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pearCretin-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다크 패밀리어'''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ファミリア'''|| || 영어판 명칭 ||<-4>'''Spear Creti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악마마족 || [[악마족]] || 500 || 500 || ||<-5>어둠 속을 헤매며 날카로운 창으로 심장을 후벼파서 죽여버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5>어둠 속을 방황하는 악마. 사냥감을 찾아내면, 손에 든 창으로 공격.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pearCretin-DT09-JP-DNPR-DT.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pearCretin-MRL-NA-C-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4>'''다크 패밀리어'''||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ファミリア'''|| || 영어판 명칭 ||<-4>'''Spear Cretin'''|| ||<-5> [[리버스(유희왕)|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속성|어둠]] || [[악마족]] || 500 || 500 || ||<-5>리버스 :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과 상대는 각각의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앞면 공격 표시 또는 뒷면 수비 표시로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리버스한 자신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서로의 묘지에서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리버스(유희왕)|리버스]] 효과 몬스터. 리버스 효과판 [[얕은 무덤]]. 자신만 몬스터 1장을 부활시키는게 가능했던 [[죽은 자의 소생]]과는 달리 이쪽은 상대방도 몬스터 1마리를 부활시키는 황당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리버스 몬스터지만 리버스시에는 딱히 효과가 발동하지 않으며, 리버스 후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유발효과]]가 강제 발동된다. 묘지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이며, 효과 발동시에 어떤 몬스터를 소생시킬지 선택한다. 따라서 묘지로 보내진 타이밍은 리버스 직후일 필요는 없으며, 리버스 후 필드에 남았을 경우에는 어떤 식으로든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발동한다. 이 때문에 리버스 후 필드에 있는 이 카드의 효과가 다른 카드의 효과 등으로 무효화 돼도 묘지로 보내지면 발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버스 된 앞면 표시의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 해도 별 의미는 없다. [[기간테크 파이터]] 같은 카드와는 달리 효과를 발동한 이 카드 자신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재정이 내려져 있다. 하지만 필드에 세트된 다크 패밀리어가 존재하고, 묘지에도 다크 패밀리어가 존재할 때라면 계속해서 서로를 소생시킬 수 있다. 필드의 다크 패밀리어가 리버스된 후 묘지로 보내졌을 때, 효과로 한 번 더 다른 다크 패밀리어를 세트하는 것으로 리버스 전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소환제한|소환제한-맹돌하는 몬스터]]와 [[사출]] 효과를 가진 카드가 있다면 이 [[무한루프]]를 이용해 승리할 수도 있다. 강제 효과라는 사정상 자신 필드와 묘지에 몬스터가 다크 패밀리어 1장씩밖에 없을 경우, 상대의 전체 공격을 실행하는 몬스터 사이에서 [[무한루프]]가 발생한다. 실제 상황이라면 전체 공격을 실행하는 쪽이 공격을 그만 둬야 루프가 멈춘다. 뒷면 수비 표시로 소생하는 관계로 리버스 효과를 지니고 있는 몬스터와 궁합이 좋다. 이 카드 본인도 리버스 몬스터이기 때문에 2장 이상 있다면 서로를 묘지에서 필드로 연달아 꺼내는 플레이도 이론상 가능하다. [[묘지기(유희왕)|묘지기]]나 [[포드(유희왕)|포드]] 계열 몬스터와의 상성도 눈여겨 볼 만한 점. 유사 효과를 가진 [[얕은 무덤]]과는 달리, '''상대나 자신 중 어느 묘지에 몬스터가 없더라도''' 효과 발동이 적용된다. [[얕은 무덤]]은 서로의 묘지에 몬스터가 없으면 발동할 수 없지만, 발동시에 체인으로 소생 대상이 제외되었을 경우에는 남은 1장만 소생시킨다. 이 카드의 효과 처리시에 체인으로 제외되었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는 데미지 스텝이라 [[로스트]] 같은 카드를 체인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코아키메일]] 몬스터의 효과대로 빛 또는 어둠 속성 몬스터의 소환이 차단되었을 경우, 아무리 뒷면 수비 표시 상태라도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뜬금없이 2023년 5월 30일에 제한1 판정[* 제한1 카드는 모든 종류의 제한1 카드 중에서 1장만 덱에 넣을 수 있다.]을 받고 카드 트레이더 목록에 추가되었다. 카드 출시 자체는 예고가 되어있었지만, 제한1 판정이 나올 거라곤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데다가, 왜 제재를 받은 건지 알 수 없어 많은 유저들이 영문을 몰라 했다. 아마 무한 루프 콤보가 문제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만이 있을 뿐이다. 무한 번뎀 콤보는 듀얼링크스에선 불가능하다. [[프리스티스 옴]] 같은 '1턴에 1번' 제약이 없는 무제한 사출 카드가 없기 때문. 2023년 6월에 나온 [[데몬(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s-5.1.2|다크 아레나]] 와 얽혀 무한루프가 되기 때문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folding [ 듀얼링크스에서의 텍스트 ] || 듀얼링크스에서의 텍스트 || ||리버스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양쪽 플레이어는 각각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이 카드 이외)을 선택하고, 앞면 공격 표시 또는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 한편, 특이하게 한글판 듀얼링크스에서의 텍스트는 이 카드 이외만을 소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 명문화되어 있다. 물론 OCG도 이런 재정이지만 텍스트에 써 있지는 않고 공식 DB나 마스터 듀얼에선 옛날 텍스트 그대로인데 듀링에서만 텍스트 정비가 되어 있는 이상한 케이스. 일어판이나 영문판은 딱히 반영되어 있지 않아 [[초월번역|더더욱 의아한 점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가디언(유희왕)#가디언 바오우|가디언 바오우]]의 부하로 등장. [[패왕(유희왕)|패왕]]의 자리를 떠난 [[유우키 쥬다이]]의 상황을 ~~[[왱알앵알]]거리며~~ 전해줬다. 이름부터가 [[사역마]]인 본인의 위치에 걸맞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작중에서는 해외 수출판 일러스트처럼 녹색 옷을 입은 모습으로 나온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마법의 지배자|Pharaoh's Servant]] || PS-3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DUELIST LEGACY Volume.1 || DL1-071 || [[노멀]] || 일본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ヴァイロン降臨!!-]] || DT09-JP006 || [[노멀]] || 일본 || || || [[마법의 지배자]] || SRL-K08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얕은 무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