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BA 동부 컨퍼런스 감독)] ---- [include(틀: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선수단)]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26428b '''닉 널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2>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2985.gif|width=100]] || || '''[[2019 NBA 파이널|{{{#ffffff 2019[br](감독)}}}]]''' || ---- [include(틀:NBA 역대 올해의 감독상)]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ck Nurse.webp|width=100%]]}}}|| ||<-2> '''{{{#fff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감독}}}''' || ||||<#C8102E><:>'''{{{#fff {{{+2 니컬러스 데이비드 너스}}} [br] Nicholas David Nurse}}}''' || ||<|2> '''{{{#fff 생년월일}}}''' ||[[1967년]] [[7월 24일]] ([age(1967-07-24)]세) || ||[[아이오와|아이오와 주]] 캐럴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fff 신장}}}''' ||185cm (6' 1") || || '''{{{#fff 출신학교}}}''' ||노던 아이오와 대학(University of Northern Iowa) || || '''{{{#fff 소속팀}}}''' ||더비 램즈(영국) (1990~1991) || || '''{{{#fff 지도자}}}''' ||노던 아이오와 어시스턴트 코치 (1989~1990)[br]더비 램즈(영국) 플레잉 코치 (1990~1991)[br]그랜드뷰 바이킹스 감독 (1991~1993)[br]사우스 다코타 어시스턴트 코치 (1993~1995)[br]버밍엄 불레츠(영국) 감독 (1995~1997)[br]맨체스터 자이언츠(영국) 감독 (1998~2000)[br]오클라호마 스톰 어시스턴트 코치 (2001)[br]브라이턴 베어 감독 (2001~2006)[br]아이오와 에너지 감독 (2007~2011)[br]리오 그란데 밸리 바이퍼스 감독 (2011~2013)[br][[토론토 랩터스]] 어시스턴트 코치 (2013-2018)[br]'''[[토론토 랩터스]] 감독 (2018~2023)'''[br][[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감독 (2023~) [br] [[캐나다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9~2023) || [목차] [clearfix] == 소개 == NBA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의 감독. == 일생 == === NBA 지도자 생활 이전 === === 감독/코치 시절 === ==== [[토론토 랩터스]] ==== [[2018년]] [[6월 14일]], 공격의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한 프론트는 7시즌동안 팀을 이끌었던 [[드웨인 케이시]]의 후임으로 5년간 코치를 맡아온 닉 너스를 내부 승진시켜 감독으로 부임했다. 결과적으로는 대성공. ===== 2018-19 시즌 ===== 부임과 동시에 첫 해부터 프런트의 응답에 맞게 팀의 공격을 변화시켰으며 58승 24패(0.707)로 동부컨퍼런스 2번 시드로 이끌었다. 이어 플레이오프에서는 [[올랜도 매직]](4-1), [[필라델피아 76ers]](4-3), [[밀워키 벅스]](4-2)를 연거푸 격파한데 이어 파이널에서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상대로도 4-2로 승리, '''토론토에 1995년 창단 이후 첫 우승을 안겼다.''' ===== 2019-20 시즌 ===== 감독 2년차에는 [[카와이 레너드]]와 [[대니 그린]]의 FA와 함께 우승 하자마자 강제 리빌딩 상황을 맞이 하게 되었다. 당연히 토론토를 우승후보로 보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시피 했고 플레이오프에 올라간다 하더라도 턱걸이 정도나 하지않을까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모두의 예상을 비웃기라도 하듯 랩터스는 동부 단독 2위에 자리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는 [[브루클린 네츠]]를 스윕하면서 희망을 보였으나 2라운드에서 [[보스턴 셀틱스]]와 7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탈락. 닉 너스는 올해의 감독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렸다. ===== 2020-21 시즌 ===== 라우리-밴블리트-시아캄은 여전히 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솔과 이바카가 떠난 초토화된 센터진으로 시즌초부터 선수진들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탱킹팀이 아님에도 10위인 플레이-인-토너먼트 참가권조차 놓치면서 매우 부진한 성적으로 마무리. ===== 2021-22 시즌 ===== 윙스팬이 길고 활동력이 좋은 선수들을 다수 기용해 스틸과 속공, 공격 리바운드 위주의 플레이를 펼치고 있다. 카와이가 떠난 이후 팀의 무게 중심이 점점 앞으로 쏠리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올해는 정말 극단적일 정도의 플레이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팀 로스터가 물갈이 되며 벤치 뎁스가 극도로 얇아지는 바람에 주전 선수들에 대한 혹사도 극단적인 수준까지 올라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텐셜이 터진 밴블릿과 게트주, 부상 복귀 후 한동안 헤메는 모습을 보이다 전성기 때 폼을 찾은 시아캄, 신인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는 반즈 등 주전 선수들의 맹활약에 힘입어 동부 5위까지 치고 올라오는 데 성공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 상대는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상대전적이 앞섰던 만큼 업셋도 기대할만 했으나 4: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 2022-23 시즌 ===== 신인왕을 수상한 스코티 반즈와 프레드 밴블릿의 부진 등이 겹치면서 저번 시즌과는 달리 플레이오프 직행권에 올라가는데 실패했고, 플레이 인 스테이지에서도 10위 [[시카고 불스]]에게 업셋을 당하면서 결국 플레이오프 진출에도 실패했다. 결국 벤치 멤버 육성 실패와 주전 혹사를 빌미로 토론토 감독에서 해고당했다.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이후 2023년 5월 19일,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부임 후 [[제임스 하든]]이 팀과의 불화로 멀쩡히 시즌을 식서스에서 소화할 가능성이 낮아진데다가, 또한 널스 감독은 주전 의존도가 [[혹사]] 이야기를 들을만큼 매우 높기로 유명한 감독인데, 식서스의 에이스인 [[조엘 엠비드]]가 매 시즌 건강 관련으로 이슈가 있는 선수라는 점이 우려되는 부분. 그래도 식서스의 약점으로 꼽히던 수비 조직력은 확실히 잡아줄 수 있는 감독이라 전임 [[닥 리버스]] 감독이 수비 전술을 잘 짜지 못 해 여러차례 고통받았던 식서스 팬들 입장에서는 이 부분에 있어서는 만족할만한 선임이다. ===== 2023-24 시즌 ===== 부임 초반 팬들의 반응은 좋다. 주전들의 출전시간이 많이 늘었지만, 팀 수비력이 대폭 개선되었으며 특히 [[조엘 엠비드]]의 림 수비력이 데뷔시즌의 기대치를 다시 떠올리게 할 정도로 회복되었다. == 감독 스타일 == 선수들의 활동성을 극대화시키면서 강력한 수비를 추구하는 스타일. 상대팀의 강력한 에이스에 대항하기 위한 맞춤형 전술을 절묘하게 사용하는 편이다. 박스 앤 원, 지역방어를 상황별로 절묘하게 변환하며 구사하고, 이는 감독 데뷔 시즌 토론토가 깜짝 우승을 거둘수 있게된 요인이 되었다.[* 2라운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와의 경기에선 [[조엘 엠비드]]의 천적인 [[마크 가솔]], 컨퍼런스 파이널 [[밀워키 벅스]]와의 경기에선 [[야니스 아데토쿤보]]에게 [[카와이 레너드]]를 붙이면서 실점을 최소화했다.] 단점은 혹사. 우승 시즌인 18-19 시즌에는 괜찮았으나, 그 다음 시즌인 19-20 시즌부터는 주전 선수들의 경기 당 출전시간이 모두 35분을 넘기고 있다. 주 피해자(?)는 [[프레드 밴블릿]], [[파스칼 시아캄]], [[카일 라우리]][* 그나마 라우리는 마이애미로 이적하면서 이런 혹사에서 벗어났다.] 등이다. 심지어는 갓 들어온 신인인 [[스코티 반스]]도 출전 시간이 35분을 넘어가고 있다. 2022년 1월 30일 마이애미와의 경기에서는 연장 혈투 끝에 역대 최초로 단일경기에서 5명의 선수가 50분 이상 출장하는 혹사 기록을 세웠다.[* [[프레드 밴블릿]], [[게리 트렌트 주니어]], [[스코티 반스]], [[파스칼 시아캄]], [[OG 아누노비]].] == 여담 == * [[토론토 랩터스]] 감독으로서는 첫 시즌에 우승을 따내며 초보 감독의 행운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알고보면 23살부터 지도자 생활을 해온 베테랑 감독이다. * [[캐나다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도 겸임했었다. 필라델피아 감독으로 부임한 후 사임.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감독]][[분류:캐럴 카운티(아이오와)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분류:토론토 랩터스/역대 감독]][[분류: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