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 {{{+1 다하우}}}[br]Dachau}}}''' || ||<-3> [[파일:800px-Wappen_von_Dachau.svg.png|width=150]] || ||<-3> '''{{{#fff 휘장}}}'''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다하우,너비=100%)]}}}|| ||<-3> '''{{{#ffffff 다하우의 위치}}}''' || ||<-3> '''{{{#ffffff 행정}}}''' || || '''{{{#ffffff 국가}}}''' ||<-2>[[독일]]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 '''{{{#ffffff 시간대}}}''' ||<-2>(UTC+1/+2) || || '''{{{#ffffff 주}}}''' ||<-2>[[바이에른]] || || '''{{{#ffffff 현}}}''' ||<-2>[[오버바이에른]] || || '''{{{#ffffff 군}}}''' ||<-2>[[다하우 군]] || ||<-3> '''{{{#ffffff 인문환경}}}''' || || '''{{{#ffffff 면적}}}''' ||<-2>34.96km² || || '''{{{#ffffff 인구}}}''' ||<-2>48,195명^^(2022년 12월)^^ || || '''{{{#ffffff 인구밀도}}}''' ||<-2>1,379명/km² || || '''{{{#ffffff 홈페이지}}}''' ||<-2>[[https://www.dachau.d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 ||<-3> '''{{{#ffffff 정치}}}''' || || '''{{{#ffffff 시장}}}''' ||플로리안 하르트만 || [[독일 사회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0018; font-size: .8em" {{{#ffffff '''사민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바이에른]] 주에 속해 있으며 [[뮌헨]]에서 북서쪽으로 16km 떨어진 인구 4만 8천명 가량의 작은 [[도시]]다. [[뮌헨 중앙역]]에서 [[S반]] 등의 [[기차]]로 20분 정도에 다하우 역으로 갈 수 있다.[* Dachau Stadt역까지는 M-1존 가격이 적용된다.] 밑에 나오는 [[강제수용소]] 때문에 [[관광객]]이 도시 규모에 비해 많은 편이다. [[대중교통]]으로 강제수용소에 갈 때는 다하우 역에서 726번이나 744번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시내버스의 경우 뮌헨 대중교통패스 중 Inner pass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주의. XXL 패스 등은 이용할 수 있다. == 다하우 강제 수용소 == [include(틀: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Das Konzentrationslager (KZ) Dachau([[독일어]]) Dachau Concentration Camp([[영어]])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bf05538510ae42af7ba0ee9aa022fe1a.jpg]] [[파일:external/www.letsgo-europe.com/ditch2_800.jpg]] [[파일:external/redoubtreporter.files.wordpress.com/dachau-crematoria.jpg]] >'''"다하우, 이 곳에서 나의 고난이 시작됐단다."''' - [[블라덱 슈피겔만]], 만화 [[쥐(만화)|쥐]]에서의 회상 [[1933년]] 3월 '''[[나치 독일]]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수용소'''다. [[1945년]] [[4월 29일]] 해방되었다. [[영어]] 발음인 '다카우'라고도 알려져 있다. [[하인리히 힘러]]가 버려져 있던 군수 공장을 기초로 정비해 최초로 개관했을 때는 [[정치범수용소]]로 이용되었는데 곧 강제노역 목적으로 확대되었다가 [[나치]]의 [[홀로코스트]]가 본격화되면서 수많은 [[유대인]]들이 [[유럽]] 전역에서 끌려와 수용되었다. [[집시]], [[동성애자]],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범죄자들은 물론 독일이 점령한 국가들의 국민들까지 잡아가둬 나치의 [[독재]]와 [[인권침해]], [[홀로코스트]]의 상징이 된 장소다. 서류상으로만 32,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해방 당시 3만 명의 수용자들 가운데 무려 만 명이 환자였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엄청난 존재감으로 인해 가려진 편이지만 다하우는 아우슈비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강제수용소]]이며 현재 독일 영토 내에서는 단연 최대 규모의 수용소였다. 산하에 노역소로 기능한 100여 개의 부설 강제수용소를 거느리기도 했는데, 독일 남부와 오스트리아에 흩어져 있었다. 무엇보다 나치가 세운 최초의 강제수용소로써 아우슈비츠를 비롯해 이후 나치의 여러 수용소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해방 후엔 전범 재판을 기다리는 친위대를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했고 전후 독일에 주둔하던 미군의 기지로 이용되기도 하다가 1960년 재사용이 완전히 중지되었다. 수용소와 내부의 [[박물관]] 및 [[전시관]] 입장은 [[무료]]이며 오디오 가이드는 3.5[[유로]]에 대여할 수 있다.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이 있으며 [[한국어]]는 없다. 부대 시설로 [[식당]], 기념품점, 무료 [[화장실]] 등이 있다. === 주요 수감자 === * 폴란드계 유대인 [[브와디스와프 슈피겔만]] *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 오스트리아 황족 [[요제프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 독일인 목사 [[마르틴 니묄러]] * 독일인 언론인 [[프리츠 게를리히]] * 독일 사민당 당수 [[쿠르트 슈마허]] === 다하우 해방 보복사건 ===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5년]] [[4월 29일]] [[미합중국 육군]]에 의해 해방될 때 이곳의 [[무장친위대]] 소속 경비병들은 [[항복]]했지만 [[미 육군]] [[장병]]들은 대참상을 보고 분노해 그들을 '''[[포로 학살|즉결처형]]'''해 버렸다. 또한 해방된 수용자들에게 아예 [[복수]]하라고 삽 같은 걸 [[다굴|던져 주기도 했다]]. 이 경우 쳐맞는 걸로 끝나면 그나마 다행이고 [[시체등손괴·유기·은닉·영득죄|시체의 얼굴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짓뭉개진 경비]]도 있었다. [[https://blog.naver.com/ddody11/20030990539|#]][[https://blog.naver.com/ddody11/20030913610|#]] 당연하지만 이미 제3차 [[제네바 협약]]까지 비준된 상황이었으므로 항복한 [[독일군]]을 [[미군]]이 [[즉결처형]]한 것은 분명히 [[전쟁범죄]]에 해당된다. 뒤늦게 미 육군 장교가 나타나 제지했지만, 이미 500명 넘는 SS 대원들이 학살된 뒤였다. 학살을 막아야 할 장교들조차 이를 묵인했고 이 중 [[육군]] [[군의관]]은 부상당한 SS 대원들의 치료를 거부하기도 했으며 실제로 처벌받은 미군은 없다. 그냥 놔두면 곤란해서 형식적으로 조사만 했을 뿐. 미군 내에서도 무장친위대, 일반친위대에 대한 증오가 막심하다는 증거. 이례적으로 학살치고는 여론이 긍정적인 편이다.[* 사실 아르덴 대공세에서 펼쳐진 [[말메디 학살]]로 인해 미군은 무장 친위대에 단단히 분노하여 연합군 사령부에서 친위대들은 더이상 교전권이 있는 단체로 취급하지 않겠으니 즉석에서 처형해도 죄를 묻지 않겠다고 공식문서화했으니 딱히 죄를 물을 생각은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때 살해된 상당수의 친위대원들은 학살이 극심했던 1933년~ 1944년 사이 수용소 근무자들이 아닌 교체된 신참들이었다.[* 물론 이 신참 놈들도 그다지 억울할 건 없다. 이놈들도 도긴개긴이었으므로 이 사건에 한해서는 학살을 정당화해도 문제가 없다.] 오히려 가장 극악하게 괴롭혔던 친위대원들은 그전에 서부전선의 다른 곳으로 차출되어 전사했거나 내륙 지역으로 미리 재배치된 상태였다. 물론 이들 대부분 종전과 함께 전사하거나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일부 약삭빠른 무장/일반 [[슈츠슈타펠|친위대]] 경비대원들은 [[미군]]이 도착하자 수용자 복장으로 갈아입고 [[피해자 코스프레|수용자인 것처럼 행동했지만]], 그 동안 당한 수모에 악이 받친 수용자들을 앞세운 미군의 검문에 걸려 끌려 나왔다. 이후 이들의 생사는 불명.[* 위의 언급들을 보아 빡치다 못해 단단히 야마가 돌아 버린 미군에게 집단 총살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독일 국방군]]조차 증오하는 사람들이 많은 판국에 어지간한 3군의 전범행위 동참에 항상 따라다닌 집단이 [[무장친위대]]였고 그야말로 이골이 날 대로 이골이 난 미군들이 [[경비병]]과 남은 [[장교]]들을 모조리 사살해 버렸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미군들도 [[말메디 학살]] 등 아군이 [[포로]]로 잡혀 옥고를 치르고 괴롭게 죽어간 [[동병상련]] 그 이상의 처지라 포로들의 앞에서 그들을 살려주고 싶은 사람들은 사실상 없었다고 봐도 충분했다. 즉, 격분한 미군들이 그들을 살려줄 리가 만무했다(...).][[https://youtu.be/R0c8DLdDzow|#]][* 이 동영상의 2:05부터 2:34 참조. 피골이 상접한 유대인 수용자들의 시체가 나오는 관계로 성인인증 필요.] 이 장면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있으니 참조.[* 해당 애니메이션은 [[넷플릭스]]에서 제작한 《더 리버레이터: 500일의 오디세이》이다. [[아메리카 원주민]] 출신으로 이루어진 부대를 이끄는 한 장교와 그 부하들의 [[서부전선]]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다만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사실과 다르게 [[적십자]] 깃발을 들고 [[항복]]하는 [[무장친위대]] 병사를 밀어내고 병원에 누워 있는 부상병들을 모두 끌어내 [[총살]]하는 것이고, 사진상으로는 처형에서 살아남은 SS 무장친위대 포로가 3명 정도 존재하는데 비해,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전원 사망으로 처리. [[https://youtu.be/-OQAzJ4RCzw|#]] 이 사건은 영화 [[셔터 아일랜드]]의 중요한 소재이기도 하다. === 기타 ===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붕괴된 [[독일 제국]]과 같이 붕괴된 옛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왕세자]]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과도 연관이 있는 장소다. 당시 루프레히트는 [[나치]]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여 [[이탈리아 왕국]]으로 추방당했는데 [[1944년]] 10월 [[연합국]]과 강화를 모색하려던 [[헝가리 왕국]]의 [[호르티 미클로시|호르티 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헝가리를 침공한 독일군에 의해 체포될 뻔했다가 겨우 탈출했다. 그러나 일가족은 모두 체포되어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옛 영지가 있는 [[뮌헨]] 인근의 이 다하우 수용소로 이송되어 미군에 해방될 때까지 수감되었다. 그중 루프레히트 왕세자의 아내인 안토니아 왕세자빈은 가혹한 수감생활로 인해 건강을 크게 해쳐서 거의 죽을 뻔했다.[* 그녀는 [[1954년]]에 사망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아돌프 히틀러]]는 1차 대전 중에 루프레히트의 부하였다. 1차대전 당시 루프레히트는 [[독일 제국군]] 소속인 [[바이에른 왕국군]]을 지휘했는데 히틀러는 이 바이에른 왕국군 소속으로 참전했기 때문이다. [[JTBC]]의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서도 소개되었다. [[아트 슈피겔만]]의 [[쥐(만화)|쥐]]에서 주요 배경 무대가 되기도 했다. [[아트 슈피겔만]]의 아버지 [[블라덱 슈피겔만]]의 증언에 의하면 수용소 시설환경은 아니나 다를까 [[아우슈비츠]]를 뺨치는 환경에 [[벼룩]]으로 인해 웬만한 인원들이 [[티푸스]]에 감염되어 고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로 인해 생활 중 죽은 사람이 꽤 많이 나왔다고 증언했다. [[http://ko.wikipedia.org/wiki/%EB%8B%A4%ED%95%98%EC%9A%B0_%EA%B0%95%EC%A0%9C_%EC%88%98%EC%9A%A9%EC%86%8C|한국어 위키백과]] [[분류:1933년 설립]][[분류:1945년 해체]][[분류:나치 독일의 강제수용소]][[분류:바이에른]][[분류:독일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