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바로타(BRT)|[[파일:바로타.png|width=60]]]] || ||<-6> {{{#fff {{{+1 '''다정동 정류장'''}}}[br]{{{-1 다정洞 | Dajeong-dong}}}}}} || ||<-3> 52018(세종)[br]052018(대전)[br]2254(청주) ||<-3> 51015(세종)[br]051015(대전)[br]2238(청주) || ||<-2> {{{#!html
외선순환}}}[[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 정류장|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br]← 0.8 ㎞ ||<-2> [[세종 버스 B0|{{{#!html
B0}}}]][[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2> {{{#!html
내선순환}}} [[정부세종청사남측 정류장|정부세종청사남측]][br]0.8 ㎞ → || ||<-2> [[대전역#s-9.2|{{{#!html
대전역 방면}}}]][[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 정류장|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br]← 0.8 ㎞ ||<-2> [[대전 버스 B1|{{{#!html
B1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2> [[오송역#s-6.1|{{{#!html
오송역 방면}}}]] [[정부세종청사남측 정류장|정부세종청사남측]][br]0.8 ㎞ → || ||<-2> [[반석역#s-4.1|{{{#!html
반석역 방면}}}]][[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 정류장|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br]← 0.8 ㎞ ||<-2> [[세종 버스 B2|{{{#!html
B2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2> [[오송역#s-6.1|{{{#!html
오송역 방면}}}]] [[정부세종청사남측 정류장|정부세종청사남측]][br]0.8 ㎞ → || ||<-2>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html
세종터미널 방면}}}]][[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 정류장|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br]← 0.8 ㎞ ||<-2> [[청주 버스 B3|{{{#!html
B3
}}}]][[파일:청주시 CI_White.svg|width=20]] ||<-2> [[청주국제공항#s-7.3|{{{#!html
청주공항 방면}}}]] [[정부세종청사남측 정류장|정부세종청사남측]][br]0.8 ㎞ → || ||<-6>[include(틀:지도, 장소=36.494200 127.256364, 너비=100%, 높이=100%)]|| ||<-6> {{{#fff '''개업일'''}}} || ||<-2> [[세종 버스 B0|{{{#ffffff B0}}}]] ||<-4> 2018년 2월 3일 || ||<-2> [[대전 버스 B1|{{{#ffffff B1}}}]] ||<-4> 2016년 7월 20일 || ||<-2> [[세종 버스 B2|{{{#ffffff B2}}}]] ||<-4> 2013년 4월 22일 || ||<-2> [[청주 버스 B3|{{{#ffffff B3}}}]] ||<-4> 2012년 6월 1일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ejong_BRT_Seongnam_High_School_Station.jpg|width=300]] [br] 2015년 5월의 정류장 모습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ejong_BRT_Seongnam_High_School_Station.jpg|크게보기]] [목차]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한누리대로]]상에 위치한 [[세종특별자치시 BRT]]의 정류장. == 정류장 정보 == [[새롬동·나성동 정류장|새롬동·나성동]] 방면으로 전용 지하차도를 통해 노을10로를 통과하며 [[정부세종청사남측 정류장|정부세종청사남측]] 방면으로 BRT 전용 고가도로를 통해 가름로를 통과한다. 1형 정류장(도로구간 내 정류장)으로, 과거에는 두 정류장 사이에 3현시 교차로를 두고 좌회전 차량을 통과시킬 계획이었으나(2형 정류장), BRT 통행 기능개선을 위해 2018년 10월 9차 교통영향평가에서 주변 정류장과 같은 우회전 전용으로 변경되었다. 나성동 방면 정류장은 지방하천인 제천을 건너는 교량 위에 정류장이 위치해 있다.[* 이때문에 버스, 특히 B0 굴절차량 접근 및 통과시에는 정류장이 흔들린다.] 2018년 11월 경 노선 개편과 함께 BIS상 정류장 이름이 [[세종대성고등학교|성남고등학교]]에서 다정동으로 바뀌었다. 2020년 4월 말 임시정류장을 설치했고, 7월 초에 PSD등을 포함한 신교통형 정류장으로 재공사하여 완공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BRT 버스운행 관련 협조요청, 2019-12-27, [[한국토지주택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 세종특별본부]]] == 정류장 주변 정보 == 2-1 생활권과 1-5 생활권 ([[정부세종청사]])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2018년부터 다정동의 아파트 단지와 주변 상가들이 대거 입주하면서 수요가 크게 늘었다. 인근에 [[세종대성고등학교]], 어진중학교, 세종특별자치시 도시통합정보센터가 위치해 있다. 이곳 근처에서 방축천과 제천이 합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들어간다. 제천의 자전거 도로를 이용해 1생활권으로 버스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 연계 교통 == === 시내버스 === ||
[[파일:버스정류장2.pn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239696|{{{#000,#fff '''다정동(대성고등학교)'''}}}]] {{{-3 (세종 51016)}}}[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C; font-size: .9em" [[세종 버스 430|{{{#fff 43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C; font-size: .9em" [[세종 버스 601|{{{#fff 60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C; font-size: .9em" [[세종 버스 991|{{{#fff 99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1598B; font-size: .9em" [[세종 버스 1000|{{{#fff 1000}}}]]}}} || ||
[[파일:버스정류장2.png|height=35&align=left]][[https://map.kakao.com/?busStopId=BS239723|{{{#000,#fff '''다정동(대성고등학교)'''}}}]] {{{-3 (세종 51017)}}}[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C; font-size: .9em" [[세종 버스 430|{{{#fff 43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C; font-size: .9em" [[세종 버스 601|{{{#fff 60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C; font-size: .9em" [[세종 버스 991|{{{#fff 99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1598B; font-size: .9em" [[세종 버스 1000|{{{#fff 1000}}}]]}}} || [[분류:세종특별자치시 B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