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닌텐도 DS · Wii · 3DS · Wii U)] [목차] == 개요 == [[닌텐도 DS]]의 [[주변기기]]를 정리해놓은 문서. == [[닌텐도 DS]]의 [[주변기기]] == [[포켓 워커]]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주변기기가 GBA 슬롯에 장착하는 형식이라 [[닌텐도 DSi]]/[[닌텐도 3DS|3DS]]에서는 대응이 불가능하다. 장착하면 DS 메인 메뉴의 GBA 항목에 DS 옵션 카트리지라고 표시된다. () 안의 내용은 대응 소프트웨어, - (하이픈) 옆의 내용은 기기의 제작사를 말한다. [[파일:/20101011_191/dark250s_1286757202470Ifr4q_jpg/13_dark250s.jpg]] [[파일:/20101011_90/dark250s_1286757829670gkisI_jpg/dslite_dark250s.jpg]] * 메모리 확장팩 - [[닌텐도]] (닌텐도 브라우저 DS) 닌텐도 DS에서 오페라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기 위해서 부족한 RAM을 확장하는 장치. DS/[[닌텐도 DS Lite|DS Lite]] 모두에 쓸 수 있는 기존 GBA 카트리지 형태의 것과 DS Lite 전용으로 위 사진처럼 납작하게 생긴 것 2가지 종류가 있다. DSi 이상부터는 인터넷 브라우저가 내장되어있다. [[파일:/20101011_134/dark250s_1286757201645B89IX_jpg/10_dark250s.jpg]] [[파일:/20101011_300/dark250s_12867582615203djjz_jpg/img02_dark250s.jpg]] * 바코드 카드 리더 - [[세가]] (오샤레마녀, [[무시킹]]) 바코드 카드의 입력을 이용한 주변기기. [[파일:/20101011_178/dark250s_1286757232946ox3Ql_jpg/15_dark250s.jpg]] * 슬라이드 컨트롤러 - 닌텐도 (슬라이드 어드벤쳐 마그키드) 닌텐도 DS를 바닥에 놓고 움직이는 것으로 컨트롤 할 수 있게한 장치. [[파일:/20101011_142/dark250s_1286757202257GwAs0_jpg/12_dark250s.jpg]] * 페이스 스캐닝 - 닌텐도 게임보이 카메라에 이은 슬롯 장착형 카메라. 어른의 DS 얼굴 트레이닝[* GBA슬롯이 없지만 카메라가 내장되어있는 DSi과 3DS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대신 DSi 전용버전이 따로 나왔다.] 등에 사용. [[파일:/20101011_210/dark250s_1286757201172bA16v_jpg/08_dark250s.jpg]] * 바코드 카드 리더 - [[캡콤]] 완타메 시리즈에서 사용되는것 같다. [[파일:/20101011_70/dark250s_1286757200719TVjgH_jpg/06_dark250s.jpg]] [[파일:/20101011_38/dark250s_1286759256800LAvhQ_jpg/c0004568_835764_dark250s.jpg]] * 패들 - [[타이토]] [[알카노이드|알카노이드 DS]], [[스페이스 인베이더|스페이스 인베이더 익스트림]] 등에 대응. [[파일:/20101011_226/dark250s_1286757201956bQjT3_jpg/11_dark250s.jpg]] [[파일:/20101011_81/dark250s_1286759376113McWgR_jpg/h-104_73569_batol.jissai0626.jpg_dark250s.jpg]] * 매직 리더 - [[코나미]] 수신전 얼티밋 비스트 배틀러즈 전용 카드리더기. [[파일:/20101011_193/dark250s_1286757200500GJdV4_jpg/05_dark250s.jpg]] * 기타 그립 - [[액티비전]] [[기타 히어로]] 등에 대응. [[파일:/20101011_274/dark250s_1286757200945RvDS2_jpg/07_dark250s.jpg]] * 베이 포인트 리더 - [[허드슨(일본 기업)|허드슨]] [[메탈 베이블레이드]](일본판)에 대응. [[파일:/20101011_130/dark250s_1286757199092dnwgE_jpg/01_dark250s.jpg]] * 피아노 건반 - 게임라이프 이지 피아노 대응. [[파일:/20101011_289/dark250s_1286757202774YW4fV_jpg/14_dark250s.jpg]] * 보수계 - [[유비소프트]] [[파일:/20101011_279/dark250s_1286757201392Ackp7_jpg/09_dark250s.jpg]] * 추가곡 카트리지 - 닌텐도 대합주 밴드 브라더스의 추가곡 팩. [[파일:/20101011_284/dark250s_1286757233140Hy4IQ_jpg/16_dark250s.jpg]] * 진동팩 - 닌텐도 [[응원단 시리즈|아자! 싸워라! 응원단]] 2와 [[도와줘! 리듬 히어로]][* 북미, 유럽 출시판에만], [[신나는 Wi-Fi 게임 전집]] 등에 대응. 대응되는 게임 목록은 [[https://nintendo.fandom.com/wiki/List_of_Nintendo_DS_games_with_Rumble_Pak_support|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확장팩과 마찬가지로 DS/DS Lite 겸용 모델과 DS Lite 전용 모델 2종류가 있다. 국내에는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에 정발된 버전에서는 진동팩 연동 옵션이 모두 삭제되어 있다. [[파일:/20101011_202/dark250s_1286757233373TlCd5_jpg/17_dark250s.jpg]] * 모션팩 - 액티비전 토니호크 모션에 사용. Wii 모션 플러스와 기능이 비슷하다. [[파일:/20101011_168/dark250s_1286757233585u46c2_jpg/18_dark250s.jpg]] * 웨이브 스캐너 - 캡콤 [[유성의 록맨]]과 연동. [[파일:/20101011_151/dark250s_1286757199477kLPRg_jpg/02_dark250s.jpg]] * 스마트 스타일러 - 게임트랙 특허 출원 제품. 터치펜에 진동, 사운드, LED, 모션인식이 가능. [[파일:/20101011_65/dark250s_1286757199988hT6Xw_jpg/03_dark250s.jpg]] * [[GPS]] - 레인저 [[구글맵]]을 이용한 GPS (미출시) [[파일:/20101011_91/dark250s_1286757233829x6vRY_jpg/19_dark250s.jpg]] * 테마 파크 가이드 -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 행사장 가이드 프로그램. [[파일:닌텐도 ds/주변 기기-디젯.jpg]] * 디젯 - 바이엘 몇 가지 미니게임과 혈당 측정기 [[파일:/20101011_13/dark250s_12867572342666mW14_jpg/21_dark250s.jpg]] * 마그네틱 스탠드 - 닌텐도 [[파일:/20101011_278/dark250s_1286757234494MxF2Q_jpg/22_dark250s.jpg]] * 게임 타이머 - 헬스 컨트롤러 [[파일:/20101011_112/dark250s_1286757200182PSboH_jpg/04_dark250s.jpg]] * FM 라디오 - 드래곤 [[파일:/20101011_295/dark250s_1286757234674nGDjq_jpg/23_dark250s.jpg]] * GBA 클리너 - 닌텐도 [[파일:41gjysGlODL._AC_.jpg]] * 생활 리듬계 - 닌텐도 적외선 통신 기능이 있는 만보계다. (歩いてわかる 生活リズムDS / Personal Trainer: Walking)에서 사용. 만보계가 메인이고, 소프트는 카드에 내장된 적외선 통신 기능으로 만보계와 통신하여 기록을 저장한다. 참고로 이거 만든 게 포켓몬스터의 공동 개발사인 크리처스다. 해당 소프트의 발매시기를 고려하면 포켓워커의 프로토타입으로 볼 수도 있는 셈. * '''[[포켓워커]]''' - 닌텐도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게임팩 자체에 기능이 있기 때문에 유일하게 DSi와 3DS에서도 대응되는 주변기기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닌텐도 무선 키보드 - 닌텐도 '[[https://en.m.wikipedia.org/wiki/Learn_with_Pokémon:_Typing_Adventure|Learn with Pokémon: Typing Adventure]]'의 주변기기로 출시된 휴대용 키보드이며, 블루투스 기반이기때문에 다른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지만, 닌텐도DS에는 블루투스 기능이 없기때문에 카트리지에 블루투스 수신기가 내장돠어있다. [[파일:31L-HCuTRvL._AC_.jpg]] * DS TV - 닌텐도 DS로 [[원세그]] 방송을 볼 수 있게 해준다. 특이하게도 DS 카트리지 쪽에 끼워서 사용하는 주변기기이다. == 독립적인 GBA 게임 카트리지와의 연동 ==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발매한 게임들을 하위 호환으로 할 수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일부 닌텐도 DS 게임에서는 GBA 슬롯에 장착한 게임과 연동해서 아이템이나 이벤트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었다. 'DS의 주변 기기'로 취급하기 보다는 GBA 게임으로 분류하지만 위의 주변기기들과 연동 방식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다. [[파일:external/www.pokemon.co.jp/dp_function_sec4_pict01.jpg]] [[파일:external/www.pokemon.co.jp/dp_function_sec4_pict02.jpg]] [[파일:external/www.pokemon.co.jp/dp_function_sec4_pict03.jpg]] [[파일:external/www.pokemon.co.jp/dp_function_sec4_pict04.jpg]] [[파일:external/www.pokemon.co.jp/dp_function_sec4_pict05.jpg]] * [[포켓몬스터]] 본가 시리즈는 세대간의 포켓몬 전송이 가능한 [[팔파크]] 기능과, 위의 스크린샷 처럼 GBA팩마다 해당하는 포켓몬이 DS에서 출현하도록 했다. * GBA 포켓몬스터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루비/사파이어]]/[[포켓몬스터 에메랄드|에메랄드]]/[[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이어레드/리프그린]] (3세대) → NDS 포켓몬스터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다이아몬드/펄]]/[[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플라티나]]/[[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하트골드/소울실버]] (4세대) * [[포켓몬스터/외전|포켓몬 외전]] 시리즈에서는 다음과 같다. * '포켓몬 대시'의 경우엔 GBA 포켓몬스터 3세대 게임을 연동시키면 포켓몬의 도트 그림 베이스로 이뤄진 맵을 플레이 할 수 있다. 단 정발판은 일본판 RSE/FRLG만 인식된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는 빨강 구조대가 GBA, 파랑 구조대가 DS로 발매되어 한 시리즈로 묶여 연동되는 특이한 케이스. * [[역전재판 시리즈]]는 DS로 이식하면서 GBA버전에서 클리어한 시나리오 기준으로 DS버전에서 다음 시나리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 GBA [[역전재판1]] → NDS 역전재판: 소생하는 역전 * GBA [[역전재판2]] → NDS 역전재판2 Best Price! * GBA [[역전재판3]] → NDS 역전재판3 Best Price!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닌텐도 DS, version=469, paragraph=3)] [[분류:닌텐도 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