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일본 철도의 통근형 전동차)] ||<-3><:>[[서일본 철도|[[파일:case_nishitetsu_000-1.png.png|height=30]]]] {{{#!wiki style="margin: -10px -10px" ||<:>{{{#004EA2 '''니시테츠 {{{+1 3000형 전동차}}}'''[br]西鉄3000形電車[br]{{{-1 Nishitetsu}}} series 3000 Car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ishi-Nippon_Railroad_-_Series_3000_-_01.jpg|width=100%]]|| ||<-3> {{{#005daa 외부}}}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광역철도 입선용 [[특급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량 수''' ||<-2> 2량, 3량, 5량 || || '''운행 노선''' ||<-2>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004EA2, 글자색=#ffffff, 내용=T)][[텐진오무타선]],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87CEEB, 글자색=#ffffff, 내용=D)] [[다자이후선]] || || '''도입년도''' ||<-2> [[2005년]] ~ [[2015년]] || || '''제작회사''' ||<-2> [[가와사키 중공업|[[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 || '''소유자''' ||<|2><-2> [[서일본 철도|[[파일:case_nishitetsu_000-1.png.png|width=100]]]] || || '''운영자''' || || '''차량기지''' ||<-2> 치쿠시 차량기지 || || '''편성번호체계''' ||<-2><:>30xx ~ 36xx|| ||<:><-3><#ddd>{{{#black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3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전장''' ||<-2> 20,500㎜ || || '''전폭''' ||<-2> 2,770㎜ || || '''전고''' ||<-2> 4,096㎜ || || '''궤간''' ||<-2> 1,435㎜ || || '''사용전류''' ||<-2> [[전류#s-7.2.1|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운전보안장치''' ||<-2> 니시테츠형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제어 방식''' ||<-2> [[도시바]]제 VVVF-[[IGBT]] 2레벨 인버터 제어 || || '''동력 장치''' ||<-2> 농형 3상유도 전동기 || || '''기어비''' ||<-2> 101 : 16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공기제동 || || '''모터 출력''' ||<-2> 175Kw || || '''최고속도''' ||<-2>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110km/h / 120㎞/h || || '''가속도''' ||<-2> 2.5 km/h/s || || '''감속도''' ||<-2> 상용:3.5 km/h/s, 비상:4.0 km/h/s || || '''전동차 비''' ||<-2> 2M 3T, 1M 2T, 1M 1T ||}}}}}} || || [youtube(nCe_8Gbi7a0)] || || '''{{{#FFF 텐진오무타선 주행영상 (텐진 → 오무타)}}}''' || [목차] == 설명 == [[서일본 철도]] [[텐진오무타선]]에서 운용하는 [[특급형 전동차]]로써, 2006년 영업운행을 개시하였으며 2007년 로렐상을 수상했다. == 도입 == 2000형, 8000형 등의 기존의 특급형 전동차가 노후되자 이를 대체하기 위해 2005년부터 제조되었다. == 차내 설비 == 기존의 특급형을 대체한 만큼 2x2 크로스 시트가 설치되어있으며, 연결부에는 4인용 롱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youtube(3HSTJb5g5oY)] 통로문 위에는 LCD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입문 위에는 노선도와 LED가 설치되어 있다. [youtube(cXe0bnRj9Rs)] 비교적 최근에 도입한 차량임에도 전면, 측면 행선지 표시기에 LED가 아닌 롤지를 장착하고 있다. 이 다음에 나온 [[니시테츠 9000형 전동차|9000형]]은 행선지 표시기로 LED를 장착하고 출시되었다. == 운용 == 운용시에는 단독으로 편성하는 일은 드물고, 병결을 하는 일이 잦다. 7량(5+2)은 주로 특급으로 운용하고, 6량(3+3)은 급행으로 운용한다. === 스이토(水都) === [youtube(SGR6LSVC6S8)] [[http://www.nishitetsu.jp/train/suito/index_ko.html|스이토 홈페이지]] [[니시테츠야나가와역]]으로 가는 관광열차이다. 본래 [[니시테츠 8000형 전동차|8000형]](8061F) 전동차로 운행하던 것으로, 3000형으로 교체되었다. 3017F열차와 3018F열차에 야나가와 지역의 특색있는 것들을 랩핑하여 운행한다. 따로 특급요금은 받지 않고, 일반열차와 같이 운행한다는 점에서 舊[[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와 유사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스이토(水都, 수도)는 아름다운 물의 도시 야나가와를 표현하는 동시에 하카타방언으로 ‘좋아요’를 뜻하는 ‘스이토’라고도 들리는 유머가 담긴 이름이라고 한다. 평일 [[니시테츠후쿠오카역|텐진]]행 첫차(08:48)는 [[니시테츠후츠카이치역|후츠카이치]]에서 출발하는 보통열차로 운행하고, 5시 이후에는 보통열차 등급으로 [[니시테츠후츠카이치역]]까지만 운행하며, 막차(20:48)는 급행등급으로 [[오고리역]]까지만 운행한다. 나머지는 모두 특급 등급으로, [[오무타역|오무타]]까지 운행한다. 주말 첫차도 마찬가지로 보통등급에 후츠카이치발이며, 평일 첫차 보다는 더 빨리(06:58) 출발한다. 평일과는 다르게 막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특급으로 오무타까지 운행하며, 막차(22:40)는 보통등급으로 [[치쿠시역]]까지만 운행한다. 2호차에는 초대 야나가와번 영주인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유물을 중심으로 다치바나 가문 전래품의 모형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승차기념 스탬프도 있으니 스이토 이용시 한 번 구경 해보도록 하자. 또한 각 칸마다 다치바나 무네시게’ 관련 유물을 소재로 한 카드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고 한다. === 타비토 (旅人) === [youtube(wP06qB035O4)] [[http://www.nishitetsu.jp/train/tabito/index_ko.html|타비토]] 홈페이지 스이토와 마찬가지로 관광열차이며, [[다자이후역|다자이후]]로 가는 열차이다. 본래 [[니시테츠 8000형 전동차|8000형]](8051F) 전동차로 운행하던 것으로, 8000형의 퇴역 후 3000형으로 교체되었다. 스이토와 마찬가지로 따로 특급요금은 받지 않고, 일반열차와 같이 운행한다. 다자이후의 다양한 관광명소나 다자이후에 피는 사계절의 꽃 등으로 랩핑되어 있으며, 3호차에는 승차기념 스탬프와 [[https://yokanavi.com/ko/spot/83267/|카마도 신사]]에 넣을 수 있는 소원용지가 있다고 한다. 신사까지 못가는 사람들을 위해 기원상자도 배치하고 있으며, 몇 일 후에 니시테츠 전철이 대신 봉납해준다고 하니 참고바람. 타비토 (旅人)는 다자이후 지역에서 많은 시를 남긴 것으로 알려진 시인 오토모노 타비토(大伴旅人)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한 여행자라는 의미의 “타비비토”라고 읽을 수 있으므로 다자이후를 여행하는 열차라는 의미도 담겨 있다고 한다. 다자이후로 들어가는 편성은 첫차 뿐으로, 급행등급(평일 09:46, 주말 09:47)으로 운행한다. 나머지 편성은 [[오무타역]]까지 운행하니, [[니시테츠후츠카이치역|후츠카이치]]에서 환승하면 된다. 평일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10시 8분에 텐진에서 출발하는 차는 [[하나바타케역]]까지만 운행한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서일본 철도]] *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서일본 철도]][[분류:2006년 출시]][[분류:2015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