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뉴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마라톤 시리즈)] [목차] || [[파일:뉴마라톤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파일:뉴마라톤트랜스폼.gif]]|| || 트랜스폼 || == 개요 == 2013년 10월 10일 출시된 카트바디이다. 마라톤 시리즈는 SR 이후 별로 주목받지 못했으나, 뉴 엔진 때는 강력한 스타트 부스터와 긴 부스터 길이 덕분에 [[파라곤 RED-C]]와 더불어 어느 정도 쓰이게 되었다.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뉴 마라톤 || || '''획득 방법''' ||NEW카트 카드, 합성, 카트기어 조각 || 최초 출시 당시에는 캐시로 출시되었다. 이후 일반 마라톤은 루찌 판매로 전환되고, 일반 플로터 강화형인 S,B형은 캐시로 판매. === 중국 === || '''카트 명칭''' ||马拉松 HT+ || || '''획득 방법''' || HT+ 카트 카드 || === 대만 === || '''카트 명칭''' ||馬拉松 HT+ || || '''획득 방법''' || 합성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650 || 650 || 650 || || '''가속력''' || 779 || 662 || 662 || || '''코너링''' || 850 || 850 || 850 || || '''부스터 시간''' || 1340 || 1340 || 1340 || || '''부스터 충전량''' || 600 || 600 || 600 || ||<-4> '''속도 {{{-3 (매우빠름)}}}''' || || '''직선 속도''' ||<-3> 216km/h || || '''부스터 속도''' ||<-3> 290km/h || || '''출발 부스터''' ||<-3> km/h || || '''헤어핀 감속''' ||<-3> 125~135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 || '''접지력''' ||<-3> || || '''몸싸움''' ||<-3> || || '''무게중심''' ||<-3> || '''마라톤 시리즈의 첫 전성기.''' 출시 당시에는 [[마라톤 PRO]]이후 다시 상점에 복귀한 마라톤 시리즈라는 점에서 잠시 이목을 끌고 성능 자체도 나름 괜찮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드탈이 상대적으로 낮아 당시 중시되던 [[톡톡이]]를 구사하기 힘들었던데다 희대의 성능을 지니고 날뛰던 [[뉴 코튼]]과 [[벌쳐(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벌쳐]]에 밀려 그대로 존재감 없이 묻혀가는 듯 했다. '''하지만 [[카트라이더 2014]], 일명 1212패치 이후 상황이 달라진다.''' 해당 패치에서는 톡톡이 메타를 사장시키기 위해 속도 증가폭을 줄이고 드리프트 탈출력과 코너 가속도를 낮추는 대신 변신부스터 가속도를 높혔으며, 기존에 맹위를 떨치던 뉴 코튼, 벌쳐 등의 대장급 카트바디들이 칼질당해 몰락했다.[* '''카트의 스탯 자체를 깎아버렸다'''. 뉴 코튼의 경우 패치 이전 드리프트 탈출력이 100이 넘었으나, 패치 이후엔 70대에서 놀게 된다.] 결국 톡톡이 구사 자체가 힘들어진데다 기존에 톡톡이가 잘되던 걸로 먹고 들어가던 카트들도 망하며 톡톡이의 중요성 역시 급감해 버렸고, 뉴 마라톤의 낮은 드탈은 큰 문제가 아니게 되었다. 또한 역시 해당 패치로 인하여 팀부스터 딜레이[* 일명 팀딜.]시간이 1초에서 2초~2.5초로 늘어나 버렸는데[* 일반 부스터가 보통 2.9초 정도였다. 거의 일반 부스터 하나 쓰는 정도의 시간동안 팀딜이 걸렸다는 것.], 이때 '''3.3초 정도로 긴 부스터 지속시간'''[* 수치상 1340. '''X, V1엔진 기준으로 유니크 파츠 20은 가뿐히 뛰어넘는''' 수치이다.]을 지니고 있어 팀 부스터 관리에 유리하고 '''강력한 출발 부스터'''를 갖춘데다 카트바디 자체의 기본 성능도 준수하던 뉴 마라톤이 재조명되며 마라톤 시리즈 사상 유례없는 전성기를 맞았다. 하술하듯 뉴 마라톤 S가 리그 카트바디로 선정되어 크게 활약하기도 했고, '''Black-H''' 강화형, 일명 뉴마블은 1대장 자리까지 거머쥐는 영광을 누렸다. [[뉴 스펙터 드래곤]][* 속도 패치이후 등장한 카트바디 중 최초로 100 이상의 드탈을 지니고 있었다. 톡톡이 부활의 신호탄.],[[뉴 스토커]][* 역시 드탈이 100이었던데다 출발 부스터 성능이 뉴 마라톤 순정과 같았다.]가 사기적인 성능을 지니고 출시된 뒤에도 좋은 주행능력과 팀부스터 관리능력, 괜찮은 보급도[* 뉴 스펙터 드래곤과 뉴 스토커는 --선승진 내내 유저들 돈주머니를 짜먹는--악랄한 '''빙고'''로 출시되어 극소수만 가질 수 있었다. 오히려 그 빙고 보상으로 나온 메달 갸차로 뉴마블을 뽑는게 더 확률이 높았으니.] 덕에 뉴마블의 인기는 여전했다. 하지만 트랜스포머 제휴와 함께 '''[[줌인(카트라이더)|줌인 현상]]'''이 생기며 [* 다른 뉴 엔진 카트바디들은 변신 시간이 0.1초 정도로 매우 짧아 줌인 현상이 사실상 일어나지 않았지만 뉴 마라톤은 변신 시간이 0.22초로 그 두배이상 길었기에 줌인 현상으로 인한 감속이 뉴엔진 카트바디들 중 유난히 심했다.] 큰 타격을 입고 몰락했다. 거기에 팀 부스터 딜레이 시간이 다시 줄어들어 뉴 마라톤이 내세우던 장점인 팀부 관리 능력이 퇴색되었고, 나중엔 [[뉴 박스터]]가 완벽한 상위호환으로 출시되며 완전히 고인이 되었다. 이후 후속인 [[마라톤 9]]와 [[마라톤 X]]가 모두 쓰레기로 출시되면서 마라톤 시리즈는 2021년 [[파이어 마라톤 V1]]이 출시될때까지 기나긴 암흑기를 겪게 된다. == 파생 카트바디 == === 일반 플로터 강화형 === 뉴 마라톤에 일반 플로터 강화가 되어 있는 파생형. 외형은 대기실에서 플로터가 떠다니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 마라톤과 완전히 동일하다. * 뉴 마라톤 S [[파일:뉴마라톤S설명.png]]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3, 변신 부스터 가속도 +3'''의 S 타입 강화가 기본 장착된 형태. 하술하듯 리그에서 사용되었다. * 뉴 마라톤 B [[파일:뉴마라톤B설명.png]]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게이지 충전량 +3'''의 B 타입 강화 2종이 기본 장착된 형태. === 뉴 마라톤 Black-H === [[파일:뉴마라톤블H설명.png]] 레어 플로터가 장착된 뉴 마라톤의 Black 버전.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3, 드리프트 탈출력 +3, 변신 부스터 가속도 +2'''의 H 타입 강화 3종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었다. 속도 패치 이후 가장 오래 쓰였다. 일명 '''뉴마블'''. '''뉴 마라톤의 꽃.''' 기존 뉴 마라톤의 장점이 더욱 극대화되어 '''1대장'''으로 군림한 뉴 마라톤 전성기의 주역. [[뉴 스펙터 드래곤]]을 비롯한 고성능 카트바디가 출시된 뒤에도 [[줌인(카트라이더)|줌인]]으로 강제퇴장당할때까지 계속 쓰일 정도로 공방에서 사랑받았다. 보급도도 국민 카트 소리 들을 정도로 괜찮았다. === 뉴 마라톤 White-C === 드리프트 탈출력 +3,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증가 +2, 변신 부스터 가속도 +2의 C 타입 강화 3종이 기본 장착된 형태. 이름대로 흰색 고정도색이었다. === 뉴 마라톤 P === PC방 전용 카트로, PC방 이벤트로 획득할 수 있었던 뉴 마라톤 시리즈. 색상은 보라색 고정도색이었으며,P-S형과 P-B형 두가지가 있었다. 현재는 획득할 수 없다. PC방에서 뉴 마라톤 P-S,뉴 마라톤 P-B로 42.195km[* 실제 마라톤 경기에서 달리는 거리와 같다.] 주행시 마라토너 엠블럼을 획득하는 퀘스트와 마라톤 Orange 획득 퀘스트가 존재했다. === 뉴 마라톤 제트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기념으로 출시되었던 카트바디. 이름의 제트 도 ZERO를 비튼 것이다. 색상 역시 제트 블루 고정도색. === 뉴 마라톤 Orange === PC방에서 제공되는 뉴 마라톤 P-S나 P-B로 421.95km를 달리면[* 해당 퀘스트는 악명 높던 [[마라톤 Z7 LE]] 퀘스트와 비슷하나, 그 조건이 훨씬 완화되었다.]보상으로 주어지던 카트바디. == 탑승 선수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 로얄]]에서 뉴 마라톤 S가 리그 카트바디로 선정된 바 있다.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기준 || * CJ 레이싱: [[전대웅]](SA) * E-Rain: [[이중대]](SA) * Team 106: 이동민 * 인제스피디움: [[이중선]](SA) * SL 모터스포츠: 박건웅 * 팀 챔피언스: [[박현호]](SA) *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박인재]](SA), 정재훈 * Motortime: [[강진우]](SA), 정현우 시즌 제로에서는 당시 긴 부스터 길이와 빠른 출발 부스터 및 [[톡톡이]]의 너프로 인해 스피드 에이스 전용 카트바디로 주목받았다. * 시즌 제로 결승전에서 [[박인재]]가 에이스 결정전에서 뉴 마라톤 S를 탑승하여 긴 부스터 길이를 활용한 빌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결승에서 '''[[뉴 세이버]]를 탑승한 [[유영혁]]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적이 있다.'''[* 박인재는 마라톤의 장점인 긴 부스터 길이는 극대화시키면서 뉴 세이버의 장점인 톡톡이 가속은 무력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몸싸움과 라인으로 유영혁을 압박했고, 그 결과 유영혁은 부스터 개수 손해를 보게 되었고 다리 구간에서 그만 코너에 박고 말았다. ] * 시즌 제로에서 서한-퍼플 모터스포트 팀의 정재훈이 뉴 마라톤 S를 탑승하고 생각 이상으로 잘해주면서 서한-퍼플 스피드전의 숨겨진 공신이 되었다. 신인 치고는 활약이 좋았기 때문에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리그에서 볼 수 없게 된 것이 아쉬울 따름.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 로얄]] 기준 || * 배틀 로얄 때는 [[코튼 9]]의 출시로 다소 빛이 바랬지만 뉴 엔진이 아직 현역이던 시절이라 러너들이 자주 탑승했다. == 여담 == [youtube(qs1Q4kkGLUo)] * 전용 테마곡이 존재한다.[* 사실 이는 모든 뉴엔진 기본 5대 시리즈가 그렇다.] * [[마라톤 PRO]]이후로 다시 상점판매가 재개된 첫 마라톤 시리즈 카트바디이다.[* SR~HT엔진 시기엔 마라톤 시리즈의 상점판매가 중단되고 PC방 카트나 보상 등으로 제한적으로만 탑승할 수 있었다.] * [[파이어 마라톤 V1]]등장 이전까지 마라톤 시리즈의 사실상 유일한 전성기로 평가받았다. * 마라톤 시리즈 최초로 리그에서 사용된 카트바디다. * '''[[줌인(카트라이더)|줌인 현상]]의 가장 큰 피해 카트바디이다.''' 속도 패치로 뉴 코튼이 몰락한 이후 긴 부스터 길이와 준수한 성능으로 인기를 끌며 전성기를 누리던 와중 줌인 현상이 생겼는데, 뉴 마라톤은 줌인으로 인한 감속 현상이 심하여 몰락하고 '''줌라톤'''이라는 멸칭까지 붙게 된다. 마침 상점이 폐지된지 얼마 안된 상황에서 일어난 버그라 줌인 현상 자체가 뉴마블을 떡락시켜 뽑기 카트에 과금을 유도하기 위한 고의적인 버그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만약 줌인 현상이 없었다면 뉴 마라톤의 수명이 몇개월은 늘어났을 지도 모른다.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줌인(카트라이더)]] * [[카트라이더 2014]]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분류:2013년 이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