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단위 == 영국의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3~1727)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힘]]의 단위 === [math(\rm N)]으로 표기하며 [math(\rm1\,kg)]의 물체를 [math(\rm1\,m/s^2)]으로 가속시킬 때 필요한 힘, 혹은 이 가속도로 운동하는 해당 물체에 내재된 힘으로 [math({\rm N} = {\rm kg{\cdot}m/s^2})]이다. === [[온도]]의 단위 === [math(\rm\degree\!N)]으로 나타내며 현재는 쓰이지 않는 [[뉴턴온도]]를 나타내는 데에 쓰인다. 도([math(\degre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엄밀하게는 '도 뉴턴'(degree newton)이긴 하다.[* 혹은 [math(\rm\degree\!C)]를 '도씨'로 읽는 경우처럼 '도엔'이라 읽을 수도 있다.] 오늘날 정의상 [math(\rm1\,\degree\!N = \dfrac{100}{33}\,\degree\!C)]이다. == [[일본]]의 [[과학]][[잡지]] 뉴턴 == '뉴턴'[[https://www.newtonpress.co.jp/|#]]. 본 잡지를 한글로 번역한 잡지가 항목 3이다. === [[참피]] 만화의 인터넷 작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장석)]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일본 [[실장석]] 작가인 뉴턴의 이름은 [[아이작 뉴턴]]에서 딴 것이 절대 아니며, 이 잡지를 패러디한 그림을 보고 사람들이 뉴턴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 항목 2를 번역한 [[뉴턴 한국판]] == 번역된 것 외에 한국 편집자가 쓰는 내용도 존재한다. == [[CIEL]]의 도시 == 왕국의 대도시. 뉴턴역이 있어서 열차로 이동이 가능하다. 작중 주연들이 1부에서 제일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며, 서민들을 위한 마법학교 [[로우드]]가 있다. 동시에 로우드 지하엔 [[페그마타]]라는 마력 증폭기가 있으나 평상시에 쓸 수 없고 허가가 필요해서 관련 인물이 아니면 그리 신경쓰지 않는다. 도시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두 시계탑이 있다. 둘 사이가 연결되어 있는데, 시간을 가리키는 쪽이 '현재의 탑', 시계바늘이 없는 쪽이 '미래의 탑'이다. [[시에라]]에 있는 시계탑과 일직선으로 위치해 있다. [* 이 점을 이용해 왕실 피난용으로 투명한 길을 만들어 놓았다.]이 곳에서 [[삼월 토끼]]사건이 일어난다. 또한 바로 옆에 시장이 위치해 있어서 주변이 북적거린다. 바람 잘 날이 없다. 비밀 결사 고스 나이트에 의한 사건도 일어나지만 주로 [[마수]]에 의해 고통받는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펜타곤 크라이시스]]가 활동한다. '뉴턴식 정원'이란 것이 있다. 1부 기준 몇 십 년전 귀족들이 뉴턴의 부흥을 자신들의 자랑으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평범한 도시라 전부 없애고 새로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니 억지로 옛 건물들을 짜맞춰버렸다. 그래서 원래 문이 2, 3층에 달리기도 하고 원래 방의 한 쪽 면이 아예 없어져 버리거나 겉에 만든 벽과 원래 벽 사이 공간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보고 뉴턴식 정원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이 이야기를 들고 이비엔이 마법사 화재 사건의 발화 지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카트레야 축제가 매년 5월마다 열린다. 뉴턴 가이드 맵에 따르면 레스토랑에서 식사 후 유원지 핑크 엘리펀트 방문, 저녁에는 리버 사이드 시어터(River Side Theater, RST)에서 쇼[* 참고로 마리온 에버릿이 방문한 시기엔 여해적 비앙카가 상영 중이었고, 이비엔이 마수 은서리 호치에게 귀가 뚫리기 직전 미스 마야의 여해적 비앙카 마지막 공연을 보고왔다.]를 보면 된다고. == [[싱가포르의 행정구역]] == Newton 인구 8,030 (2019년) 시내인 오차드로 나가는 중간지점. 사실상 시내의 외곽이며 그만큼 집값도 비싸다. 그리고 로터리인 뉴턴 서커스 근처에 뉴턴 푸드 센터가 있다. 관대 철도역은 [[뉴턴 역]] [[분류:동음이의어]][[분류:CI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