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449 0%, #2e8b57 20%, #2e8b57 80%, #277449); color: #ece5b6" '''남송 제17대 황제[br]{{{+1 단종 민황제 | 端宗 愍皇帝}}}'''}}}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ZhaoShiDuanzong.png|width=100%]]}}} || ||<|2> '''출생''' ||[[1269년]] [[7월 10일]] || ||[[남송]] [[항저우시|임안부]] 전당현[br](現 [[저장성]] [[항저우시]]) || ||<|2> '''즉위''' ||[[1276년]] [[6월 14일]] || ||[[남송]] [[푸젠성|복주]][br](現 [[푸젠성]] [[푸저우시|푸저우시]]) || ||<|2> '''사망''' ||[[1278년]] [[5월 8일]] (향년 8세) || ||[[남송]] [[광둥성|강주]][br](現 [[광둥성]] 뇌주) || || '''능묘''' ||영복릉(永福陵) || ||<|2> '''재위기간''' ||'''{{{#ece5b6 제17대 황제}}}''' || ||[[1276년]] [[6월 14일]] ~ [[1278년]] [[5월 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펼치기/접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조(성씨)|조(趙)]] || || '''휘''' ||하(昰) || || '''부모''' ||부왕 [[도종(송)|도종]][br]모후 [[숙비 양씨]] || || '''형제자매''' ||7남 4녀 중 5남 || || '''작호''' ||건국공(建國公) → 길왕(吉王) → 익왕(益王) || || '''묘호''' ||'''[[단종]](端宗)''' || || '''시호''' ||유문소무민효황제[br](裕文昭武愍孝皇帝) || || '''연호''' ||[[경염]](景炎, [[1276년]] ~ [[1278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송의 제17대 황제이자, 남송의 제8대 황제. [[묘호]]는 단종, [[시호]]는 유문소무민효황제(裕文昭武愍孝皇帝), 휘는 하(昰)[* 중국에서는 이 글자를 是의 이체자로 보아 '시'로 읽는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지만 이 글자를 이름으로 사용한 어마어마한 [[흥선대원군|유명인]]이 존재하므로 하로 읽는다.]. [[연호]]는 경염(景炎). [[송도종]]의 아들이자, [[송공제]]의 이복형이다. == 생애 == 조하는 1269년 임안에서 [[송도종]] 조기의 3남으로 어머니 [[숙비 양씨]]에게서 태어났다. 조하는 형들이 일찍 죽어 아버지 송도종이 죽을 때 사실상 장남이었지만 어머니가 후궁인 숙비 양씨라 황후 전씨의 소생이었던 이복동생 [[송공제|조현]]에게 계승권이 밀려 황제에 오르지 못한다. 이후 조현이 즉위한 뒤 1274년에 길왕(吉王)으로 봉해졌다. 당시 조국 남송은 말 그대로 멸망 문턱까지 와 있었다. 중앙정부의 갖은 노력에도 5년간 몽골군의 포위망과 끊임없는 방해 탓에 도움을 받지 못하고[* 남송 조정은 온갖 수를 이용해서 양양에 물자, 원군 등을 끊임없이 보내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버티던 요충지 [[양양(중국 도시)|양양]]이 결국 [[원나라]]에게 함락됐다. 이후 남송의 장강 방어선은 양양이 뚫리면서 도미노처럼 무너져 내렸고 장강 상류 부근이 원나라 수중에 들어가면서 수도 [[항저우|임안부]]는 언제라도 내줄 판이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아버지 도종이 34세의 나이에 갑자기 죽어 어린 동생이 황제로 즉위한 것도 악재 중의 악재였다 남송은 마지막 힘을 쥐어짜서 13만의 정예군을 편성해 방어전을 시도한다. 문제는 거짓 승전보고[* 가사도는 이종 때 당시 내분으로 회군해야 할 쿠빌라이 칸과 밀약은 맺은 뒤, 회군하던 몽골군을 공격하는 시늉을 했고, 밀약 사실을 숨긴 채 남송 조정에 자신이 쿠빌라이 칸을 격퇴했다고 거짓으로 보고했다. 하지만 원나라와 쿠빌라이는 가사도를 결코 무능한 인물로 보지 않았다.]로 명성을 얻은 우승상 [[가사도]]에게 13만 정예군의 지휘권을 넘겼고, 그 결과 남송의 마지막 13만 정예군은 가사도의 졸렬한 지휘로 힘도 못 써보고 바얀이 이끄는 20만 대군에게 한 큐에 박살났다.[* 이후 가사도는 이 일로 즉시 조정으로 소환된 뒤 과거 거짓 보고 등이 들통나서 탄핵되어 유배지로 가던 중 암살당했다.] 1276년 바얀이 이끄는 원나라 군대는 임안을 포위했고, 급해진 남송은 최후의 화의를 시도하게 되지만 이마저도 실패로 끝이 났다. 따라서 황제 조현과 수렴청정을 하던 사태후[* [[이종(송)|이종]]의 황후], 공제의 모친 전태후, 남송 조정, 황실 사람들은 스스로 수도 [[항저우|임안]]의 문을 열고 항복했고 [[베이징|대도]]로 압송되었다. 그러나 남송의 부흥 운동은 끝나지 않았다. [[문천상]], [[장세걸]], [[육수부]], [[진의중]], [[이정지]] 등 일부 군인과 관료는 임안이 함락되자 황족 가운데 익왕 조하와 조하의 어머니인 숙비 양씨, 도종의 7남인 [[송소제|위왕 조병]][* 도종과 수용 유씨 소생이다.] 등을 데리고 나와 그중 나이가 많은 조하를 황제로 옹립했고 이렇게 조하는 7살 나이에 송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하지만 진의중은 도망쳤고 이정지는 강재와 함께 몽골군에게 처형당했다. 이후 남송 부흥군은 남쪽으로 도망치면서 처절한 항전을 계속했다. 그러나 원나라군은 1278년 초에 [[푸저우시|복주]]를 항복시키고 [[취안저우|천주]]의 실력자인 성박사 포수경을 포섭하는 등 점차 강남을 확고하게 지배하면서 남송 부흥세력을 압박해나갔다. 이에 부흥군은 1278년 3월 단종을 모시고 남쪽으로 향했고 최후의 수도인 애산에서 결전을 결의하였다. 하지만 단종과 남송 망명 정부는 해운을 장악한 포수경 없이 배를 제대로 구하지 못한 탓에 애산까지 가는 파천길 중 [[바다]]에서 [[표류]]하게 되었다. 표류 과정에서 송나라 군인의 4할이 [[태풍]]에 사망했고, 이때 함대가 산산조각나면서 단종도 물에 빠졌다. 이 일로 [[익사]]할 뻔한 어린 단종은 병을 얻었고, 재위 2년 만인 1278년 5월 지금의 [[홍콩]] 근처인 복주 인근의 무인도에서 오늘날로 치면 고작 [[초등학교]] 3학년 나이에 불과한 9세의 짧은 생을 마감한다. 단종의 유해는 영복릉에 안장되었으며[* 남송 역대 황릉은 임안에 있었다. 그러나 수도가 함락되고 망명 정부라서 복주 일대에 간소한 장례를 치뤘다. 봉분은 매우 작았으며 현재는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뒤는 역시 도종의 아들이자 당시 7살에 불과한 단종의 이복동생 조병이 물려받았는데, 그가 바로 남송을 부흥하기 위한 마지막 몸부림이었던 [[애산 전투]]와 함께 장렬하게 짧은 생을 마감한 [[송소제]]다.[* 결국 1279년의 [[애산 전투]]와 함께 소제와 송 군신 전원이 바닷물에 몸을 던지면서 남송은 완벽하게 멸망하고 만다.] 단종의 일생은 [[조선]] [[단종(조선)|단종]] 못지않게 참담했지만, 스스로 임안부 성문을 열고 항복한 공제, 애산 전투 후 바다로 뛰어들어 죽은 동생 소제와 달리 상대적으로 인지도는 처참하다. 그러나, 묘호라도 받았으니[* 형제 중 단종만 묘호를 받은 이유를 살펴보면, 원래 묘호는 황제가 죽어야 올리는 것인데 동생 중 공제는 죽지 않고 항복한 탓에 살아있어서 묘호를 올리고 싶어도 올릴 수가 없는 상황이었고, 소제는 죽으면서 송나라가 완전히 망하는 바람에 사후에 묘호를 올릴 송 조정이나 그 잔존 세력이 없었으며, 원나라에서도 이 두 황제에게 따로 묘호를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단종은 송나라가 완전히 망하기 전에 요절한 탓에 그나마 묘호를 받을 수 있었다.] 철저하게 냉대받다가 티베트까지 끌려가 거기서 사사된 동생 송공제나 물에 빠져 죽은 동생 송소제보다는 편안히 죽은 편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송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단종, version=65)] [[분류:1269년 출생]][[분류:1278년 사망]][[분류:송나라/황제]][[분류:역대제왕묘 배향자]][[분류:항저우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