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백제 국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fbe673 '''다루왕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백제의 왕자)] ---- [include(틀:역대 백제 태자)]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백제 제2대 어라하[br]{{{+1 다루왕 | 多婁王}}}'''}}} || ||<|2> '''출생[br]{{{-3 (음력)}}}''' ||[[10년]] [[2월]] 이전[* 생애 문단 참조] || ||[[백제]] [[위례성]][br](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일대]]) || ||<|2> '''사망[br]{{{-3 (음력)}}}''' ||[[77년]] [[9월]] (향년 67세 이상) || ||[[백제]] [[위례성]][br](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일대]]) || || '''능묘''' ||미상 || ||<|4>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백제의 태자}}}''' || ||[[10년]] [[2월]] ~ [[28년]] [[2월]] {{{-2 (18년)}}} || ||'''{{{#fbe673 제2대 어라하}}}''' || ||[[28년]] [[2월]] ~ [[77년]] [[9월]] {{{-2 (49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부여(扶餘) / 해(解)(?) || || '''휘''' ||다루(多婁) / 덕좌(德佐)(?)[* 《신찬성씨록》 <백제> 단락에 [[동명성왕]]의 손자로 등장하는 사람.] || || '''부왕''' ||[[온조왕]] || || '''왕후''' ||[[기루왕|기루]]의 모후 || || '''태자''' ||[[기루왕|기루]] || || '''왕호''' ||'''다루왕(多婁王)''' ||}}}}}}}}} || [목차] [clearfix] == 개요 == >'''다루왕은 온조왕의 맏아들이다. 그릇이 크고 넓으니 위망이 있었다.''' >多婁王 溫祚王之元子 器宇寬厚 有威望. >---- >《삼국사기》의 다루왕 소개. [[백제]]의 제2대 군주이자 [[건길지]]. 제1대 [[온조왕]]의 장남.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다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 생애 == [[온조왕]]의 장남으로 [[온조왕]]의 서기 10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서기 28년에 온조왕이 세상을 떠나자 군주로 즉위했다. 온조왕과 마찬가지로 [[말갈]][* 말갈 문서에 있듯 [[만주]] 쪽의 말갈이 아니라 2번 단락의 [[가짜말갈]], 즉 [[동예]] 등 [[예맥]]계 집단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과 미친듯이 싸우면서도 계속 내정을 살피려 한 군주다. 서기 29년(다루왕 2년) 시조 동명묘에 참배했고[* [[고구려]] [[동명성왕]]일 수도 있지만 [[부여]] [[동명왕]]으로 보기도 한다.] 말갈과는 30년 10월에 동부의 장수 [[흘우]]가 마수산 서쪽, 31년 8월에 고목성의 [[곤우]]가 말갈을 상대로 승리했으나 34년 마수성을 말갈에 빼앗기는 등 일진일퇴가 이어졌다. 55년에도 말갈이 쳐들어왔고 다루왕은 대비하기 위해 우곡성을 쌓았다. 다루왕 시대는 [[자연재해]]가 심해 [[곡식]]을 아끼기 위해 38년 [[술]] 빚는 행위를 금지하고[* 이는 [[한반도]] 역사상 최초로 기록이 남아있는 [[금주]]령 기록이다.] 가난한 자에게 2섬씩 곡식을 나눠주는 등 민심 달래기에 힘썼다. 55년에는 심한 [[가뭄]]이 들자 [[사형]]수까지 모두 용서해 주기도 했다. 다루왕은 《삼국사기》 기록상 백제의 군주들 중 최초로 [[신라]]와 칼을 맞댄 군주다. 다루왕 재위 후반부 39년인 63년 음력 10월에 지금의 [[청주시|청주]]인 낭자곡성까지 [[영토]]를 확장하고 신라에 처음으로 [[사신(외교)|사신]]을 보내 만나려고 했지만 [[탈해 이사금]]이 무시해버린걸 계기로 [[악연]]이 싹트게 된다. 64년 음력 8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와산성을 공격하여 이겼으며 64년 겨울 음력 10월에 또 신라의 구양성을 공격하였으나 신라의 탈해 이사금이 [[기병]] 2,000명을 보내는 바람에 졌다. 66년 다시 와산성을 빼앗고 수비병 200명을 주둔시켰으나 신라에게 곧 다시 빼앗겼다. 70년에 다시금 신라를 침공하였으나 기록이 누락돼서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74년에는 신라의 변방을 공격했으나 탈해 이사금이 군사를 보내는 바람에 졌다. 75년 음력 10월에 또 신라의 와산성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그러나 76년 음력 9월에 신라가 군사를 보내는 바람에 와산성을 다시 빼앗겼다. 하지만 정말로 다루왕 시대에 백제가 신라와 [[전쟁]]을 벌일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두 국가 모두 서로 마주할 수 있는 [[소백산맥]] 일대까지 아직 진출하지 못하였기에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다른 [[역사서]]와의 기록 충돌도 있는데 또 다른 사서 《[[삼국유사]]》 <왕력>에서는 훨씬 이후 시대인 [[4세기]] 신라 왕 걸해 이질금([[흘해 이사금]]) 때에 백제와 신라가 처음 군사적으로 [[충돌]]했다고 쓰고 있다.[* 《삼국유사》 <왕력>편 "第十六乞解尼叱今: 昔氏. 父于老音角干, 即奈解王第二子也. 庚午□立, 治十六年. '''是王代百済兵始來侵.'''" 제16대 걸해 이질금은 석씨이다. 경오년에 즉위하여 16년을 다스렸다. 이 군주대에 백제의 병사가 처음으로 침공해왔다.] 그래서 이 기록들을 해명하기 위한 수많은 [[학설]]이 쏟아졌는데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신라가 속한 [[진한]]과 백제가 속한 [[마한]] 사이의 충돌이다. 또는 마한의 소국과 진한의 소국이 싸운 기록인데 [[삼한]]의 기록이 전부 누락되고 백제와 신라로만 기록됐다. * 소백산맥 일대의 철광을 두고 백제와 훗날 신라에 합류하는 [[김알지|김씨 족단]]이 전쟁을 벌인 것이다. * 신라 쪽으로 남하하던 [[진국]]계와 백제 간의 전쟁이다(천관우). * 후대에 있었던 신라와 백제의 전쟁을 끌어올린 기록이다. 선석열(1994). <삼국사기 신라본기 상대 백제관계기사의 검토와 그 기년>. 《한국고대사연구》, 7, 303-350p에서는 다루왕 시기의 신라와의 [[무력]] 충돌 기록이 [[위덕왕]] 대의 사실을 과거로 옮겨 적은 것이라고 보고 있다. * 그냥 헛소리다.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서는 마한 54개국을 거느리는 마한과 진한 소국 하나인 신라가 어떻게 전쟁을 하냐면서 전쟁을 부인했다. * 이 때의 전쟁은 일시적 무력 충돌에 가까운 것이며 후대의 [[정복]] 전쟁과는 다르다([[임용한]], 《한국 고대 전쟁사》). * 신라 관련 사서에만 있던 기록을 <백제본기>에 옮겨 적은 것이다. 백제보다는 신라의 [[병력]] 상황 등이 더 자세히 묘사되며 신라 측의 사람 [[이름]]들만 주구장창 등장하기 때문이다. == 여담 == 부여왕 해부루(비류 시조설에 따르면 비류의 아버지인 우태가 해부루의 서손이 된다), [[고구려]]의 제2대 왕인 [[유리왕]](해유류), 고구려의 제3대 왕인 [[대무신왕]](해주류) 등 婁(별이름 루), 留(머무를 류) 등을 [[왕명]]으로 쓰는 왕들이 모두 해씨였기 때문에(비류는 流(흐를 류)자를 쓰지만 역시 해씨이다.) 婁를 쓰는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을 모두 마찬가지로 해씨로 보고[* 해씨는 고구려 국성인 고씨와 동일시되고, [[부여]]계 성씨로 추정되며 한성백제 때부터 활동한 [[귀족]]으로 백제 [[개국공신]] [[해루]]도 있다. 후에 해씨는 [[대성팔족]] 중 하나가 된다.] [[해부루]] → [[우태]] → [[비류]]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으로 이어지는 소위 해씨의 비류왕계 왕가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다루왕 및 '루'자 돌림 왕들은 온조왕계와는 다른 왕통이 되며 후에 초고왕이 즉위함으로써 비류왕계 왕가가 물러나고 부여씨의 온조-초고왕계 왕가의 시대가 열렸다고 본다.[* 노중국. 1988.《백제정치사연구》] 게다가 이후 고이왕이 집권한 뒤 초고왕계와 고이왕계가 [[권력]] 투쟁을 벌이다 근초고왕 대부터 초고왕계로 일원화되는데 고이왕 시기 우씨(우태를 통해 연관된다) 왕족의 대거 출현을 근거로 고이왕계를 비류왕계를 이은 우씨의 비류-고이왕계 왕가로 해석[* 천관우. 1976.《한국의 국가형성》, 노중국. 1988.《백제정치사연구》]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초기 백제를 비류왕계 - 초고왕계, 초고왕계 - 고이왕계의 [[권력]] 다툼으로 볼 수도 있을 듯하다. == 《삼국사기》 기록 == [include(틀:삼국사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71&cid=49615&categoryId=49615&expCategoryId=49615|《삼국사기》 <다루왕 본기]]>''' 一年春二月 다루왕이 즉위하다 二年春一月 동명왕의 사당에 배알하다 二年春二月 천지신명에 제사지내다 三年冬十月 흘우가 말갈과 싸워 대승을 거두다 四年秋八月 곤우가 말갈과 싸워 크게 이기다 四年秋九月 횡악 아래에서 사슴을 사냥하다 六年春一月 기루를 태자로 삼고 죄수를 사면하다 六年春二月 주군에 명하여 쌀농사를 짓도록 하다 七年春二月 흘우를 우보로 임명하다 七年夏四月 동방에 붉은 기운이 나타나다 七年秋九月 말갈이 마수성을 침입하다 七年冬十月 말갈이 병산책을 습격하다 十年冬十月 흘우와 진회를 좌보와 우보로 임명하다 十年冬十一月 지진이 일어나 우레와 같은 소리가 나다 十一年 술 빚는 것을 금하다 十一年冬十月 백성을 위무하고 곡식을 나눠주다 二十一年春二月 왕궁의 홰나무가 저절로 말라죽다 二十一年春三月 좌보 흘우가 사망하다 二十八年 가뭄이 들어 죄수를 사면하다 二十八年秋八月 말갈이 북쪽 변경을 침입하다 二十九年春二月 우곡성을 쌓고 말갈을 방어하다 三十六年冬十月 사신을 보내 신라 왕을 만나기를 청하다 三十七年 신라의 와산성과 구양성을 공격하다 三十九年 와산성을 공격하여 빼앗다 四十三年 군사를 보내 신라를 공격하다 四十六年夏五月 일식이 일어나다 四十七年秋八月 장수를 보내 신라를 공격하다 四十八年冬十月 와산성을 함락시키다 四十九年秋九月 와산성을 신라가 회복하다 五十年秋九月 다루왕이 죽다 신라와 말갈의 [[무한]] 반복. 참고로 36년차부터는 전부 신라측 기록을 끌어다 채운 것이기 때문에 백제의 단독 기록은 29년차에서 끝나는 것이나 다름없고 11년차~21년차 기록은 전부 [[말소]]되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백제 왕실)] [[분류:77년 사망]][[분류:백제 국왕]][[분류:송파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