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문학 교수]][[분류:1878년 출생]][[분류:1967년 사망]][[분류:도쿄대학 출신]] 高橋 亨[[분류:토카마치시 출신 인물]] 1878년 ~ 1967년 [목차] == 개요 == 일본의 한문학자, 조선학자. 1926년부터 1939년까지 [[경성제국대학]] 조선어조선문학과의 조선문학분야의 교수였다. == 생애 == 1878년 [[니가타 현|니이가타 현]] 나카우오누마군 카와지촌[* 현 [[토카마치시]].]에서 출생하였다.1902년 [[도쿄제국대학]] 한문학과를 졸업한 후, 1903년 [[대한제국|구한국]] 학부의 학정참여관이던 시데하라 타이라(幣原 坦)[* [[시데하라 기주로]] 전 내각총리대신의 형이다.]의 후임으로 관립중학교 교사직을 맡아 조선에 건너왔다. 1910년 이후엔 [[경기고등학교|경성고등보통학교]] 교유, 대구고등보통학교 교장, 경성전수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의 교수, ‘[[경성제국대학|조선제국대학]]창설위원회’ 간사를 거쳐, 경성제대 본과가 개교한 1926년에 조선어조선문학의 조선문학분야 교수로 부임했다. 여담으로, 동 시대에 조선어조선문학으로 부임한 교수는 다카하시를 포함하여 2명으로, 또다른 교수는 [[오구라 신페이]]였다. 다카하시 교수가 조선문학분야이면, 오구라 교수는 조선어학분야를 담당하였다. 경성제대 교수 퇴임 이후인 1940년엔 사립 [[동국대학교|혜화전문학교]]의 교장으로 있었고, 1945년엔 경성경학원제학 및 명륜연성소장으로 있었고, 패전 이후 1949년엔 후쿠오카상과대학(현 후쿠오카대학 상학부)의 교수로 있다가, 1950년부터 텐리대학 교수로서 1964년까지 재직한다. == 교수분야 == 그가 경성제대 교수 재직시절에 적은 강의노트를 보면 그가 무엇을 연구하고 가르쳤는지를 알 수 있다. 아래는 연구노트의 주제들이다. 괄호 안은 책의 수이다. 전 110책이라고 한다(조선사상학 66 + 조선문학 44). (참고논문: '다카하시 토오루[高橋 亨]의 경성제국대학 강의노트의 내용과 의의', 이윤석, 2016.) * 조선 사상 및 신앙사 (6) (3~8책. 제1책과 제2책은 없음.) * 조선유학사 (28) * 조선사상사 (13) * [[이황|이퇴계]]와 [[이이(조선)|이율곡]] (4) * 지나(중국)조선유학 (3) (3~5책. 제1책과 제2책은 없음.) * 동양도덕 (1) * 이학파 관련 (11) * 조선 상대 문학 (14) * 조선 근대 문학 (13) * 조선 민요 (14) * 조선문학개설 (2) (2~3책. 제1책 없음.) * 조선 문학 연습 참고 (1) 즉, 다카하시의 자세한 연구분야는 조선문학과 조선사상학인 것이다. 참고로, 2014년 현재 이들 강의노트는 [[사이타마대학]]의 권순철 교수가 보관하고 있다. == 기타 == 그가 위와 같은 강의를 할 수 있었던 데는 그의 조선총독부 소속 시절에 했던 '종교조사'와 '도서조사'에서 얻은 지식들이 한 몫 했다고 본다.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한글마춤법통일안) 제정 이전의 정서법(맞춤법)이던 '언문철자법' 제정에, 오구라 신페이와 함께 기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