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물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沼地の魔神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늪지의 마신왕, 일어판명칭=沼地(ぬまち)魔神王(ましんおう), 영어판명칭=King of the Swamp, 속성=물, 레벨=3, 공격력=500, 수비력=1100, 종족=물족, 효과1=①: 패 / 필드 / 묘지의 이 카드는\, 융합 몬스터 카드에 카드명이 쓰여 있는 융합 소재 몬스터 1장 대신으로 할 수 있다. 그 때\, 다른 융합 소재 몬스터는 규정한 것이어야 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에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중 하나로, 융합 소재 1장을 대신하는 [[룰 효과]], 덱에서 [[융합(마법 카드)|융합]]을 서치하는 [[기동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 성능 === [[융합 주술봉인 생물]]과 함께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중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고 할 수 있는 카드. --본격 [[메타몽]]-- 핵심 카드인 [[융합(마법 카드)|융합]]을 너무도 간단히 서치해올 수 있다. 덱에 따라서는 융합 서치용 카드로 이 카드 말고도 [[융합(마법 카드)|융합 현자]]나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퍼니멀|퍼니멀 오울]]이라는 대체제가 있지만, 역시 가장 범용성이 높은 것은 이 카드다. 그러면서 출시된 것도 한국 기준 [[천공의 성역(부스터 팩)|천공의 성역]]으로 꽤 빠른 편. 융합 주술봉인 생물이 크게 의미 없는 융합 몬스터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예 묘지 융합만 노리는 게 아닌 이상은 어지간한 융합 덱에서 다 유용하고 가장 사랑받는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 묘지 융합을 노리는 덱이더라도 융합을 서치하면서 융합 소재를 바로 묘지로 보낼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물 속성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를 사용하는 [[히어로(유희왕)|히어로]] 덱에서는 아무렇게나 해도 앱솔루트 Zero가 나오기에 활용법은 무궁무진하다. 그 뿐만이 아니라, 링크 몬스터를 소재로 나오는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의 경우, [[클락 와이반]]을 소재로 지정하고 있기에 이 카드를 이용한 융합 역시 가능하다. 즉, 이 카드를 클락 와이반 대용으로 사용하면 [[초융합]]으로 상대 링크 몬스터만 잡아먹고, 공격력을 올리는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뜻. 공격력도 1500 이하인지라 [[샐비지(유희왕)|샐비지]]로 우려먹기가 가능하다는 것도,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환해 [[빙결계의 용 궁니르]]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다만 융합 소재 대체를 용인하지 않는 카드를 쓰거나, 일반 마법 카드 융합이 아닌 전용 융합 카드를 쓰는 덱에서는 활용도가 조금 떨어지는 편. 이 카드의 융합 소환은 상기의 카드로만 할 수 있다'라는 텍스트가 써 있는 카드는 당연히 불가능하고, 어떤 특정한 카드의 이름이 지정된 경우가 아니라 카드의 능력치나 종류를 참조하는 경우는 이 카드로 대체할 수 없다. 이후에 재록되면서 카드명만을 대체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그나마 좀 이해하기 쉬워진 편. 따라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융합 소재를 지정하는 [[F·G·D]] 같은 경우에는 절대 불가능. 또한 [[미래융합-퓨처 퓨전]]에도 사용할 수 없다. 그 이외에도 몬스터가 지정된 몇몇 [[이블 히어로]]를 빼고는 [[다크 퓨전]]에 대응이 되지 않는다. 융합 마법 카드를 안 쓰는 경우는 대표적인 예가 위의 [[이블 히어로]]. 혹은 [[젬나이트]] 쪽도 융합 몬스터가 주력이지만 젬나이트 퓨전이 이미 충분히 유용하고 휘석융합도 있고 해서 덱에 융합 카드를 안 넣는 경우도 있으며, 그럴 땐 이 카드도 활용도가 줄어든다. 한편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으로, 이 카드의 융합 소재 대체 효과는 패, 필드 묘지에서 융합 소재로 사용될 때에 한해 사용 가능하다. 제외 존 혹은 덱에서는 이 카드를 융합 대체 소재로 사용할 수 없다. 토너먼트 팩 2022에 재록되면서 텍스트로도 명시된 만큼 숙지할 필요가 있다. 마침 물족이라서 [[티아라멘츠]]와도 상성이 매우 좋다. 해당 카드군의 융합 몬스터들이 융합 소재로 물족을 사용하기도 하고 에이스 몬스터인 티아라멘츠 카레이도하트가 소재로 레이노하트를 따로 지칭하고 있어서 안성맞춤이다. 또한, [[티아라멘츠]]의 하급 몬스터들이 자체 융합 효과 내장으로 이 카드와 함께라면 [[소환사 알레이스터]]를 사용하는 [[소환수(유희왕)]] 융합 몬스터들도 꺼낼 수 있어서 앞으로의 활용도가 무궁무진한 카드이기도 한다. 2023년 1월 금제로 인해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가 금지 카드가 되자 일반적인 방법으로 루루칼로스를 꺼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대체재로 이 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은 티아라멘츠가 발매된지 얼마 되지 않아 직접 제제를 못해 이 카드를 제한 조치 했다. 같이 제제된 [[인스턴트 퓨전]] 금지와 이 카드의 제한으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뽑아 돌파하는 플랜이 매우 힘들어졌다. 거기에 오프처럼 키토칼로스 금지가 마듀에도 적용되면 대체재로 쓸 이 카드 또는 늪지대의 마수왕 2장뿐이라 루루칼로스를 꺼내기가 더욱 힘들 것이다. === 여담 === [[DD(유희왕/카드군)|DD]]의 관련 카드로 '''마신왕의 계약서'''가 있는데, 이 마신왕이 바로 늪지의 마신왕이다. 실제로 마신왕의 계약서는 이 카드처럼 융합을 보조해주는 카드이다. 일러스트에서 나온 마신왕의 생김새는 묘하게 [[융합(마법 카드)#융합 현자|융합 현자]]와 닮았다. [[융합소재 대체 몬스터]] 중에 이름이 비슷하고 사실상 하위호환인 [[늪지대의 마수왕]]도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에서는 [[미스터 T(유희왕)|미스터 T]]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2차전 듀얼에서 사용. [[붉은 눈의 흑룡]]을 이 카드로 대신하여 [[메테오 드래곤]]과 융합시켜 [[메테오 블랙 드래곤]]을 [[융합 소환]]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융합소재 대체 몬스터가 융합 소재로 사용된 것은 전작을 포함해 이 카드가 최초로, 전작에서는 [[파괴신 버사고]], [[심안의 여신]]이 등장했지만 원래 효과가 사용된 적은 없었다. == 관련 카드 == === [[융합(마법 카드)|융합]] === === [[늪지대의 마수왕]] === === [[계약서(유희왕)#s-2.2|마신왕의 계약서]] === === [[계약서(유희왕)#s-2.3|마신왕의 금단계약서]] === === [[늪지의 도로곤]] === === [[도로도로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