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nar Reconnaissance Orbiter, LRO''' [include(틀:다른 뜻1, from=LRO, other1=left-to-right override (U+202D), rd1=RLO, paragraph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13px-Lunar_Reconnaissance_Orbiter_001.jpg]] [목차] == 개요 == [[달]]의 궤도를 도는 [[NASA]]의 [[인공위성]].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에서 개발되었고, 2009년 6월 18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의 SLC-41에서 아틀라스 V 401에 실려 발사되었다. 발사 당시 뒷이야기가 있는데, [[우주왕복선]] 미션인 STS-127 [[엔데버 우주왕복선|엔데버]]와 발사 날짜가 하루 간격으로 겹치면서[* 이 미션은 [[ISS]] 키보 모듈을 완성하는 미션이었으나 6월 13일 발사가 취소되고 다시 잡은 날짜가 하필 6월 17일이었다.] 로켓 추적팀이 힘들다고 난데없이 LRO의 발사가 미뤄질 뻔 했다. 다행히 STS-127이 또(...) 취소되고 취소되길 반복한 끝에 6차인 7월 15일(...)에야 출발[* 심지어 이 6차 발사에서도 [[STS-107]] 때마냥 탱크 조각이 또 오비터의 날개를 때렸지만 다행히도 방열 타일에 큰 손상이 발생하진 않았고 귀환도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하면서 6월 18일 발사는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으로, [[루나 게이트웨이]] 예정궤도 검증을 위한 캡스톤(CAPSTONE) 위성의 자동 궤도진입을 보조할 예정이다. == 목적 == * 미래의 달에 대한 유인 및 무인 임무를 계획 * 안전한 착륙지점 확인: 특성 파악을 돕기 위해 최대 해상도 50 cm / pixel (20 in / pixel)의 고해상도 매핑을 제공한다. * 달의 잠재적 자원파악 * 방사선 환경의 현상 규명 == [[아폴로 계획]] 착륙지 사진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15px-Apollo11-LRO-March2012.jpg]] || || [[아폴로 11호]] 착륙지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15px-Apollo_12_LRO.jpg]] || || [[아폴로 12호]], 서베이어 3호 착륙지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RO_Apollo14.jpg]] || || [[아폴로 14호]] 착륙지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RO_Apollo15.jpg]] || || [[아폴로 15호]] 착륙지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RO_Apollo16.jpg]] || || [[아폴로 16호]] 착륙지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RO_Apollo17.jpg]] || || [[아폴로 17호]] 착륙지 || 위의 사진들은 [[아폴로 계획 음모론]]을 반박하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어차피 음모론자들은 이것도 조작이라며 우긴다.~~ == 기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15px-LROviewsLADEEorbitingMOON-20140114.jpg]] [[LADEE]]를 9km 거리에서 촬영하였다. [[분류:달 탐사선]][[분류:NASA의 우주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