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8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성군수)] ---- ||<-2> [[달성군|[[파일:달성군 CI_White.svg|width=40]]]][br]'''{{{+1 대구광역시 달성군수}}}[br]大邱廣域市 達成郡守[br]{{{#!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yor of Dalseong Count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최재훈(정치인)|[[파일:최재훈 군수.jpg|width=100%]]]]}}} || || '''현직''' ||[[최재훈(정치인)|최재훈]] / {{{-2 제37대 (민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 '''취임일''' ||[[2022년]] [[7월 1일]] || ||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성군수'''는 [[달성군]]을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달성군청로 33 (금포리)에 위치한 [[달성군청]]이다. == 상세 == == 역대 달성군수 == === 경상북도 달성군수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 당시 당적.] || '''비고''' || ||<-5> {{{#ffffff '''관선 경상북도 달성군수'''}}} || || 초대 || [[권영세(1885)|권영세]] || ? ~ 1946년 7월 2일 ||<|3> [[미군정]]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제강점기에 영덕군수, 영주군수 등을 역임. 초대 달성군수 역임 후 제5대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으로 재직.] || || 2대 || 최화수 || 1946년 7월 3일 ~ 1947년 6월 8일 ||<|2> || || 3대 || 허흡 || 1947년 6월 15일 ~ 1951년 9월 8일 || || 4대 || 권동철 || 1951년 9월 19일 ~ 1955년 8월 23일 ||<|3> [[이승만 정부]] ||<|3> || || 5대 || 이신호 || 1955년 8월 29일 ~ 1958년 3월 11일 || || 6대 || 안태석 || 1958년 3월 12일 ~ 1960년 5월 12일 || || 7대 || 유시수 || 1960년 5월 13일 ~ 1960년 11월 22일 || [[허정 내각]] || || || 8대 || 이철호 || 1960년 11월 29일 ~ 1961년 6월 25일 || [[장면 내각]] || || || 9대 || 김옥현 || 1961년 7월 31일 ~ 1963년 7월 13일 ||<|2> [[국가재건최고회의]] ||<|2> || || 10대 || 신석경 || 1963년 7월 14일 ~ 1964년 4월 9일 || || 11대 || 박영준 || 1964년 4월 10일 ~ 1965년 1월 17일 ||<|8> [[박정희 정부]] ||<|8> || || 12대 || 이창호 || 1965년 1월 18일 ~ 1965년 8월 13일 || || 13대 || 김영만 || 1965년 8월 14일 ~ 1968년 4월 30일 || || 14대 || 김명호 || 1968년 5월 1일 ~ 1971년 8월 20일 || || 15대 || 이상호 || 1971년 8월 21일 ~ 1975년 9월 2일 || || 16대 || 홍순호 || 1975년 9월 3일 ~ 1976년 3월 31일 || || 17대 || 마용수 || 1976년 4월 3일 ~ 1979년 5월 6일 || || 18대 || 석진후 || 1979년 5월 7일 ~ 1981년 7월 5일 || || 19대 || 최형수 || 1981년 7월 6일 ~ 1982년 9월 7일 ||<|6> [[전두환 정부]] ||<|6> || || 20대 || 김봉구 || 1982년 9월 18일 ~ 1984년 6월 17일 || || 21대 || 서상은 || 1984년 6월 18일 ~ 1985년 3월 11일 || || 22대 || 김재완 || 1985년 3월 12일 ~ 1985년 7월 15일 || || 23대 || 신태근 || 1985년 7월 16일 ~ 1986년 3월 7일 || || 24대 || 신영식 || 1986년 3월 8일 ~ 1988년 6월 10일 || || 25대 || [[김상순(1939)|김상순]] || 1988년 6월 11일 ~ 1991년 1월 31일 ||<|3> [[노태우 정부]] ||<|3> || || 26대 || 권혁대 || 1991년 1월 14일 ~ 1992년 7월 2일 || || 27대 || 홍복근 || 1992년 7월 3일 ~ 1994년 1월 2일 || || 28대 || 최윤섭 || 1994년 1월 3일 ~ 1994년 12월 31일 ||<|2> [[문민정부|김영삼 정부]] ||<|2> || || 29대 || 이병무 || 1995년 1월 1일 ~ 1995년 2월 29일 || === 대구광역시 달성군수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 당시 당적.] || '''비고''' || ||<-5> {{{#ffffff '''관선 대구광역시 달성군수'''}}} || || 29대 || 이병무 || 1995년 3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문민정부|김영삼 정부]] || || ||<-5> {{{#ffffff '''민선 대구광역시 달성군수'''}}}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0대]] || [[양시영]]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include(틀:무소속)] ||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대]] ||<|2> [[박경호(1949)|박경호]]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2>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대]] || [[이종진(1950)|이종진]]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include(틀:한나라당)]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대]] ||<|3> [[김문오]]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include(틀:무소속)] ||<|3>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대]]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include(틀:무소속)]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대]] || [[최재훈(정치인)|최재훈]] || 2022년 7월 1일 ~ 현재 || [include(틀:국민의힘)] || || == 역대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 ||<-4> [[달성군|{{{+1 [[파일:달성군 CI_White.svg|width=30px]]}}}]] [[달성군수|{{{#ffffff {{{+1 '''달성군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조성제|{{{#373a3c,#dddddd 조성제}}}]](曺成濟) || 46,695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2.00% || 낙선 || ||<|2> {{{#FFFFFF {{{+5 '''6'''}}}}}} || '''[[김문오|{{{#373a3c,#dddddd 김문오}}}]](金文澳)''' || '''64,474'''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7.99%''' || '''당선''' || ||<|2> {{{#FFFFFF {{{+5 --'''7'''--}}}}}} || --[[박성태|{{{#373a3c,#dddddd 박성태}}}]](朴成泰)-- ||<|2><-2> 사퇴[* [[김문오]] 후보와 [[단일화]].] || || --[include(틀:무소속)]-- || ||<|3> '''계''' || '''선거인 수''' || 196,837 ||<|3> '''투표율'''[br]58.52% || || '''투표 수''' || 115,197 || || '''무효표 수''' || 4,028 || ---- 이 곳은 [[박근혜]]가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4선을 지낸 [[친박]]의 성지이지만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인 [[김문오]]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4> [[달성군|{{{+1 [[파일:달성군 CI_White.svg|width=30px]]}}}]] [[달성군수|{{{#ffffff {{{+1 '''달성군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전유진|{{{#373a3c,#dddddd 전유진}}}]](田有鎭) || 14,410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6.08% || 낙선 || ||<|2> {{{#FFFFFF {{{+5 '''2'''}}}}}} || '''[[최재훈(정치인)|{{{#373a3c,#dddddd 최재훈}}}]](崔栽熏)'''[* 만 40세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전국 광역자치단체장·기초자치단체장 중 최연소 당선인이다.] || '''62,115'''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9.34%''' || '''당선''' || ||<|2> {{{#FFFFFF {{{+5 '''4'''}}}}}} || [[전재경|{{{#373a3c,#dddddd 전재경}}}]](全在敬) || 13,04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4.56% || 낙선 || ||<|2> {{{#FFFFFF {{{+5 '''--5--'''}}}}}} || --[[박성태|{{{#373a3c,#dddddd 박성태}}}]](朴成泰)-- ||<-2><|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3> '''계''' || '''선거인 수''' || 214,580 ||<|3> '''투표율'''[br]42.56% || || '''투표 수''' || 91,327 || || '''무효표 수''' || 1,753 || ---- 대구광역시 출신 전통관료인 전재경 후보가 컷오프 이후 탈당하며 무소속 출마를 감행해 보수표를 일정 부분 잠식했지만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최재훈 후보가 70%에 육박한 득표율을 올리며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또 무소속으로 출마한 전재경 후보와의 범보수 득표를 합산하면 '''83.90%'''라는 득표율이 나오게 된다. 여담으로 최재훈 후보는 만 40세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연소 기초자치단체장이 되었다. == 역대 정당별 전적 == == 역대 군정 목표 == == 여담 == == 관련 문서 == * [[달성군]] * [[군수]] [[분류:달성군수]][[분류:기초자치단체장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