은 [[완강한 복족이|복족이]](좋아좋아, 예뻐예뻐, 귀엽이). * [[개미를 죽입시다 개미는 나의 원수]]에서의 불개미(?)로 추정되는 생물체에게 당한 피해자. 문서 참고. * 특이하게도 [[아프리카]]의 문화 중에는 그곳에 서식하는 아프리카대왕달팽이(Giant African Land Snail)의 등껍질에 각 부족의 전통 무늬를 새겨주는 문화가 있다. 칠을 해주고 달팽이가 껍질에서 얼마나 많이 몸을 내미는가 보고 달팽이가 흡족해함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해당 달팽이는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외래생물]]로 [[집]]까지 갉아먹어서 문제시되고 있다. [[https://www.news1.kr/articles/?1094342|#]] [[파일:카자흐스탄 달팽이.jpg]] * 전세계적으로 달팽이라고 하면 느림보 깝깝이 지나치게 느긋한 사람들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을 못하는 사람들을 비유할 정도로 느림보 이미지가 강하지만 오직 전세계에서 한 나라만 달팽이에 대한 인식이 아주 좋은데 그 나라는 바로 [[카자흐스탄]]이다. [[카자흐족]]에서 달팽이의 이미지가 얼마나 좋냐면 카자흐스탄에서 [[십이지]]의 [[용]] 포지션을 달팽이가 차지할 정도로 아주 좋다. 느림보인 달팽이를 모든 동물들중 최강이자 환수인 용을 대체하는게 엄청난 [[갭 모에]]를 선사하지만 카자흐스탄에서 달팽이는 평화와 성장 풍요를 의미하며 특히 카자흐스탄에서는 달팽이가 하늘과 땅을 조화롭게 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한다고 믿는 편이다.[* 쉽게 말해 [[스타크래프트]]의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비터]]이미지를 떠올려보면 이들에게 달팽이가 어떤 동물인지를 바로 이해가 간다.] 또한 달팽이의 해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누구보다 장수하며 부유한 말년을 보낸다고 믿는다. 실제로 카자흐스탄 전통공예와 설화속에서 달팽이는 등껍질에 용비늘이 나있거나 달팽이와 용이 합쳐진 모습으로 나오는데 특히 용과 달팽이를 융합한 이른바 [[혼종]] 용팽이로 묘사한 그림들을 보면 프랑스 설화에 등장하는 환수종 [[루 카르콜]]의 동양 용 버전으로 그려놓은 모습들을 보여준다. * 애완 달팽이를 선물 받은 남자가 선물해준 친구와 다퉜다는 이유로 달팽이를 튀겨버려서 온라인 상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https://www.news1.kr/articles/?5235588|#]] 이 남성은 "프랑스에서는 달팽이 요리도 있고 너도 육식하면서 뭐 큰일이라고 그러냐"라고 주장했다고. [include(틀:표절, version=514 ~ 530, source=매일신문)] [[분류:진유폐목]][[분류:애완동물/연체동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