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카트라이더의 6번째 엔진, rd1=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엔진 등급)]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nissan-sr20de.jpg|width=100%]]}}} || || 2.0L SR20DE 엔진 || [[닛산]]에서 CA 엔진의 후속으로 개발된 직렬 4기통 엔진. 이 엔진이 올라간 대표적인 차종으로 [[닛산 실비아]]와 [[르노삼성 SM5]]가 있다. 주로 소형에서 중형차까지 두루두루 썼다. 1989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된 엔진으로써, 후속은 QG 엔진과 [[닛산 QR 엔진|QR 엔진]]이다. == 상세 == * 블록 구조 : 알루미늄 합금, 클로즈드 데크 * 실린더 스페이싱 (mm) : 97 * 밸브트레인 : 체인 구동 DOHC 16밸브 * 엔진제어시스템[* 기화기 사양 제외] : 히타치 혹은 지멘스 * 점화 계통 : 배전기 → [[점화 플러그|DLI]] ||<-9> ''' 제원''' || || 바리에이션 || SR16VE || SR18Di || SR18DE || SR20Di || SR20DE || SR20DET || SR20VE || SR20VET || || 엔진형식 ||<-8> I4 DOHC || || 배기량 || 1,596cc ||<-2> 1,838cc ||<-5> 1,998cc || || 보어×스트로크 || 86.0mm×68.7mm ||<-2> 82.5mm×86.0mm ||<-5> 86.0mm×86.0mm || || 압축비 || || || || || 9.5:1 || || || || || 출력 (PS/rpm) || 175/7,800[br]200/7,800 (N1) || 110/6,000 || 125/6,000[br]132/6,200[br]140/6,000 || 122 || 130~160/6,400[br]143/6,000 || 200~250/6,000 || 190/7,000[br]204/7,200 || 280/6,400 || || 토크 (kgf·m/rpm) || 16.5/7,200[br]18.5/7,600 (N1) || 15.3/4,000 || 16.0/4,800[br]16.5/4,800[br]17.0/4,800 || || 17.5~19.6/4,800[br]18.4/4,800 || 27.0~29.0 || 20.0/6,000[br]21.0/5,200 || 31.5/3,200 || || SR || 엔진 패밀리 || || 숫자 || 배기량 || || D/V || [[DOHC]] / [[가변 밸브 리프트]] || || i/E || Single Point Fuel Injection(SPI) / Multi Point Fuel Injection(MPI) || || T || [[터보]] || === SR16 === 1.6리터 사양이다. VE 버젼이랑 VE N1만 출시되었. SR16VE가 175PS(172bhp)@7,800rpm의 출력을 내고, 개량한 N1은 200PS(197bhp)@7,800rpm을 낸다. 토크는 일반이 16.5kgf·m@7,200rpm N1이 18.5kgf·m@7600rpm. 86.0x68.7이라는 숏스트로크에 [[가변 밸브 리프트]]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 차종 * N15형 [[닛산 펄사|펄사]] VZ-R * B14형 [[닛산 루시노|루시노]] VZ-R * B14형 [[닛산 서니|서니]] VZ-R SR16VE N1을 사용하는 차량은 [[닛산 펄사|펄사]] VZ-R N1이 있다. === SR18Di === Single Point Fuel Injection 시스템을 사용하며, 110PS(108bhp)@6,500rpm의 출력을 내고, 15.2kgf·m@4000rpm의 토크를 낸다. JDM에서도 가끔식 사용하긴 하는데, 출력이 꽤 낮아서 다음 세대의 엔진에게 자리를 넘겨줘야 했다. 차종 1990~1993 [[인피니티 G|G20]]/[[닛산 프리메라|프리메라]] [[닛산 서니|서니]] 8세대 [[닛산 블루버드|블루버드]] [[닛산 아베니르|아베니르]] === SR18DE === 125PS@6000rpm의 출력을 내고, 15.9kgf·m의 토크를 낸다. 차종 * [[닛산 서니|서니]] * U13~14형 [[닛산 블루버드|블루버드]] * [[닛산 펄사|펄사 GTi]] * [[닛산 프리메라|프리메라]] * [[SM5]] (1세대 SM518,KPQ) === SR20Di === Single Point Fuel Injection 시스템을 사용하며 122PS의 최고출력을 낸다. 사용차량은: 1991~1994 [[닛산 프리메라|프리메라]] 1992~1995 [[닛산 실비아|실비아]] === SR20DE === Multi Point Fuel Injection 시스템을 사용하며 143PS@6,000rpm의 출력을 내며 18.2kgf·m의 토크를 낸다. 압축비는 9.5:1로 설정 되어있으며 차종 1991~1992, 1994~1998 [[닛산 180SX|180SX]] [[닛산 200SX|200SX SE-R]] [[닛산 블루버드|블루버드]] [[닛산 실비아|실비아]][* S13 후기형~S14는 Q's와 J's 트림에서, S15는 Spec S 트림에 장착된다.] [[인피니티 G|G20]] (SM520 의 일부 사양이 모티브된 차량이다.) [[SM5]] 1세대, 2세대(SR-Ⅱ) [[닛산 리버티|리버티]] 등에 적용이 되었다. === SR20DET === 싱글 터보 장착 사양 차종 S13~15형 [[닛산 실비아|실비아]][* 초기형 S13은 CA18DE 계열을 사용했으며, SR20DE 계열이 사용된 것은 후기형 부터.][* S13 후기형~S14는 K's 트림에서, S15는 Spec R 트림에 장착된다.] U12형 [[닛산 블루버드|블루버드]] 등 적용이 되어있다. 2007년, SM5의 부분변경 시에 [[닛산 MR 엔진|MR 엔진]]으로 대체되어 단산되었다. === [[르노코리아자동차|르노삼성]] === 1998년, 부산공장에서 1.8 및 2.0 사양이 초도 생산되어 SM5(KPQ)에 장착되었다. SM518의 엔진은 132마력에 16.5kgf·m이었고 SM520은 143마력에 18.4kgf·m이었다. 2003년,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맞춰 엔진제어시스템 및 점화계통이 변경되었다. 2.0 사양만 [[점화 플러그|CoP]]로 변경되었으며, 엔진제어시스템이 지멘스 [[SIMK]]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헤드커버의 형상이 달라지고, 디자인커버가 장착되었다. 2005년, 2.0 SR-Ⅱ 엔진을 출시하여 SM5(EX1)에 탑재되었다. SIM2K EMS로 변경되고, 캠 프로파일이 변경되었다. 최고출력이 140마력으로 낮아지고, 최대토크 시점이 4000rpm까지 당겨졌다. 이즈음에 액상분사 LPG 사양인 LPLi도 출시됐다. == 형식 == === 르노삼성 === || 형식명 || 보어 × 스트로크(mm) || 배기량(cc) || 사양 || 적용차종 || ||<|2>SR18 ||<|2> 86 × 82.5 ||<|2> 1,838 ||1.8 MPI ||SM518 || ||1.8 KLEV ||SM518[*03~ '03.3. 이후] || ||<|5>SR20 ||<|5> 86 × 86 ||<|5> 1,998 ||2.0 MPI ||SM520[* 2003년형 이후 지멘스 SIM2K EMS, CoP 적용] || ||2.0 LPG ||SM520 || ||2.0 KLEV ||SM520[*03~] || ||2.0 SR-Ⅱ ||SM5(EX2) || ||2.0 LPLI ||SM5(EX2) LPG || == 둘러보기 == [include(틀:닛산의 엔진 목록)] [[분류:닛산/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