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함선)]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함선)] [목차] [[파일:Chinese_cruiser_NING-HAI_in_1932.jpg]] 1번함 닝하이 [[파일:Chinese_cruiser_PING-HAI_in_1936.jpg]] 2번함 핑하이 == 개요 == 1931년에 [[중화민국]]이 [[일본 제국]]의 협력을 얻어 건조한 [[경순양함]]이다. 닝하이는 [[중국]] [[저장성]]의 지명 닝하이(寧海)[* 한국어 독음:영해.]에서 따왔다. [[장제스]]는 군벌들을 상대하면서 육군과 공군에 대한 전력 증강에 박차를 가했지만 해군력에 대한 투자는 미흡했다. 해군부장이었던 [[천사오콴]]은 다수의 전함과 항공모함들을 비롯한 대양해군을 육성해야한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중국의 사정상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었고(중일전 발발 시점에서 독일식 정예사단에게 포병대대도 못 붙여주고 있었다)결국 현대적 순양함부터 취득하기로 결정한다. 닝하이급의 1번함 닝하이는 아예 1931년 일본 하리마 조선소에서 기공, 1932년 취역한 함선인데, 중국 해군은 원래 함선을 서방 국가에 주문하려 했으나 이들은 모두 건조를 거절했고 일본도 [[만주사변]] 직후라 배를 안 만들어주려 했지만 [[이누카이 츠요시]]와 장제스의 친분에 따라 결국 돈을 왕창 받고 만들어줬다 한다. 2번함 핑하이는 닝하이를 역설계하는 방식을 통해서 중국 기술력으로 건조했다. 닝하이는 [[유바리 경순양함|유바리]]의 집약구조를 본땄으며, 덕분에 화력은 배수량이 비슷한 다른 배들보다 강했다. 닝하이는 배수량이 2,600톤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수상기와 훈련용 어뢰관 등을 갖추었다. 이러한 중무장은 안정성 감소를 일으켰다. 화력 만큼은 일본의 경순양함과 동등 이상이었지만 막상 장갑은 함교에 설치된 3인치 장갑을 제외하면 빈약한 수준이었다. 애초 일본의 경순양함보다도 작은 체급에 화력을 우겨넣다보니 장갑이 희생될 수 밖에 없었다. 핑하이는 닝하이와는 다르게 여러면에서 구조가 변경되었는데, 수상기가 제거되었고 대공포를 반으로 줄였으며 함교 설계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변형 때문에 핑하이의 속도는 21노트로 떨어졌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대만 해군|중화민국 해군]] 최초의 현대식 경순양함이라는 점에서 장제스의 기대를 온 몸에 받았으며 당시 난징 정부의 선전용 포스터에 당당하게 등장할 정도였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두 척 다 석탄 연료에 왕복기관을 쓰고 있었다. 중화민국의 암울한 사정상 고오급 기술인 석유기관은 무리였던지라. 2차대전기 타국의 석탄선은 (딱히 빠를 필요도 없고 석유도 부족했던) 독일의 소해함, (애당초 군함이라 하기도 뭐한) 영국의 트리급 대잠어선 수준인데 중국만 홀로 석탄 순양함을 굴렸다는 점에 주목하자. 두 함선 모두 [[중일전쟁]] 당시 [[상하이]] [[장강|양쯔강]] 하구에서 벌어진 [[장인 전투]]에서 [[일본군 해군]] 항공대의 폭격으로 침몰했다. 이 함선은 [[왕징웨이 정권]]이 인양했으나 일본 제국이 두 함선을 1938년에 [[사세보]]로 끌고 가서는 복구하고 각각 이오시마(五百島), 야소시마(八十島)라는 이름을 붙여 순양함으로 사용했다. 1944년 9월에 이오시마는 일본 [[시즈오카현]] 오마에사키 앞바다에서 [[미군]][[가토급 잠수함]] 샤드의 공격으로 침몰당했고, 1944년 11월에 야소시마는 [[필리핀]] [[루손 섬]] 앞바다에서 [[미군]]의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랭글리에서 출격한 [[TBF(M) 어벤저]]의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 == 상세 == === 1번함 닝하이 === [[파일:chinese_light_cruiser_ning_hai_1932_by_darthpandanl-dc72nrp.png]] |||| 닝하이(寧海) || || 건조 ||[[IHI|하리마 중공업]]|| || 진수 ||1931년 10월 10일|| || 취역 ||1932년 9월 1일|| || 1차침몰 ||1937년 9월 23일|| || 인양 ||1938년 5월 4일 || || 2차침몰 ||1944년 9월 17일 || || 제적 ||1944년 11월 10일 || || 승무원 ||361명|| || 전장 ||106.7m|| || 전폭 ||11.9m|| || [[흘수선]] ||4.0m|| || [[배수량]] ||2,526t|| || 출력 ||10,579 마력|| || 추진기 ||석탄 / 석유 보일러 4 개 || || 엔진 ||3축 왕복 엔진 || || 최대속도 ||23.2 노트|| || 기본 무장 ||○ 140mm 연장포 3문[br]○ 533mm 어뢰발사관 4문[br]○ 80mm 단장 고각포 6문[br]○ 비커스 QF 2파운드 AA포[br]○ 기관총 10문 || || 함재기 || 아이치 AB-3[* 중국의 요구에 따라 일본이 특별제작한 수상정찰기이다.] 수상정찰기 1기 || === 2번함 핑하이 === [[파일:chinese_light_cruiser_ning_hai_1937_by_darthpandanl-dc6lvhb.png]] |||| 핑하이(平海) || || 건조 ||상하이 강남조선소|| || 진수 ||1933년 10월 10일|| || 취역 ||1936년 6월 18일|| || 1차침몰 ||1937년 9월 23일|| || 인양 ||1938년 ?월 ?일 || || 2차침몰 ||1944년 11월 25일 || || 승무원 ||361명|| || 전장 ||106.7m|| || 전폭 ||11.9m|| || [[흘수선]] ||4.0m|| || [[배수량]] ||2,526t|| || 출력 ||7,488 마력|| || 추진기 ||석탄 보일러 4개 석유 보일러 1개 || || 엔진 ||2축 왕복 엔진 || || 최대속도 ||21 노트|| || 기본 무장 ||○ 140mm 연장포 3문[br]○ 533mm 어뢰발사관 4문[br]○76mm AA 기관포 3문[br]○ 57mm AA 기관포 4문[br]○ 기관총 4문||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중국의 모바일 게임 [[전함소녀]]에서 1번함 닝하이, 2번함 핑하이 모두 등장한다. [[닝하이(전함소녀)]], [[핑하이(전함소녀)]] 참조. * 중국의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에서 1번함 닝하이, 2번함 핑하이 모두 등장한다. [[닝하이(벽람항로)]], [[핑하이(벽람항로)]] 참조. * 중국의 모바일 게임 [[어비스 호라이즌]]에서 1번함 닝하이, 2번함 핑하이 모두 등장한다. * 대전략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4]]에서 [[Hearts of Iron IV/국가/고유 중점 국가#s-1.4.1|중국]]에게 기본으로 주어지는 함정 중 하나로 등장한다. 성능은 별로 좋지 않지만 해군 발전이 더딘 중국 입장에선 거의 유일한 원양 항해 가능 함정이라 일본으로 상륙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나머지 함정들은 고증대로 구식 함정들이라 원양 항해가 불가능하다.][[https://youtu.be/b9vXzxGDr0Y|예시]] [[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순양함]][[분류:193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