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자생물학&생화학)] [목차] == 개요 ==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 화학식은 C,,21,,H,,28,,N,,7,,O,,14,,P,,2,,이다. NADH는 세포 호흡 과정 중 [[해당과정]]과 [[TCA 회로]]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 과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 각각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 기질(바탕질)에서 생성된다. 생명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조효소이다.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적절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대개 40대 후반 ~ 50대가 되면 NAD+의 농도가 20대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노화가 급격히 빨리 진행된다. NADH는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가 수소 이온(H^^+^^) 2개를 받아 [[환원]]된 상태의 물질이다. 에너지 수용체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수있으나 [[전자전달계]]로 다루어볼때 이는 전자전달체(수송체)로 전자공여체(예 포도당C,,,6,,,H,,,12,,,O,,,6,,,)에서 전자수용체(예 산소O,,,2,,,)로 흐르는 에너지(전자 e-)의 중간 전달체인 수송체(운반체)로 이해해볼수있다. 한편 이러한 맥락에서 에너지 사용시점을 기준으로 보면 [[ATP]]를 에너지 운반체로 이해해볼수있다. NADH[* 환원형]나 NAD^^+^^[* 산화형]의 형태로 존재한다. == NAD와 FAD == || [[파일:Structure2D_CID_5893.svg|width=400]] || [[파일:Structure2D_CID_643975.svg|width=400]] || || [[니코틴]]과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AD)가 결합한 NAD || [[플라빈]]과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AD)가 결합한 FAD || N-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AD)와 F-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AD)은 공통적으로 뉴클레사이드 2인산(nucleoside di-phoshate)인 [[뉴클레오타이드]]를 기본 백본(backbone)으로 갖는다. == 불로장생의 물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티에이징)] [[데이비드 싱클레어]]가 [[안티에이징]]을 위해 섭취하는 물질 중 하나인 [[NMN|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타이드]]는 NAD+를 생산하여 장수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2022년, 일본의 기업 DHC의 카타요시 타케시 및 연구진은 소규모 실험을 통해 NMN이 혈관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줘서 심혈관질환 예방에 좋다는 점을 파악했다.[[https://rokitamerica.com/blogs/blog/nmn_blood_vessel_thesis|#]][[https://doi.org/10.21203/rs.3.rs-1802944/v1|DOI]] == 여담 == *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단어 중 가장 긴 단어이다. *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와 같다.[* i를 ㅏ이로 읽느냐, ㅣ로 읽느냐에 따라 생기는 차이다.] 별 상관은 없다 == 관련 문서 == * [[플래빈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FADH2) * [[해당과정]] * [[TCA 회로]] [[분류:생화학]][[분류:세포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