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다키스트 던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다키스트 던전/마을 구획, top2=다키스트 던전/마을 이벤트)] [include(틀:다키스트 던전)] [목차] == 설명 == || [[파일:1tS3AfC.jpg|width=100%]] || || {{{#787878 Hamlet}}} || ||
[youtube(09u0rZJ0WEs)] || || {{{#red 마을 BGM}}} || {{{+1 '''Hamlet''' }}} 마을이 포함된 영지(Hamlet)의 디폴트 네임은 '가장 어두운 영지 (The Darkest Estate)'이며, 수식어 '가장 어두운(Darkest)' 부분은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추가된 핏빛 궁정 DLC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는 나라 안에서도 한 손에 꼽을 정도로 부유하고 번성한 영지였다. 하지만 오컬트에 심취한 [[선조(다키스트 던전)|선조]]의 행위들 때문에 가문과 함께 몰락했다. 이에 선조는 뒤를 이을 후손에게 편지를 보내 영지로 불러들여 다시 가문을 일으키려 한다는 것이 다키스트 던전의 주된 스토리이다. 처음에는 황량한 폐허가 된 부락이지만, 플레이어가 오래된 길(Old road)의 도적들을 쓸어버리고 마을 주변에 서식하는 괴물들과 도적들을 구축하면서 치안이 안정화되어서 폐점하고 있던 사람들이 돌아와서 활동을 재개하는 것과 더불어 마을 시설에 투자 및 지원을 하여 위생의 개선 및 물가 안정과 품질 향상으로, 점차 사람들이 찾아오고 그외의 시설들도 하나 둘 개점을 하면서, 그나마 덜 을씨년스러운 곳으로 변한다. 마을에서 플레이어는 휴식을 취하고, 영웅 캐릭터의 스킬과 장비를 업그레이드하고, 캠핑 스킬을 배울 수 있다. 마을에 각 건물은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다키스트 던전/마을 이벤트|마을 이벤트]] == * 자세한 내용은 [[다키스트 던전/마을 이벤트]] 문서를 참조. == [[다키스트 던전/마을 구획|마을 구획]] == * 자세한 내용은 [[다키스트 던전/마을 구획]] 문서를 참조. == 시설 종류 == 집사는 마을 일지 기록, 마을 퀘스트 중계, 역마차 외에도 무덤도 관리하고 있으며, 모험 출정을 떠날 때 모험에 필요한 아이템을 팔기도 한다. 집사는 초반에 마차를 이끌던 중 광기에 빠져서인지 어디에서든 웃고 있으며, 무덤에서도 잘 보면 집사가 웃고 있는 입을 손으로 가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2에서는 영지의 물건을 한가득 짊어진 잡동사니 상인(hoarder)으로 등장한다.] 매 주마다 집사가 수도원과 여관 중 한 곳의 한 시설의 슬롯에 눌러앉으며, '''해당 슬롯은 일시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다행히 모든 슬롯을 한번에 차지하는 건 아니고, 한 주에 한 자리만 차지하는 거라서 시설을 증축해 슬롯을 늘리면 영향을 줄여서 해당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여관과 수도원 슬롯 합이 총 12개 이상으로 늘어나면, 마을 이벤트를 알리는 '소식통 양반'도 추가로 눌러앉기 시작한다.''' 이를 원치 않는다면, 예를 들어 여관은 노 업 상태인 3자리에 수도원을 8자리까지만 늘리면 11개로 안전하기 때문에 회랑 3석, 명상실 3석, 고행의 홀 2석까지해서 8자리까지만 올리는 식으로 하면 된다. 또한 인벤토리 제약이 심해서 한 번에 벌어올 수 있는 돈은 생각보다 크게 늘어나지 않으므로, 비용을 줄여주는 업그레이드도 착실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 단, 마을 이벤트 중에서 여관, 요양원, 수도원 이용 비용을 무료로 해주거나 감소시켜주는 이벤트가 있으므로, 마을 이벤트를 고려해서 수용칸부터 최대한 늘려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 대장간은 이벤트가 있지만 무기나 방어구 중 하나 그것도 단 한 번만 가능하고, 길드와 생존주의자 천막은 따로 비용 감소 이벤트가 없으므로 비용 감소를 꾸준히 올려주자. 재료만 있으면 한 번에 업그레이드를 연속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가보를 저축해 뒀다가 나오는 마을 이벤트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 업그레이드를 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역마차는 특성상 다음 주차부터 효과가 적용된다. === 역마차 (Stage Coach) === ||<-2> {{{+1 '''{{{#e19b50 역마차 (Stage Coach)}}}'''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Qs3N270.png|width=300px]] || [[파일:MWkooHf.png|width=450px]] || ||<-6>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6> '''{{{#white 역마차 연락망 (Stage Coach Network)}}}'''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 한 주에 고용 가능한 영웅 수 3명 ||한 주에 고용 가능한 영웅 수 4명||한 주에 고용 가능한 영웅 수 5명||한 주에 고용 가능한 영웅 수 6명||한 주에 고용 가능한 영웅 수 7명||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V92Ss4.png]] 3 [[파일:zpjJ8vH.png]] 4||[[파일:RV92Ss4.png]] 8 [[파일:zpjJ8vH.png]] 10||[[파일:RV92Ss4.png]] 16 [[파일:zpjJ8vH.png]] 15||[[파일:RV92Ss4.png]] 20 [[파일:zpjJ8vH.png]] 20||[[파일:RV92Ss4.png]] 25 [[파일:zpjJ8vH.png]] 26|| ||<-7> '''{{{#white 영웅 막사 (Hero Barracks)}}}'''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 최대 고용 가능한 영웅 수[* 플레이어가 보유할 수 있는 영웅 캐릭터 개수의 최대치를 뜻한다. 마을 화면의 우측 슬롯에서 확인 가능하다. 대개 로스터(Roster)라고 부른다.] 12명 ||최대 고용 가능한 영웅 수 16명||최대 고용 가능한 영웅 수 20명[* 광명 모드에서는 21명.]||최대 고용 가능한 영웅 수 24명[* 광명 모드에서는 25명.]||최대 고용 가능한 영웅 수 28명[* 광명모드에서는 30명.]||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V92Ss4.png]] 3 [[파일:zpjJ8vH.png]] 4||[[파일:RV92Ss4.png]] 8 [[파일:zpjJ8vH.png]] 10||[[파일:RV92Ss4.png]] 16 [[파일:zpjJ8vH.png]] 15||[[파일:RV92Ss4.png]] 20 [[파일:zpjJ8vH.png]] 20||[[파일:RV92Ss4.png]] 25 [[파일:zpjJ8vH.png]] 26|| ||<-7> '''{{{#white 숙련된 신병 (Experienced Recruits)}}}'''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레벨 4는 광명 난이도에서만 있다. 또한 광명 난이도는 레벨 1, 2, 3에 필요한 교관, 무기, 갑옷 레벨이 한 단계씩 낮다.] || || '''업그레이드[br]효과''' || 18.75% 확률로 레벨 1 영웅 추가 ||12.5% 확률로 레벨 2 영웅 추가||6.25% 확률로 레벨 3 영웅 추가||3.12% 확률로 레벨 4 영웅 추가||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9 [[파일:zpjJ8vH.png]] 12||[[파일:EEIR97b.png]] 12 [[파일:zpjJ8vH.png]] 16||[[파일:EEIR97b.png]] 15 [[파일:zpjJ8vH.png]] 20||[[파일:EEIR97b.png]] 18 [[파일:zpjJ8vH.png]] 24|| || '''요구 사항''' ||교관 훈련 레벨 2[br]무기 제조 레벨 2[br]갑옷 제조 레벨 2||교관 훈련 레벨 3[br]무기 제조 레벨 3[br]갑옷 제조 레벨 3||교관 훈련 레벨 4[br]무기 제조 레벨 4[br]갑옷 제조 레벨 4||교관 훈련 레벨 4[br]무기 제조 레벨 4[br]갑옷 제조 레벨 4|| 처음부터 열려 있는 마을 시설. 새로운 영웅을 모집하는 역할을 하며, 역마차를 업그레이드하면 로스터의 최대 인원과 매주 들어오는 신규 영웅의 수가 늘어나며, 레벨이 높은 영웅이 나올 수 있다. 한 주에 고용 가능한 최대 영웅의 수는 처음에는 최대 2명부터 시작해 업그레이드를 할 수록 늘어나지만, 고용되어있던 영웅들이 아예 [[전멸]]해버리는 등의 이유로 현재 역마차에 들어온 인원만 영입하는 것으로 더이상 4인 파티를 구축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 예외적으로 최대 고용 가능 인원이 그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4인 파티를 구축할 수 있을 때까지 영웅을 고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원활하게 고용하고 해고하고를 반복하려면 4인까지는 한 번에 고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를 해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숙련된 신병 업그레이드도 1레벨은 빠르게 해주면 편한 점이 많은데, 1레벨로 시작하는 영웅의 경우 모든 스킬이 개방되어 있고 강화도 다 끝나있어서 0레벨보다 원정대를 짜기가 편해지기 때문이다. 광기의 색채 DLC 설치시, [[다키스트 던전/던전/농장|농장]]의 두번째 퀘스트를 마치고 무한 반복 퀘스트인 '무한한 수확' 퀘스트가 해금되고나면 역마차에서 무한한 수확을 위한 전용 용병들을 고용할 수 있다. 이 무한한 수확 전용 용병들은 기본 6레벨에 모든 스킬과 장비가 5레벨까지 해금되어있고 로스터도 차지하지 않지만, 최대 6명까지만 고용이 가능하며 유성조각 용병(Shard Mercenary)이라는 제거할 수 없는 부정적 기벽을 가지고 있어 무한한 수확이 끝나면 '''수확한 혜성 파편 중 10%가 용병의 보수로 차감된다'''. 유성조각 용병이 여러명이면 보수로 차감되는 파편량도 용병들의 수만큼 중첩되므로, 만약 유성조각 용병 4명으로 구성된 파티로 무한한 수확을 수행했다면 수확한 파편 중 60%만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무한한 수확 퀘스트가 해금되었지만 Darkest 난이도인 수확 퀘스트에 보낼 영웅이 없거나 충분하지 않을 때, 파편 획득에 손해를 보더라도 수확 퀘스트를 수행하고 싶다면 궁여지책으로 고용하는 용병들이다. === 대장간 (Blacksmith) === ||<-2> {{{+1 '''{{{#e19b50 대장간 (Blacksmith)}}}'''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4sh8xY7.png|width=300px]] || [[파일:O8Mxl0M.png|width=500px]] || ||<-7>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7> '''{{{#white 무기 제조 (Weaponsmithing)}}}'''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 || '''업그레이드[br]효과''' ||2랭크 무기 업그레이드||3랭크 무기 업그레이드||4랭크 무기 업그레이드||5랭크 무기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V92Ss4.png]] 8 [[파일:zpjJ8vH.png]] 8||[[파일:RV92Ss4.png]] 20 [[파일:zpjJ8vH.png]] 21||[[파일:RV92Ss4.png]] 32 [[파일:zpjJ8vH.png]] 35||[[파일:RV92Ss4.png]] 44 [[파일:zpjJ8vH.png]] 49|| ||<-7> '''{{{#white 갑옷 제조 (Armorsmithing)}}} '''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 '''업그레이드[br]효과''' ||2랭크 갑옷 업그레이드||3랭크 갑옷 업그레이드||4랭크 갑옷 업그레이드||5랭크 갑옷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V92Ss4.png]] 8 [[파일:zpjJ8vH.png]] 8||[[파일:RV92Ss4.png]] 20 [[파일:zpjJ8vH.png]] 21||[[파일:RV92Ss4.png]] 32 [[파일:zpjJ8vH.png]] 35||[[파일:RV92Ss4.png]] 44 [[파일:zpjJ8vH.png]] 49|| ||<-7> '''{{{#white 용광로 (Furnace)}}}'''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5> 매 단계마다 무기와 갑옷 업그레이드 비용 10% 감소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V92Ss4.png]] 4 [[파일:zpjJ8vH.png]] 4||[[파일:RV92Ss4.png]] 9 [[파일:zpjJ8vH.png]] 10||[[파일:RV92Ss4.png]] 14 [[파일:zpjJ8vH.png]] 15||[[파일:RV92Ss4.png]] 18 [[파일:zpjJ8vH.png]] 20||[[파일:RV92Ss4.png]] 24 [[파일:zpjJ8vH.png]] 26|| 3주차에 길드와 동시에 열리는 마을 시설. 영웅들의 무기와 갑옷을 업그레이드하는 곳. 3레벨까지의 영웅은 레벨+1 랭크까지, 4레벨 이상은 자신의 랭크까지 강화가 가능하다. 최대 5랭크까지 강화할 수 있다. 무기를 업그레이드하면 공격력, 치명타 확률, 속도 수치가 상승하고, 갑옷을 업그레이드하면 회피, 최대 체력이 상승한다. 영웅의 장비가 그에 걸맞지 못 한다면 진행이 상당히 버거워지며, 베테랑 난이도 이상의 던전에서부터 특히 두드러진다. 대부분의 무기는 3단계에서부터 속도가 올라가므로 베테랑 던전에 안정적으로 도전하려면 기본적으로 무기는 3단계까지는 맞춰주는 것이 좋다. 무기나 갑옷을 1회 무료로 업그레이드 해주는 마을 이벤트가 발생할 수도 있고, 스탯을 올리는게 스킬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보다 효율이 좋기 때문에 병기창이나 갑옷 제조창 쪽을 먼저 넉넉하게 업그레이드 해두는 것이 좋다. 용광로 업그레이드를 할 시, 업그레이드 할수록 무기와 갑옷을 저렴한 가격에 강화할 수 있으며, 할인되는 정도는 다음과 같다. 괄호는 기벽 "갑옷/무기 장인"의 효과로 인한 할인 수치. ||<-7> '''{{{#white 업그레이드 비용}}}''' || || || '''기본 가격''' || '''용광로 1단계''' || '''용광로 2단계''' || '''용광로 3단계''' || '''용광로 4단계''' || '''용광로 5단계''' || || '''2랭크''' || 750 (600) || 675 (540) || 600 (480) || 525 (420) || 450 (360) || 375 (300) || || '''3랭크''' || 1750 (1400) || 1575 (1260) || 1400 (1120) || 1225 (980) || 1050 (840) || 875 (700) || || '''4랭크''' || 2500 (2000) || 2250 (1800) || 2000 (1600) || 1750 (1400) || 1500 (1200) || 1250 (1000) || || '''5랭크''' || 4000 (3200) || 3600 (2880) || 3200 (2560) || 2800 (2240) || 2400 (1920) || 2000 (1600) || === 길드 (Guild) === ||<-2> {{{+1 '''{{{#e19b50 길드 (Guild)}}}'''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F9GV353.png|width=300px]] || [[파일:vxbJhR3.png|width=500px]]]] || ||<-7>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7> '''{{{#white 교관 훈련 (Instructor Mastery)}}}'''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 || || '''업그레이드[br]효과''' ||2랭크 스킬 업그레이드||3랭크 스킬 업그레이드||4랭크 스킬 업그레이드||5랭크 스킬 업그레이드||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NdRNjR.png]] 6 [[파일:zpjJ8vH.png]] 14||[[파일:RNdRNjR.png]] 15 [[파일:zpjJ8vH.png]] 38||[[파일:RNdRNjR.png]] 24 [[파일:zpjJ8vH.png]] 60||[[파일:RNdRNjR.png]] 33 [[파일:zpjJ8vH.png]] 84|| || ||<-7> '''{{{#white 훈련 과목 고급화 (훈련 요법, Training Regimen)}}}'''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5> 매 단계마다 스킬 습득 비용 감소 10%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NdRNjR.png]] 2 [[파일:zpjJ8vH.png]] 6||[[파일:RNdRNjR.png]] 5 [[파일:zpjJ8vH.png]] 14||[[파일:RNdRNjR.png]] 8 [[파일:zpjJ8vH.png]] 21||[[파일:RNdRNjR.png]] 11 [[파일:zpjJ8vH.png]] 29||[[파일:RNdRNjR.png]] 14 [[파일:zpjJ8vH.png]] 36|| 3주차에 오픈되는 마을 시설. 영웅들의 스킬을 습득하고 업그레이드 하는 곳. 무기 및 방어구처럼 해당 영웅의 레벨 만큼만 강화가 가능하다. 길드를 업그레이드하면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한계가 향상되며 비용이 감소한다. 길드는 무료로 업그레이드 해주는 마을 이벤트가 없으므로 비용 감소 업그레이드를 꾸준히 해두는 것이 좋다. ||<-7> '''{{{#white 업그레이드 비용}}}''' || || || '''기본 가격''' || '''훈련 과목 고급화 1단계''' || '''훈련 과목 고급화 2단계''' || '''훈련 과목 고급화 3단계''' || '''훈련 과목 고급화 4단계''' || '''훈련 과목 고급화 5단계''' || || '''1랭크''' || 1000 || 900 || 800 || 700 || 600 || 500 || || '''2랭크''' || 250 || 225 || 200 || 175 || 150 || 125 || || '''3랭크''' || 750 || 675 || 600 || 525 || 450 || 375 || || '''4랭크''' || 1250 || 1125 || 1000 || 875 || 750 || 625 || || '''5랭크''' || 2500 || 2250 || 2000 || 1750 || 1500 || 1250 || === 생존 전문가 (Survivalist) === ||<-2> {{{+1 '''{{{#e19b50 생존 전문가 (Survivalist)}}}'''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4ZJdD3n.png|width=300px]] || [[파일:DnyDVQB.png]] || ||<-6>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6> '''{{{#white 야영지 (모닥불, Bonfire)}}}'''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5> 매 업그레이드 당 캠핑 스킬 습득비용 -10%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zpjJ8vH.png]] 15||[[파일:zpjJ8vH.png]] 35||[[파일:zpjJ8vH.png]] 54||[[파일:zpjJ8vH.png]] 72||[[파일:zpjJ8vH.png]] 92|| 던전 최고 레벨이 2가 되었을 때에 오픈되는 마을 시설. 영웅들이 캠핑 스킬을 배우는 곳. 시설들 중 가장 늦게 열리는데, 새로 기용한 영웅의 캠핑 스킬이 영 좋지 않거나 야습 방지 스킬을 갖고 있지 않다면 조금 답답해진다. 생존 전문가는 무료로 업그레이드 해주는 마을 이벤트가 없으므로 비용 감소 업그레이드를 꾸준히 해두는 것이 좋다. 캠핑 스킬은 전투 스킬 처럼 레벨이 따로 없어 한 번 배우면 끝이고, 그렇다고 해서 종류가 더 많지도 않다. 따라서 초반에 돈을 많이 지불하고 쓸만한 캠핑 스킬을 대부분 배웠다면 업그레이드 효율이 매우 낮아지기도 한다. 업그레이드에 따라 스킬 습득시 지불 가격은 다음과 같다. ||<-7> '''{{{#white 업그레이드 비용}}}''' || || '''기본 가격''' || '''야영지 1단계''' || '''야영지 2단계''' || '''야영지 3단계''' || '''야영지 4단계''' || '''야영지 5단계''' || || 1750 || 1575 || 1400 || 1225 || 1050 || 875 || === 여관 (Tavern) === ||<-2> {{{+1 '''{{{#e19b50 여관 (Tavern)}}}'''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goS6gaj.png|width=300px]] || [[파일:S5uQKC7.png|width=550px]] || ||<-6>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6> '''{{{#white 주점 (Bar)}}}'''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3% 감소||슬롯 1칸 확장||스트레스 회복 증가||슬롯 1칸 확장||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NdRNjR.png]] 2 [[파일:zpjJ8vH.png]] 4||[[파일:RNdRNjR.png]] 3 [[파일:zpjJ8vH.png]] 6||[[파일:RNdRNjR.png]] 4 [[파일:zpjJ8vH.png]] 8||[[파일:RNdRNjR.png]] 5 [[파일:zpjJ8vH.png]] 10||[[파일:RNdRNjR.png]] 6 [[파일:zpjJ8vH.png]] 13|| || '''부정적 이벤트''' ||<-5>(15.8%) 술을 마시러 나가서 일주일 동안 안 돌아옴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5.3%) 술을 마시러 나가서 '''2주''' 동안 안 돌아옴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10.5%) 새로운 술을 맛보기 위해, '''주점을 떠나는 것을 거부'''[br](10.5%) 끔찍한 숙취를 겪은 후 술을 끊기로 맹세해 '''결심'''[* Resolution.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술을 마시지 않음.] 기벽 획득[br](10.5%) 알콜의존에 빠져 '''술꾼'''[* Tippler.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음주로만 스트레스 해소 가능] 기벽 획득[br](10.5%) 술에 취해서 '''{{{#red 장신구를 잃어버림}}}'''[* 보유 중인 모든 장신구 중에서 흔함(Common)에서 매우 희귀(Very Rare) 등급 사이의 장신구들을 랜덤하게 하나를 잃어버릴 수 있음. 하지만 광인(Madman)이 드랍하는 아리아 박스(Aria Box), 오버쳐 박스(Overture Box), 크레센도 박스(Crescendo Box)와 수집가(Collector), 비밀 방 전용 장신구인 디스마스의 머리(Dismas's Head), 바리스탄의 머리(Barristan's Head), 주니아의 머리(Junia's Head) 그리고 해골왕족(Bone Royalty)이 드랍하는 미혹의 술잔(Tempting goblet) 장신구들은 제외 된다] [br](5.3%) 꽐라가 되어서 모든 사람들에게 술을 쏘느라 '''500골드 탕진''' [br](5.2%) 숙취가 가시지 않아 사물이 여러 개로 보임. '''다음 퀘스트에서 명중 -10'''[br](5.2%) 숙취가 가시지 않아 움직임이 둔해짐. '''다음 퀘스트에서 회피 -10'''[br]'''(78.8%) 총합'''|| ||<-6> '''{{{#white 도박장 (Gambling)}}}'''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3% 감소||슬롯 1칸 확장||스트레스 회복 증가||슬롯 1칸 확장||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NdRNjR.png]] 2 [[파일:zpjJ8vH.png]] 4||[[파일:RNdRNjR.png]] 3 [[파일:zpjJ8vH.png]] 6||[[파일:RNdRNjR.png]] 4 [[파일:zpjJ8vH.png]] 8||[[파일:RNdRNjR.png]] 5 [[파일:zpjJ8vH.png]] 10||[[파일:RNdRNjR.png]] 6 [[파일:zpjJ8vH.png]] 13|| || '''긍정적 이벤트''' ||<-5>(9.2%) 도박에서 이겨서 2000골드 획득[br](7.7%) 도박에서 이겨서 '''장신구 획득'''[* 모든 장신구 중에서 흔함(Common)에서 매우 희귀(Very Rare)의 등급 사이의 장신구들을 랜덤하게 하나를 얻을 수 있음][br](7.7%) 도박사의 자질이 있다는 것을 자각해 '''노련한 도박꾼'''[* Skilled Gambler. 긍정적 기벽. 도박에서 돈이나 장신구를 얻을 확률 증가] 기벽 획득[br]'''(24.6%) 총합'''|| || '''부정적 이벤트''' ||<-5>(23.1%)도박에 재미가 붙어서 '''도박장을 떠나는 것을 거부'''[br](13.8%) 도박에서 져서 '''1000골드를 잃음'''[br](7.7%) 사기를 치다 걸려 '''소문난 사기꾼'''[* Known Cheat.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도박장 출입이 금지됨.] 기벽 획득[br](7.7%) 도박중독에 빠져 '''도박꾼'''[* Gambler.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도박을 통해서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음.] 기벽 획득[br](7.7%) 도박사의 자질이 없다는 것을 자각해 '''형편없는 도박꾼'''[* Bad Gambler. 부정적 기벽. 도박에서 돈을 잃을 확률 증가] 기벽 획득[br](7.7%) 도박에서 져서 '''{{{#red 장신구를 잃어버림}}}'''[br](5.8%) 너무 도박에 빠져 사설 도박장까지 가버려서 일주일 동안 안돌아옴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1.9%) 너무 도박에 빠져 사설 도박장까지 가버려서 '''2주''' 동안 안돌아옴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75.4%) 총합'''|| ||<-6> '''{{{#white 사창가 (Brothel)}}}'''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3% 감소||슬롯 1칸 확장||스트레스 회복 증가||슬롯 1칸 확장||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RNdRNjR.png]] 2 [[파일:zpjJ8vH.png]] 4||[[파일:RNdRNjR.png]] 3 [[파일:zpjJ8vH.png]] 6||[[파일:RNdRNjR.png]] 4 [[파일:zpjJ8vH.png]] 8||[[파일:RNdRNjR.png]] 5 [[파일:zpjJ8vH.png]] 10||[[파일:RNdRNjR.png]] 6 [[파일:zpjJ8vH.png]] 13|| || '''긍정적 이벤트''' ||<-5>(16.7%) 황홀한 밤을 보내고 흥분에 빠져 '''다음 퀘스트에서 속도 +5'''[br](16.7%) 황홀한 밤을 보내고 행복감에 빠져 '''다음 퀘스트에서 스트레스 -25%'''[br]'''(33.4%) 총합'''|| || '''부정적 이벤트''' ||<-5>(16.7%) 사창가에 매료되어 '''사창가를 떠나는 것을 거부'''[br](8.4%) '''{{{#red 장신구를 잃어버림}}}'''[br](8.3%) 옷을 다 입고 난 뒤 '''750골드를 잃어버린 걸 알아차림'''[br](8.3%) 과로로 탈진하여 '''다음 퀘스트에서 속도 -5'''[br](8.3%) 잊을 수 없는 밤을 보내고 사랑에 빠져 '''애정 집착'''[* Love Interest.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사창가를 통해서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음.] 기벽 획득[br](8.3%) 성병에 감염되어 '''매독'''[* Syphilis. 질병. 명중 -5, 대미지 -10%, 최대 체력 -10%] 질병 획득[br](8.3%) 깊고 어두운 취향에 눈을 떠 '''변태'''[* Deviant Tastes.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사창가 출입이 금지됨] 기벽 획득[br](6.3%) 방탕함이 도를 지나쳐서 어딘가로 떠나버려서 일주일 동안 안돌아옴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2.1%) 방탕함이 도를 지나쳐서 어딘가로 떠나버려서 '''2주''' 동안 안돌아옴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75%) 총합'''|| 2주차에 오픈되는 마을 시설. 수도원과 마찬가지로 영웅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하면 스트레스 회복량이 상승하고, 한 번에 수용 가능한 영웅의 수가 늘어나며 이용 비용이 감소한다. 수도원과 비교하면 가격과 기본 효과는 동일하지만, 일어나는 이벤트가 차이가 난다. 수도원처럼 여관도 이용 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더 많음-- 여관의 경우 공통적으로 '''장신구를 잃어버리거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arkest&no=152243|불꽃의부적]]] 돈을 잃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대상은 장신구 가방에 있는 전체이므로 장신구가 좋은 것이 많을 수록 위험부담이 크다. 그 밖에도 다음 원정을 나갈 때 능력치에 디버프가 붙거나 질병을 얻기도 하는 등 위험부담이 많은 스트레스 해소 시설이다. 던전 안에서 영웅들의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주는 게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거나 특별한 부정 기벽들 때문에 이용해야 하는 상황들을 제외한다면 위험 부담이 적은 수도원에 보내자. 여관 업그레이드는 더 중요한 길드 업그레이드와 증서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수도원 쪽을 이용하는 것이 자원 배분에 효율적이기도 하다. 무료로 사용하게 하거나 이용료를 반값으로 해주는 마을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슬롯 확장만 따로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비용 감소 업그레이드는 2단계에 고정되어 있어서 노리고 활용하기는 힘든 편이다. ||<-4> '''{{{#white 스트레스 해소 정도}}}''' || || || '''기본''' || '''업그레이드 1단계''' || '''업그레이드 4단계''' || || '''주점''' || 45 || 56 || 70 || || '''도박장''' || 55 || 69 || 86 || || '''사창가''' || 65 || 81 || 100 || ||<-5> '''{{{#white 시설 이용 비용}}}''' || ||<-2> '''영웅 레벨''' || '''기본 가격''' || '''업그레이드 2단계''' || '''업그레이드 5단계''' || ||<|3> '''0~2레벨''' || '''주점''' || 1000 || 850 || 700 || || '''도박장''' || 1250 || 1050 || 900 || || '''사창가''' || 1500 || 1275 || 1050 || ||<|3> '''3~4레벨''' || '''주점''' || 1400 || 1190 || 980 || || '''도박장''' || 1750 || 1470 || 1260 || || '''사창가''' || || || || ||<|3> '''5~6레벨''' || '''주점''' || 1800 || 1530 || 1260 || || '''도박장''' || 2250 || 1890 || 1620 || || '''사창가''' || || || || === 수도원 (Abbey) === ||<-2> {{{+1 '''{{{#e19b50 수도원 (Abbey)}}}'''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NJbyA1H.png]] || [[파일:frLNOod.png]] || ||<-7>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7> '''{{{#white 명상실 (회랑, Cloister)}}}'''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레벨 6''' || || '''업그레이드[br]효과''' ||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5% 감소||슬롯 1칸 확장||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5% 감소||슬롯 1칸 확장||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4 [[파일:zpjJ8vH.png]] 5||[[파일:EEIR97b.png]] 8 [[파일:zpjJ8vH.png]] 8||[[파일:EEIR97b.png]] 11 [[파일:zpjJ8vH.png]] 14||[[파일:EEIR97b.png]] 15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19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23 [[파일:zpjJ8vH.png]] 29|| || '''긍정적 이벤트''' ||<-6>(3.75%) 물질 세계에 구애받지 않게 되어, '''균형감각'''[* Balanced. 긍정적 기벽. 이동 저항 +15%] 기벽 획득[br](3.75%) 명상을 하기에 최적의 자세를 발견해, '''명상가'''[* Meditator. 긍정적 기벽. 캠프나 수도원에서 명상할 때 스트레스 회복량 증가.] 기벽 획득[br]'''(7.5%) 합계'''|| || '''부정적 이벤트''' ||<-6>(7.5%) 명상에 실패해 좌절하고 '''번뇌'''[* Unquiet Mind. 부정적 기벽. 명상하는 것을 거부함] 기벽 획득[br] (7.5%) 명상에서 깨달음을 얻어 '''깨달음'''[* Enlightened.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명상을 통해서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음.] 기벽 획득[br](3.75%) 영혼의 평화를 얻어, '''차분함'''[* Calm. 부정적 기벽. 첫 라운드 대미지 -15%] 기벽 획득[br](3.75%) 무아지경에 도달해, '''명상을 그만두는 것을 거부'''[br](5.6%) 깨달음을 얻기 위해 영웅이 일주일 동안 내면의 여정을 떠남.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 가끔식 랜덤한 긍정/부정 기벽 하나를 획득하고 돌아오곤 한다. ][br](1.9%) 깨달음을 얻기 위해 영웅이 '''2주''' 동안 내면의 여정을 떠남.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30%) 합계'''|| ||<-7> '''{{{#white 기도실 (익랑, Transept)}}}'''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레벨 6''' || || '''업그레이드[br]효과''' ||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6% 감소||슬롯 1칸 확장||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6% 감소||슬롯 1칸 확장||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4 [[파일:zpjJ8vH.png]] 5||[[파일:EEIR97b.png]] 8 [[파일:zpjJ8vH.png]] 8||[[파일:EEIR97b.png]] 11 [[파일:zpjJ8vH.png]] 14||[[파일:EEIR97b.png]] 15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19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23 [[파일:zpjJ8vH.png]] 29|| || '''긍정적 이벤트''' ||<-6>(6.8%) 기도에서 희망을 얻어, '''다음 퀘스트에서 스트레스 -20%'''[br](3.4%) 신앙심 깊은 기도로 수도원장이 감명받아, '''랜덤한 장신구를 선물'''[br]'''(10.2%) 합계'''|| || '''부정적 이벤트''' ||<-6>(6.8%) 기도자들의 부도덕한 행동[* 마을 이벤트에서 '신도들을 위해서'라는 이유를 댄 뒤에 와인 저장소에 틀어박히는 등, 수도원장은 가식적인 위선자라는 암시가 있다.]을 목격하고 '''목격자'''[* Witness.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기도를 하지 않으려 함.] 기벽 획득.[br](6.8%) 기도 중 신의 계시를 받아 '''외경'''[* God Fearing.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기도를 통해서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음.] 기벽 획득.[br](3.4%) 물욕을 버리게 되어 '''1000골드를 헌금'''[br](2.6%) 영웅이 신성한 환영을 찾아 일주일 동안 떠남.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0.9%) 영웅이 신성한 환영을 찾아 '''2주''' 동안 떠남.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20.5%) 합계'''|| ||<-7> '''{{{#white 고행실 (고행의 홀, Penance Hall)}}}'''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레벨 6''' || || '''업그레이드[br]효과''' ||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5% 감소||슬롯 1칸 확장||스트레스 회복 증가||치유 비용 15% 감소||슬롯 1칸 확장||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4 [[파일:zpjJ8vH.png]] 5||[[파일:EEIR97b.png]] 8 [[파일:zpjJ8vH.png]] 8||[[파일:EEIR97b.png]] 11 [[파일:zpjJ8vH.png]] 14||[[파일:EEIR97b.png]] 15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19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23 [[파일:zpjJ8vH.png]] 29|| || '''긍정적 이벤트''' ||<-6>(9.4%) 육체의 시험을 이겨내고 강해져, '''다음 퀘스트에서 공격력 +20%'''[* [[https://youtu.be/sBpa-NWXGlE?si=6tgTfvJ3JmN2bjMm|편법으로 저장한 다음 이 버프를 중첩시켜 380%까지 공격력 증가를 받은 유물수집상 혼자 선조와 심장을 때려잡는 영상도 있다.]]] --[[왈도체|힘세고 강한 몸]]--[br]'''(9.4%) 합계'''|| || '''부정적 이벤트''' ||<-6>(9.4%) 영웅이 고통에 심취해, '''고행을 그만두는 것을 거부.'''[br](4.7%) 고통 속에서 신앙을 잃음. '''무신앙'''[* Faithless. 부정적 기벽.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기도나 고행 거부.] 기벽 획득[br](4.7%) 고행에 빠져, '''고행자'''[* Flagellant. 부정적 기벽. 마을에서 고행을 통해서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음] 기벽 획득.[br](4.7%) 고행이 너무 효과적이어서, '''다음 퀘스트에서 출혈 저항력 -25%'''[br](3.5%) 고통을 추구한 나머지 고행을 위한 여행을 일주일 동안 떠남. '''일정기간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1.1%) 고통을 추구한 나머지 고행을 위한 여행을 '''2주''' 동안 떠남. '''일정기간 해당 영웅 출정 불가.'''[br]'''(28.1%) 합계'''|| 2주차에 오픈되는 마을 시설. 수도원에서는 명상, 기도, 고행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영웅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수도원을 업그레이드하면 해소되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용 비용이 감소한다. 수도원과 술집 시설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스트레스 회복량이 높으며 비용 또한 비싸진다. 중후반에는 장신구 도난 위험 때문에 여관보다는 수도원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된다. 고행실을 이용할 때에 '벌써 빨갛게 되었군'이라는 발언과 채찍질하는 효과음이 들리는 것으로 유추하자면, 이 고행 행위의 주류는 채찍질에 피학받는 것으로 예상된다.[* 사실 예상이 아니라 사실인데, 일주일에 한번씩 여관과 수도원의 한 칸을 차지하는 집사가 고행실을 차지하고 있을 때 그 위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그래그래! 내 피부를 완전히 다 벗겨버려!’ 라던가 ‘더 세게!’라는 말을 한다.] 의외로 기도실이 긍정적인 이벤트 확률이 가장 높으면서도 부정적 이벤트 확률도 가장 낮고 그 내용도 별 부담이 없는 편이다. 특히 장신구를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이벤트가 있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 버프를 받는 효과도 꽤 좋다. 명상실이나 고행실에 없는 특유의 부정적인 이벤트는 골드 1000을 주는 것 뿐이라 가장 조건이 좋은 스트레스 해소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스트레스 해소 정도는 중간 정도이다. 명상실은 이용 가격이 가장 저렴한 대신 부정적 이벤트 확률이 가장 높고 긍정적 이벤트 확률이 가장 낮은데 반해 긍정적 이벤트는 거의 쓸모가 없으면서도 영웅을 사용할 수 없게 될 확률이 꽤 높다. 스트레스 해소 정도도 가장 낮다. 고행실은 영웅을 사용할 수 없을 확률이 가장 높지만 명상실보다 전체적으로 긍정적 이벤트 확률이 높고 부정적 이벤트 확률이 낮다. 긍정적 이벤트가 사실상 별 쓸모가 없는 명상실에 비해 고행실의 긍정적 이벤트는 쓸모가 있는 편이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 정도가 가장 높다. 무료로 사용하게 하거나 이용료를 반값으로 해주는 마을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슬롯 확장만 따로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비용 감소 업그레이드는 2단계와 5단계에 고정되어 있어서 노리고 활용하기는 힘든 편이다. ||<-4> '''{{{#white 스트레스 해소 정도}}}''' || || || '''기본''' || '''업그레이드 1단계''' || '''업그레이드 4단계''' || || '''명상실''' || 45 || 56 || 70 || || '''기도실''' || 55 || 69 || 86 || || '''고행실''' || 65 || 81 || 100 || ||<-5> '''{{{#white 시설 이용 비용}}}''' || ||<-2> '''영웅 레벨''' || '''기본 가격''' || '''업그레이드 2단계''' || '''업그레이드 5단계''' || ||<|3> '''0~2레벨''' || '''명상실''' || 1000 || 850 || 700 || || '''기도실''' || 1250 || 1050 || 900 || || '''고행실''' || 1500 || 1275 || 1050 || ||<|3> '''3~4레벨''' || '''명상실''' || 1400 || 1190 || 980 || || '''기도실''' || 1750 || 1470 || 1260 || || '''고행실''' || || || || ||<|3> '''5~6레벨''' || '''명상실''' || 1800 || 1530 || 1260 || || '''기도실''' || 2250 || 1890 || 1620 || || '''고행실''' || || || || === 요양원 (Sanitarium) === ||<-2> {{{+1 '''{{{#e19b50 요양원 (Sanitarium)}}}'''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YCd5bbW.png|width=300px]] || [[파일:Dn4k8l9.png|width=500px]] || ||<-6>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6> '''{{{#white 요양 도서관 (Treatment Library)}}}'''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5> 매 단계마다 기벽 치유 비용 -10%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3 [[파일:zpjJ8vH.png]] 3||[[파일:EEIR97b.png]] 8 [[파일:zpjJ8vH.png]] 5||[[파일:EEIR97b.png]] 12 [[파일:zpjJ8vH.png]] 8||[[파일:EEIR97b.png]] 16 [[파일:zpjJ8vH.png]] 10||[[파일:EEIR97b.png]] 21 [[파일:zpjJ8vH.png]] 13|| ||<-6> '''{{{#white 의료 기구 (Medical Devices)}}}'''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 질병 치유 비용 -10% ||추가 질병 제거율 증가||질병 치유 비용 -10%||추가 질병 제거율 증가||질병 치유 비용 -10%||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3 [[파일:zpjJ8vH.png]] 3||[[파일:EEIR97b.png]] 8 [[파일:zpjJ8vH.png]] 5||[[파일:EEIR97b.png]] 12 [[파일:zpjJ8vH.png]] 8||[[파일:EEIR97b.png]] 16 [[파일:zpjJ8vH.png]] 10||[[파일:EEIR97b.png]] 21 [[파일:zpjJ8vH.png]] 13|| ||<-7> '''{{{#white 병실(Infirmary)}}}'''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3''' ||<-3> || || '''업그레이드[br]효과''' || 진료소 슬롯 1칸 확장 || 치료소 슬롯 1칸 확장 || 진료소 슬롯 1칸 확장 || 치료소 슬롯 1칸 확장 ||<-3>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EEIR97b.png]] 10 [[파일:zpjJ8vH.png]] 6||[[파일:EEIR97b.png]] 20 [[파일:zpjJ8vH.png]] 13||[[파일:EEIR97b.png]] 30 [[파일:zpjJ8vH.png]] 19||[[파일:EEIR97b.png]] 60 [[파일:zpjJ8vH.png]] 38||<-3> || 4주차에 오픈되는 마을 시설. [[다키스트 던전/기벽|기벽]]중에서 긍적적인 기벽을 고정하거나 부정적인 기벽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소'와 [[다키스트 던전/질병|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진료소'가 있으며, 해당 영웅이 3레벨(베터랑), 5레벨(챔피언)이 될 때마다 이용료가 상승한다. 부정적인 기벽은 제거만 가능하지만 긍정적인 기벽은 고정시킬 수도 있고 제거할 수도 있다. 해당 기벽을 한 번 클릭하면 자물쇠 모양으로 표시되며 고정하는 선택이 나오며, 그 상태에서 한 번 더 클릭하면 부정적인 기벽처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긍정적인 기벽을 하나 고정/제거하면서 부정적인 기벽도 하나 제거할 수 있다.''' 치료비는 각각의 기벽마다 따로 합산되지만 동시에 긍정적/부정적 기벽을 하나씩 관리할 수 있으니 시간이 절약된다. 긍정적인 기벽만 둘, 혹은 부정적인 기벽만 둘씩 관리할 수는 없다. 병실을 업그레이드하면 한 번에 수용 가능한 영웅의 수가 늘어난다. 무료로 사용하게 해주는 마을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진료소만 비용 무료가 발생하거나 전체가 비용 무료가 발생하는 두 가지가 있다. 슬롯 증가가 진료소-치료소 식으로 징검다리 업그레이드가 되기는 하지만 적당히 늘려두면 마을 이벤트 효과를 잘 받을 수 있게 된다. 비용 감소 부분은 치료소는 처음부터 끝까지 비용 감소라서 업그레이드가 덜 될수록 이득이 많고, 진료소의 경우는 비용 감소가 1,3,5레벨에 있고, 추가 진료 확률 증가는 2,4레벨에 있으므로 4레벨까지 올려두면 마을 이벤트 효과를 잘 받는 상태가 된다. 치료소의 기벽 고정 및 기벽 제거는 영웅 레벨에 따라 가격이 더 많이 오른다. 긍정적인 기벽에 대한 고정 및 제거가 가장 비싸며, 고정된 부정기벽 제거는 그 다음 정도 되고 단순 부정 기벽 제거가 가장 저렴하다. 물론 가격을 훨씬 더 많이 지불해야 하니 치명적인 부정 기벽은 빨리 없애주는 것이 중요하다. ||<-8> '''{{{#white 기벽 치료 비용}}}''' || ||<-2> '''영웅 레벨''' || '''기본 가격''' || '''요양 도서관 1단계''' || '''요양 도서관 2단계''' || '''요양 도서관 3단계''' || '''요양 도서관 4단계''' || '''요양 도서관 5단계''' || ||<|3> '''0~2레벨''' || '''긍정 기벽 고정 / 제거''' || 7500 || 6750 || 6000 || 5250 || 4500 || 3750 || || '''고정된 부정 기벽 제거''' || 5000 || 4500 || 4000 || 3500 || 3000 || 2500 || || '''{{{#red 부정 기벽 제거}}}''' || 1500 || 1350 || 1200 || 1050 || 900 || 750 || ||<|3> '''3~4레벨''' || '''긍정 기벽 고정 / 제거''' || 10500 || 9450 || 8400 || 7350 || 6300 || 5250 || || '''고정된 부정 기벽 제거''' || 7000 || 6300 || 5600 || 4900 || 4200 || 3500 || || '''{{{#red 부정 기벽 제거}}}''' || 2100 || 1890 || 1680 || 1470 || 1260 || 1050 || ||<|3> '''5~6레벨''' || '''긍정 기벽 고정 / 제거''' || 13500 || 12150 || 10800 || 9450 || 8100 || 6750 || || '''고정된 부정 기벽 제거''' || 9000 || 8100 || 7200 || 6300 || 5400 || 4500 || || '''{{{#red 부정 기벽 제거}}}''' || 2700 || 2430 || 2160 || 1890 || 1620 || 1350 || 진료소 업그레이드는 질병 치료 비용 감소 및 다른 질병을 무료로 추가 치료하는 확률을 증가시켜주는데, 질병 치료 비용은 레벨이 증가하여도 금액이 비교적 크게 증가하지 않는 편이며, 광견병이나 발작같은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붙은 질병을 유지하려면 용이해지려면 업그레이드를 아예 안 하는 것이 더욱 도움이 될 수도 있다. ||<-5> '''{{{#white 질병 치료 비용}}}''' || || '''영웅 레벨''' || '''기본 가격''' || '''의료 기구 1단계''' || '''의료 기구 3단계''' || '''의료 기구 5단계''' || || '''0~2레벨''' || 750 || 650 || 550 || 450 || || '''3~4레벨''' || 1050 || 910 || 770 || 630 || || '''5~6레벨''' || 1350 || 1170 || 990 || 810 || '의료 장비'를 [[업그레이드]]할 시에 [[다키스트 던전/나레이션|선조]]는 '실험적인 기술과 약물' 혹은 '기이한 요법과 장치들' 처럼 믿음이 가지 않는 언급을 하며, 요양원을 이용하는 영웅들의 대사를 들어봐도 그 '의료 행위'라는 것은, [[임상실험]]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원시적인 요법과 위험한 시술들이 성행하던 근대 의학까지의 수준을 생각해 보면 적절한 고증. 예외로 [[역병 의사(다키스트 던전)|역병 의사]]를 진료소에 넣으면, 무슨 일을 할지 알고 있으니 어서 하기나 하라는 식의 대사가 나온다. 게다가 기벽을 관리하는 시설인 치료소의 병실 입구가 '''철문'''으로 감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주사로 신경을 둔화시키는 용도의 약물을 투약하는 것를 묘사한 행위는 현재까지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켜서 시행되는 행위중에 하나이다. === 유목민 마차 (Nomad Wagon) === ||<-2> {{{+1 '''{{{#e19b50 유목민 마차 (Nomad Wagon)}}}'''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oD9i0BV.png|width=300px]] || [[파일:nTsP4H5.png|width=450px]] || ||<-7> {{{+1 {{{#white 업그레이드 일람}}} }}} || ||<-7> '''{{{#white 마차 크기 (Wagon Size)}}}'''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 || || '''업그레이드[br]효과''' ||구입 가능한 장신구 개수 4개||구입 가능한 장신구 개수 6개||구입 가능한 장신구 개수 8개||구입 가능한 장신구 개수 12개||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zpjJ8vH.png]] 10||[[파일:zpjJ8vH.png]] 26||[[파일:zpjJ8vH.png]] 42||[[파일:zpjJ8vH.png]] 58|| || ||<-7> '''{{{#white 상인 연락망 (Merchant Network)}}}''' || ||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레벨 4''' || '''레벨 5''' || || '''업그레이드[br]효과''' ||<-5> 매 단계마다 장신구 구매 비용 -10% || || '''업그레이드[br]비용''' ||[[파일:zpjJ8vH.png]] 8||[[파일:zpjJ8vH.png]] 17||[[파일:zpjJ8vH.png]] 28||[[파일:zpjJ8vH.png]] 38||[[파일:zpjJ8vH.png]] 46|| 처음부터 열려 있는 마을 시설. 매주 새로운 [[다키스트 던전/장신구|장신구]]를 구매할 수 있다. 유목민 마차를 업그레이드하면 구매할 수 있는 장신구의 개수가 늘어나며, 장신구의 가격이 하락한다. 마차 크기 업그레이드의 경우 한 단계 당 매 주 등장 장신구 갯수가 두 개씩 늘어나는데 최종 단계 업그레이드는 네 개가 늘어나서 최종적으로 주마다 12개가 된다. 그러나 장신구 판매 개수 8개보다 장신구 판매 개수 12개가 오히려 흔한 장신구가 필요없는 것이 2~개씩이나 중복으로 자주 나와서 확률적으로 더욱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8개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단계까지만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래는 나중에 개방되는 시설이지만, 컬러 오브 매드니스 DLC와 동시기에 등장한 패치에서부터는 역마차처럼 처음부터 개방되는 것으로 상향 조치되었다. 광기의 색채 DLC 설치시, 유목민 마차 윈도우 왼쪽 아래에 있는 스위치를 클릭해서 혜성 파편을 받고 수정 장신구를 파는 보석상에 입장할 수 있다. 보석상은 매주 랜덤한 장신구를 파는 유목민 마차와 달리 특수 획득 조건을 가진 장신구를 제외한 모든 수정 장신구를 처음부터 팔고 있지만, 이 수정 장신구들은 딱 한 번만 구매할 수 있으며 한 번 구매하고나면 보석상 슬롯에서 완전히 사라진다. === 무덤 (Graveyard) === ||<-2> {{{+1 '''{{{#e19b50 무덤 (Graveyard)}}}'''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gdlmZDh.png|width=300px]] || [[파일:26aQNB4.png|width=350px]] || 처음부터 열려 있는 마을 시설. 원정 중 사망한 영웅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인이 표기되며 사망한 영웅의 레벨에 따라 묘비 모양이 다르다. [[파일:Tombstone1.webp]] 0-1 레벨 영웅. 나무로 대충 엮은 십자가만 덜렁 있다. [[파일:Tombstone2.webp]] 2레벨. 네모난 돌을 대충 비석으로 세워뒀다. ~~이름은 세겨줬네~~ [[파일:Tombstone3.webp]] 3레벨. 제대로 예우를 갖춰 비석을 세웠지만 관리는 안해주는지 잡초가 자라있다. [[파일:Tombstone4.webp]] 4레벨. 본격적으로 엄숙한 비석이 세워진다. 십자가 가운데에 빛을 상징하는 광륜과 희생을 상징하는 해골이 들어갔다. [[파일:Tombstone5.webp]] 5레벨. 더욱 큰 비석에 붉은 보석을 박고, 영웅의 희생을 상징하는 해골, 어둠의 고통에 맞섰음을 상징하는 검은 선들과, 그에 맞서 비춘 빛을 커다란 광륜으로 세겼다. 또한 참배를 하러 온 사람들이 있는지 붉은 꽃다발도 놓여있다. [[파일:Tombstone6.webp]] 6레벨. 전설적인 영웅을 기념하기 위해 금실로 장식된 붉은 천을 걸어줬다. [[파일:Headstone_CC.webp]] 핏빛 저주로 인하여 사망한 영웅. 시체도 못 건진건지 핏빛 저주를 상징하는 깃발만 덩그런히 있고 바닥엔 피가 흥건하며 흡혈 파리들이 주변에 꼬여있다. [[파일:TombstoneFinal.webp]] 가장 어두운 던전에서 사망한 영웅. 6레벨 영웅의 것과 같지만, 고대 악에게 흡수 당했음을 상징하는 붉은 촉수가 비석을 휘감고 있다. [[파일:TombstoneFinalBlow.webp]] 최종전에서 고대의 던전에서 맞선 영웅. 어떤식으로든 최종전에서 사망한 영웅에겐 이 비석이 헌정된다. 고대 악을 쓰러트린 위업을 기려 꿈틀 거리는 촉수를 제압하는 검이 세겨져있으며, 다른 비석들과 달리 해골이나 검은 선 없이 온전히 금색으로 찬 광륜이 둘러져있다. 영웅이 흘린 피를 상징하는 붉은 보석도 없다. 또한, 비석 주변에 빛의 광명이 반짝인다. "네 조물주에게 오라"에 의해 희생된 영웅에게도 이 비석이 헌정되는데, 이것은 해당 영웅이 제물로 희생된 것임에도 흡수당하지 않았다는 암시. 즉, [[기적]]이다![* 작중 등장하는 종교인 "빛"과 그 신인 "빛"은 인간에 의해 창조된 종교이자 인간에 의해 창조된 신이지만,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징벌과 치유의 기적을 일으킨다. 작중 빛과 그 광명은 표현될 수 없는 공포에 맞서는 인간의 의지와 용기를 상징하며, 또한 결코 쓰러트릴 수 없는 악의조차도 꺾어내는 승리를 상징한다. 비록 그 승리가, 세계를 살점으로 덮지 못한다면 차라리 파괴해버리겠다는 고대의 악을 반복되는 시공간에 묶어, 선조에서 후손으로, 또 그 후손이 선조가되어 다른 후손으로 이어지는 굴레로 확정된 파멸을 지연시키는 것일 뿐인, 보잘 것 없는 승리더라도, 승리는 승리라는 것.] *6레벨은 5레벨에서 천 장식이 추가된다. *가장 어두운 던전에서 사망한 영웅은 빨간 촉수모양이 바닥에서 무덤까지 뻗어있다.[* 최종전에서 어떤식으로든 사망한 영웅은 황금빛 십자가 비석에 칼이 새겨져 있으며, 붉은 꽃다발이 놓여있다. 그런데.. '''흡수를 뜻하는 촉수가 없다.'''] *핏빛 궁정 DLC 적용 시 피를 마시지 못해 죽은 영웅은 십자가 대신 붉은 깃발이 장식된다. === 선조의 기억 (Ancestor's Memoirs) === ||<-2> {{{+1 '''{{{#e19b50 선조의 기억 (Ancestor's Memoirs)}}}''' }}} || || {{{#white NPC}}} || {{{#white 이미지}}} || || [[파일:642px-Statue.png|width=300px]] || [[파일:800px-Statue_progression.png|width=550px]] || 처음부터 열려 있는 마을 시설. 선조의 석상으로 동영상과 각 던전의 보스에 관한 선조의 대사, 수집한 일지를 볼 수 있다. 일부 마을 이벤트가 일어날 경우 마을에 남은 [[노상강도(다키스트 던전)|노상강도]]가 레벨 업하는 이벤트 시 노상 강도가 동상 옆을 서성거리거나 [[다키스트 던전/몬스터/안뜰마당#s-2.13|광신자]] 출현 이벤트 시 광신자가 마을 광장에 서있는 등 여러 마을 이벤트에 따라 변화가 생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PS VITA 버전에서 마지막 보스가 있는 가장 어두운 던전을 마쳤을 시 무덤 도굴꾼이 동상 위에 앉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분류:다키스트 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