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ffffff 니카노르 파라}}}'''}}}[br]'''{{{#ffffff Nicanor Parra}}}'''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canor-parra.png|width=100%]]}}} || ||<-2> {{{#ffffff '''본명''' }}} ||니카노르 세군도 파라 산도발[br](Nicanor Segundo Parra Sandoval)|| ||<-2> {{{#fff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칠레)] || ||<|2><-2> {{{#ffffff '''출생''' }}} ||[[1914년]] [[9월 5일]] || ||[[칠레]] 산파비안 데 알리코 || ||<|2><-2> {{{#ffffff '''사망''' }}} ||[[2018년]] [[1월 23일]] ('''향년 103세''') || ||[[칠레]] [[산티아고(칠레)|산티아고]] 라 레이나 || ||<-2> {{{#ffffff '''직업''' }}} ||[[시인(문학)|시인]], [[물리학자]], [[교수]] || ||<-2> {{{#ffffff '''학력''' }}} ||[[칠레 대학교]] {{{-2 (사범대학 수학 • 물리교육 전공 / [[학사|B.A.]])}}} [[브라운 대학교]] {{{-2 (물리학 전공 / [[석사|M.Sc.]])}}} [[옥스퍼드 대학교]] {{{-2 (우주학 전공 / [[박사|D.Phil.]])}}} || ||<-2> {{{#ffffff '''경력''' }}} ||칠레 대학교 [[물리학|이론물리학]] 교수[br][[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이론물리학 [[초빙교원|객원교수]][br][[뉴욕 대학교]] 이론물리학 객원교수[br][[예일 대학교]] 이론물리학 객원교수 || ||<-2> {{{#ffffff '''수상''' }}} ||칠레 국립 문학상 ^^(1969년)^^[br][[미겔 데 세르반테스]]상 ^^(2011년)^^[br][[파블로 네루다]]상 ^^(201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만 빼고 모든 것이 시다."''' >- 니카노르 파라 [[칠레]]의 시인이자 물리학자. '''20세기 스페인어 문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시대를 앞서간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반시 문학(反詩, Anti-poetry)'이라는 개념을 창조한 ''''반시의 아버지''''로도 일컫는다. 그는 네 번이나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었고 2011년에는 스페인어 문학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상인 '미겔 데 세르반테스상'을, 이듬해 2012년에는 '파블로 네루다상'을 수여받았다. == 시와 반시 == '''Poemas y antipoemas''' 1954년에 출간한 파라의 대표적인 시집. 이 시집 하나로 그는 '''현대 시 문학의 거물로 자리잡음과 동시에 현대시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주었다.''' 발표 이전에는 시라는 것은 쉽게 다가갈 수 없을 정도로 수려하고 비유적인 표현들과 함께 고귀하고 예술적이면서도 난해한 면을 지닌 장르로 인식되어 있었다. 그러나 파라는 과거로부터 쭉 이어졌던 이러한 시에 대한 고정적인 모습을 타파하고, 일상적인 단어들을 사용한 직설적인 문체를 기반으로 유머와 패러디를 동원해 가벼운 언어유희로 시사 및 정치를 풍자하며, 산문적인 형식까지 도입해 일반적인 시보다는 오히려 하나의 에세이처럼 묘사를 하여 운문과 산문의 경계를 허문 일명 '''반시(Anti-poem)'''라는 신개념을 창조했다. 이렇게 기본적인 통념을 깨부순 파괴적인 문학 장르의 등장으로 당시 문학계에 어마어마한 화제와 논란을 일으켰다. 이후 앨런 긴즈버그를 포함한 [[비트 세대]] 작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오늘날의 시에도 파라의 시가 가지고 있는 많은 특징들을 이어받았다. [[분류:서구권 시인]][[분류:1914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비오비오 주 출신 인물]][[분류:칠레의 시인]][[분류:칠레의 물리학자]][[분류:브라운 대학교 출신]][[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