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닉 앤더슨 관련 틀'''}}}}}} || || {{{#!folding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닉 앤더슨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include(틀:올랜도 매직 기록 보유자)]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닉 앤더슨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 ||<-5>
'''{{{#cfcfcf [[올랜도 매직|'''{{{#cfcfcf 올랜도 매직}}}''']] 등번호 25번}}}''' || || 창단 || {{{+1 →}}} || '''{{{#fff 닉 앤더슨[br](1989~1999)}}}''' || {{{+1 →}}} || 크리스 개틀링[br](1999~2000) || ||<-5> '''{{{#fff [[새크라멘토 킹스|{{{#fff 새크라멘토 킹스}}}]] 등번호 25번}}}''' || || 마티 콘론[br](1992~1993) || {{{+1 →}}} || '''{{{#fff 닉 앤더슨[br](1999~2001)}}}''' || {{{+1 →}}} || 브렌트 프라이스[br](2001~2003) || ||<-5> '''{{{#B5651D [[멤피스 그리즐리스|{{{#B5651D 멤피스 그리즐리스}}}]] 등번호 25번}}}''' || || 에릭 스트릭랜드[br](2001) || {{{+1 →}}} || '''{{{#fff 닉 앤더슨[br](2001~2002)}}}''' || {{{+1 →}}} || 얼 왓슨[br](2002~2005)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ck_anderson.jpg|width=100%]]}}} || |||| '''{{{+2 넬리슨 "닉" 앤더슨}}}[br]Nelison "Nick" Anderson''' || ||<|2> '''출생''' ||[[1968년]] [[1월 20일]] ([age(1968-01-20)]세) ||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시카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 '''신장''' ||198cm (6' 6") || || '''체중''' ||103kg (228 lbs) || || '''포지션''' ||[[슈팅 가드]]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1989년도|1989 NBA 드래프트 1라운드 11순위]] [br] [[올랜도 매직]] 지명''' || || '''소속 팀''' ||'''[[올랜도 매직]] (1989~1999)'''[br][[새크라멘토 킹스]] (1999~2001)[br][[멤피스 그리즐리스]] (2001~2002) || || '''등번호''' ||25번 - 올랜도 / 새크라멘토 / 멤피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前 [[농구선수]]. 올랜도 매직의 원년 멤버[* 또 한명의 원년 멤버는 마이클 앤슬리(Michael Ansley)가 있다.]이자 프랜차이즈 스타로 역대 출전 및 스틸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통산 득점 1위를 가졌다. == 선수 시절 == 일리노이 대학교 2학년 때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에 기여한 뒤, 1989년 얼리 엔트리로 NBA 드래프트에 도전해 11순위로 신생팀 올랜도 매직에 지명되어 공격력 포스트업으로 에이스 역할을 수행했다. 1994-95 시즌에는 179개의 3점 슛을 성공시키며 성공률 41.5%를 기록하며 정규리그 1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역할을 해냈는데 특히 컨퍼런스 준결승전 1차전에서 [[마이클 조던]]의 공을 빼앗는 플레이를 선보이며 승리를 안겼다. 이후 팀 사상 처음으로 파이널까지 이끌며 휴스턴 로키츠를 만났지만, 자유투 실패가 문제였고[* 1차전 경기 종료 1분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올랜도가 3점차 앞서고 있었고, 앤더슨이 파울을 두번 얻어내서 자유투를 4개나 던졌는데 4개 모두 실패했다. 결국 경기 종료 직전 [[케니 스미스]]에게 동점 3점을 허용했고, 연장에서 2점차로 올랜도가 패했다.] 결국 0-4로 완패당해 우승에 실패했다. 이후 1995-96 시즌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 3차전에서 손목 부상 이탈은 물론 1996-97 시즌 자유투 성공률과 경기당 평균 득점까지 저조했다. 하지만 1997-98 시즌 초반 평균 득점은 좋지 못했다가 후반에 들어서 파이널 이전의 자유투 성공률을 기록했다. NBA 파업으로 단축된 1998-99 시즌 평균 14.9득점, 5.9리바운드, 1.4스틸로 저조한 성적으로 마무리 지은 뒤, 타릭 압둘 와하드를 상대로 새크라멘토 킹스에 트레이드된 앤더슨은 72경기를 모두 선발로 뛰어 평균 10.8득점, 자유투 성공률 48.7%로 마쳤으나 두번째 시즌 부상을 당한 바람에 21경기 출전에 그쳤다. 그리고 멤피스 그리즐리스에서 15경기를 뛴 뒤 웨슬리 퍼슨과 트레이드 맞교환되어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로 이적했다가 시즌 개막전에 방출된 후 현역을 은퇴했다. == 은퇴 후 == 친정팀 올랜도 매직의 해설자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미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1968년 출생]][[분류:시카고 출신 인물]][[분류:1989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슈팅 가드]][[분류:올랜도 매직/은퇴, 이적]][[분류:새크라멘토 킹스/은퇴, 이적]][[분류:멤피스 그리즐리스/은퇴, 이적]][[분류:UIUC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