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bccard.com/card_1000015832.jpg|width=300]] * [[대구은행]] 단디 [[파일:external/www.bccard.com/card_1000015834.jpg|width=300]] * [[부산은행]] 단디 [[파일:external/www.knbank.co.kr/cimg_08030500.png]] [[파일:external/www.knbank.co.kr/cimg_08020600.png]] * 왼쪽은 [[경남은행]] 구 단디, 오른쪽은 뉴 단디 [목차] == 개요 == >'''경상도에 산다면 단디하세요~~!! 인생이 달콤해집니다~!''' 국내 최초로 [[경상북도|영남]][[경상남도|권]] [[지방은행]] 3사 전용으로 개발한 [[비씨카드]]의 공통 카드다. 발급은 당연히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에서만 신청할 수있다. 경상도 지역의 지역특화 할인이 많이 들어가 있으며, 한때 3사의 주력 상품이었다.[* 2017년 4월 기준으로 주력 상품이 3사 공통으로 [[그린카드(대한민국 신용카드)|그린카드]], [[카카오페이]] 체크카드, 대구BC는 '''부자되세요 홈쇼핑카드'''/원카드, 부산BC/경남BC는 BNK카드가 주력이다.] [[대구은행]]은 단디체크카드도 발급 중. [[경남은행]]은 기존의 단디 외에 뉴 단디라는 신용카드 상품이 나왔다. == 신용카드 == 브랜드는 V([[비자카드]]) M([[마스터카드]]) C([[UnionPay|은련]]) A([[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경남은행]] 뉴 단디만 해당.] BC L(국내용). 연회비는 국내용/[[UnionPay|은련]]은 5,000원, 마스터/비자는 10,000원이다.(경남 뉴 단디 포함) 혜택은 공통혜택이 있고 3사의 특화 혜택도 있다. 대체로 경상도 특화서비스에 전국적인 범용 혜택이 풍부한 편이다. * 공통서비스 I :전국 가맹점 2~3개월 무이자, GS칼텍스(LPG제외) 리터당 60원 할인,(일 1회/월4회/회당 10만원까지),아웃백/TGIF/베니건스/VIPS 10% 할인(월 1회/최대 1만원/단, 대형마트/백화점 입점 점포 제외), 전국 놀이공원 50%현장할인, 이동통신 1,500원한도에서 3%할인, 철도예매 5% 할인(철도예매 할인:월 2회/최대 5,000원 할인, 서적할인(인터넷구입 포함하며 동보서적&영광도서/전국 영풍문고&교보문고/YES24 3%할인, 월 1회/연 12회/월 최대 5,000원한도), 전월 실적 30만원이상. * 공통서비스 II :3대 대형마트&메가마트/3대 백화점&대구백화점&대구 동아백화점&거제 오션&창원 대우백화점&진주 갤러리아/전국 학원 5%할인,통합 일 1회/월 3회/전월실적 30~100만원 5,000원,100만원 이상 10,000원 통합할인한도. * 카드사별 고유 혜택 * 대구은행 : 커피전문점 Sleepless In Seattle 10% 캐쉬백(이용횟수 제한없고 무실적) * [[BNK금융지주]] 공통 : 부산택시(등대콜) 5%할인:월 5회/건당 최대 1,000원 할인 * 부산은행 : 부산 점프전용관 20%할인(연 5회) * 경남 뉴 단디(공통서비스는 구 단디와 대동소이)-주택용 전기요금/가정용 도시가스요금 카드 자동납부시 5%할인(결제일 차감청구, 월 2회/회당 최대 5,000원/월 합산 최대 1만원 할인제공), TOP가맹점 이용시 최대 10% TOP포인트를 적립, 영화할인 인터넷 예매시 2,000원 할인(월 1회, 현장할인 없음),전국 유명 테마파크 본인 및 동반자 최대 40% 현장 할인,전국 시내버스/지하철 이용시 10%할인(결제일 차감청구, 1회 최대 100원/월 10회), 자전거 관련 가맹점 이용시 5%할인(결제일 차감청구, 월 1회/월 최대 5,000원),이메일 이용대금명세서 신청시 정액할인(결제일 차감청구, 1회 200원/연 12회/최초신청일로부터 1년간만 제공) 전월실적 30만원이상. == 체크카드 == [[파일:external/www.dgb.co.kr/40100101700540001.gif]] [[파일:external/www.dgb.co.kr/40100101700794000.gif]] * [[대구은행]] 단디체크. (위)비교통 일반체크(현재는 디자인 변경), (아래)[[교통카드/후불|후불]]체크([[그린카드(대한민국 신용카드)|그린]]) [[대구은행]]이 유일하게 단디 체크카드를 발행하고 있다. 브랜드는 오직 [[UnionPay|은련]]만 있고 종류는 (비교통)일반체크/[[그린카드(대한민국 신용카드)|그린]]체크/[[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체크 3가지가 있다. 일반 단디체크카드는 실적이 꽤 낮다는 게 장점이다. 전월실적 10만원이다. 혜택은 3가지 대부분 같으나[* 무실적 : 커피전문점 Sleepless In Seattle 10%할인(결제일 캐쉬백). 나머지:전국 주유소(LPG제외) 이용액의 2% 캐쉬백(일 1회/월 4회/건당 10만원까지), 전국 영화관 1,500원 현장 할인(월 1회/연 6회), 아웃백/TGIF/VIPS 10% 할인(월 1회/최대 1만원/단, 대형마트/백화점 입점 점포 제외), 전국 놀이공원 50% 현장할인(통합 월 1회/연 6회), 전국 프로축구/프로야구/프로농구를 인터넷(티켓링크) 예매시 1,500원 할인(월 1회/연 6회,결제일 캐쉬백), 인터넷 서적(교보문고/영풍문고/[[공부서점]]/YES24)구입시 2,000원 할인(월 1회/연 6회/건당 3만원 이상시 캐쉬백) 전월 실적 10만원 이상.], 그린체크하고 후불체크는 추가로 [[그린카드(대한민국 신용카드)|그린카드]] 혜택이 들어가 있는 것이 차이고 [[공부서점]] 혜택 및 주유 할인이 단디그린에서 빠진다. 놀이공원할인도 단디그린은 연 6회에서 4회로 2회 축소되고, 실적은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대구BC체크 중 소액신용한도를 부여할 수 있는 체크카드 중 하나다.[* 대구BC체크 중 하이브리드 소액부여카드 상품은 [[대구은행#s-3.5.2|대구은행]]의 체크카드를 참조.] 셋 다 인터넷으로는 신청할 수 없고,[* [[대구은행]]은 [[하이브리드 카드]]나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를 무조건 지점신청으로 고정하고 있다.] 지점 및 콜센터(비교통형만)에서 신청해야 한다. 그 중 오리지널판은 본점과 [[동대구역]] 등지에 깔려 있는 셀프창구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다. 단, 셀프창구가 아직 시스템이 불안정한 관계로, 발급 도중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웬만하면 창구나 콜센터에서 발급받을 것을 권한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시내버스를 타면 꽤 보이는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가 바로 단디그린 체크카드다. [[대구은행|대구]][[비씨카드|BC]] [[체크카드]] 중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가 적용되는 체크카드 상품이 3가지뿐인데, 홈쇼핑 체크카드는 잘 보이지 않고 부자되세요 더 [[스카이패스|마일리지]] [[마스터카드|마스터]][* 대구BC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의 [[UnionPay|은련]]버전은 비교통형이다. 굳이 은련버전으로 발급받고 싶다면, 인터넷이나 콜센터로 신청할 것을 권한다. 이유는 원격으로 신청하면 카드 번호가 양각으로 나오기 때문이며, 콜센터로 신청하면 발급비를 안 받기 때문이다. 물론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형은 100% 지점 신청이다.] 체크카드는 알다시피 '''[[쓰레기]]'''이기 때문이다. [[분류:신용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