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쏘의 항공기)]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615104.jpg]] ▲ [[1994년]] 4월 14일에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생산 2호기 F-BTTB.[* 오늘날에는 독일의 슈파이어 기술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목차] == 개요 == '''Dassault Mercure''' [[1971년]]에 [[다쏘]]에서 출시한 쌍발 [[제트기]]. 당시 잘나가던 중단거리 항공기였던 [[보잉 737 오리지널]]의 라이벌격으로 제작되었지만, 1971년부터 1975년까지 겨우 '''12대'''밖에 생산되지 못한 데다가 운용한 항공사도 단 '''한 곳'''밖에 없었기 때문에 항공기 역사에서 손꼽히는 비운의 기종이 되었다. 이름은 다쏘의 창립자 마르셀 다소(Marcel Dassault)가 [[메르쿠리우스]]([[머큐리]])의 프랑스어명 '메르퀴르'(Mercure)를 따서 붙인 것이다. == 역사 == === 개발 === [[1967년]]에 다쏘는 [[프랑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그 동안 [[우라강]], [[미라주]] 등 전투기 개발로 쌓은 노하우를 대거 동원하여 제트 [[여객기]] 시장도 먹어보려는 심산으로 140석 정도의 수송능력에 737 정도의 항속거리를 가지는 민항기의 개발을 발표한다. 다쏘는 1971년 가치로만 총 7500만 달러[* 이는 2023년 환율로는 '''약 5.5억 달러(약 6,600억 원)'''다.] 이상을 들여 737 오리지널을 기반으로 하되, 주익의 크기를 키우고 737 오리지널보다 속도도 키웠으며, 동체 길이(34.84m)와 폭[* 동체 직경을 5cm 정도 넓혔다고 한다.]도 737 오리지널보다 넓혀 737 오리지널보다 17% 많은 140명 정도(올 이코노미로는 162명)를 태울 수 있게 하여 단거리 시장을 타겟으로 한 머큐리를 구상하여 [[1969년]] 6월에 열린 파리 에어쇼에서 이 기체의 실물 크기 모형을 처음으로 공개하게 된다.[* 참고로 이 에어쇼에서는 [[보잉 747]]과 [[콩코드 여객기]], [[Tu-144]] 등도 처음으로 민간에 공개되었다.] 이후 머큐리의 첫 시제기는 [[1971년]] 4월 4일에 완성된 후 롤아웃되었고, 이 기체는 동년 5월 28일에 초도비행을 했다. === 출시와 상업적 대참패 === 다쏘는 당시 [[쉬드 아비아시옹 카라벨]]과 [[DC-9]]의 대안으로 머큐리를 들고 여러 항공사들에게 구매를 요청했다. 그런데 그 수많은 항공사들 중 실제로 미끼를 문 곳은 [[1972년]] 1월 30일에 머큐리 10대를 주문한 에어 인터[* Air Inter, 1954년부터 1997년까지 존재한 프랑스 국내선 전담 항공사. 1997년 4월 1일에 [[에어 프랑스]]에 흡수되었다.] 단 한 곳 뿐이었다. 여하튼 에어 인터는 [[1974년]] 6월 4일에 머큐리를 운항하기 시작했다.[* 참고로 에어 인터의 머큐리에 의해 1985년에 성사된 [[파리(프랑스)|파리]]-[[님(프랑스)|님]] 비행은 '객실 승무원은 물론 조종사들까지 모두 여자인 최초의 민항기'라는 이색적인 기록도 세웠다고 한다.] 사실 머큐리가 거의 팔리지 않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먼저 당시 [[미국 달러]]가 평가 절하되어 항공사들이 737을 상대적으로 싸게 사올 수 있었으며, 1973년에 오일 쇼크가 와서 불경기까지 온 데다가, 결정적으로 머큐리의 항속거리가 겨우 '''1700~2100km'''밖에 되지 않아 겨우 서유럽 내부에서나 굴릴 수 있는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보잉 737-100의 항속거리가 2850km 정도였고, 하다못해 당시 시점에서도 30년도 넘은 기체였던 피스톤기인 [[DC-3]]의 항속거리마저 2540km 정도였다.] 다만 이건 다쏘가 원래 전투기 제작사였기 때문에 상업용 항공기는 군용기처럼 매번 착륙할 때마다 항상 연료를 보급해야 한다고 착각했던 것도 있었고, 머큐리가 더 많은 승객을 실어 나르기 위해 의도적으로 연료 탑재량을 줄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거라지만...[* 심지어 엔진을 JT8D로 교체하기 전 원래 항속거리는 최대 중량으로는 '''756km''', 연료를 다 채워도 1000km에 불과했다고 한다.] 다만 머큐리에 장착된 [[JT8D|JT8D-15]] 엔진은 소음이 심하고 연비가 낮았으며, 뒷좌석이 수평 회전 운동의 영향을 지나치게 많이 받아 탑승감이 불편했다고 하는 등 문제점이 완전히 없지는 않았다고 한다. 결국 '1979년까지 300대를 판매하는 것을 시작으로 1980년대까지 총 1500대 판매하기'를 목표로 삼아 다쏘가 4개의 공장까지 만들어갈 정도로 심혈을 기울이며 만들어갔던 머큐리는 [[에어 프랑스]]도 1973년 중순에 주문을 취소하면서 목표치의 '''1% 미만'''인 '''12대'''[* 시제기 2대+양산형 10대]만 생산되었으며, 1975년 12월 15일에 마지막 기체가 완성된 것을 끝으로 머큐리의 생산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생산된 모든 머큐리들은 시제기 하나(1번째로 만들어진 기체)를 제외하고는 다 에어 인터가 여객용으로 썼다고 한다. 시제기 2호는 머큐리에 만족한 에어 인터가 1983년 7월 11일에 주문된 후 여객용으로 개조되어 1985년 3월 8일에 인도받았다고 한다.] 이렇게 다쏘 머큐리는 '제트 여객기 역사상 가장 상업적으로 실패한 기체'라는 엄청나게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사실 다쏘 머큐리보다 더 상업적으로 실패한 제트 여객기 기종은 고작 10대만 생산된 [[DC-9|DC-9-20]]과 5대만 생산된 [[보잉 707|보잉 707-220]], 단 '''1대'''만 생산된 [[DH-106 코멧|DH-106 코멧 3]]도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한 기체의 세부 기종이라 다쏘 머큐리와는 다르게 봐야 한다.] === 최후 === 다쏘 머큐리의 비극적인 스토리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사실 다쏘는 이후 [[에어 프랑스]]를 런치 커스터머로 하여 엔진을 [[CFM56]]으로 바꾼 후 항속거리와 동체를 연장하여 190명을 태울 수 있는 머큐리 200과 항속거리를 2,200Km로 연장하고 140명을 태울 수 있는 머큐어 200C 개발도 계획었했다. 그런데 프로젝트에 넣을 돈이 없어서 프랑스 정부자금도 대출받고 [[맥도넬 더글러스]], [[록히드 마틴]] 등 [[미국]] [[항공사]]에게 라이선스 생산 떡밥까지 던지면서 개발을 추진하였으나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놀라울만큼 아무도 관심을 주지 않았고]], 설상가상으로 1974년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까지 끊기게 되면서 시제기조차 만들어지지 못한 채 프로젝트 자체가 백지화되어 버렸다. 그리고 1995년 4월 29일 에어 인터 소속의 머큐리 2대가 퇴역한 것을 끝으로, 더 이상 하늘을 나는 머큐리를 보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머큐리의 비극적인 실패가 헛된 것은 전혀 아니었고, 오히려 '''[[에어버스|큰 결실]]을 맞이하게 되었다.''' 머큐리의 실패 이후에 프랑스가 유럽 각국과 함께 설립한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는 후대에 머큐리를 기반으로 협동체 여객기인 [[A320 패밀리]], [[A320neo 패밀리]]를 개발하게 되는데, 이들이 737의 라이벌이라 불리게 될 정도로 대성공을 거두게 되었기 때문이다.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CV-880]]과는 완전히 정반대의 운명을 겪은 셈이다[* 참고로 CV-880은 항속거리 문제를 제외하고 봐도 이곳저곳 문제가 수두룩했다. 항목 참고.]. 이 모델은 의외로 여기저기에 많이 보존되어 있다. [[파리(프랑스)|파리]] 인근 [[파리 르부르제 공항]]의 항공우주박물관에도 하나 전시되어 있다고. 외에도 [[에어라이너즈]]에서 찾으면 [[파리 오를리 공항|오를리]], 리옹 같은 곳에서 찍은 버려진 머큐리 사진들이 많이 있다. 참고로 다쏘 머큐리는 최초의 대규모 유럽 국가들이 협력하며 진행된 민간 항공 프로그램이었는데, [[이탈리아]], [[벨기에]], [[스페인]], [[스위스]], 심지어 [[캐나다]]도 머큐리의 개발을 위해 다쏘와 협업했다고 한다. 거기에 98%에 달하는 서비스 안정성을 보여준 것과 21년간 운항하면서 사고를 겪은 머큐리가 단 한 대도 없었다는 것을 보면, 머큐리의 안정성은 확실히 보장된 셈이다. == 매체에서 == [[페이스북]]의 항공게임인 에어라인 매니저에서는 이런 역사에도 불구하고 초반 단거리 [[짤짤이]]용으로 많이 쓰인다. 항속거리와 연비가 후달리지만 수송량이 동급 어느 기체보다도 우수하고 [[가성비]]가 훌륭하기 때문. 브루제 393T도 쓰이긴 하지만 프롭기에 속도가 느려서 빠른 회전으로 돈을 모아야 하는 초반 러시엔 머큐리가 최고다. 사실 국내에 이 기종이 알려지게 된 계기도 에어라인 매니저 덕분이었다. == 참고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Dassault_Mercure|(영문 위키백과) Dassault Mercure]] [[분류:다쏘]][[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