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涙のあとに''' }}} [youtube(/oHlpPnVVp_g)][* 피아노로 연주하면 이렇게 된다.[[https://youtu.be/_WXw-CVW3TQ|#]]] [[학교괴담(애니메이션)|학교괴담]]의 OST다. [[학교괴담(애니메이션)|학교괴담]]의 [[OST]] 중에서 가장 유명하며 주로 슬픈 장면이 등장하는 에피소드에서 이 음악이 나온다. 작곡가는 [[와다 카오루]]다. 같은 작곡가가 만든 [[이누야샤]]의 대표적인 OST인 [[이누야샤(애니메이션 1기)/주제가 #s-5.1|시대를 초월한 마음]]과 음이 거의 동일하지만, 이쪽이 조금 더 음이 낮고 템포도 살짝 느린 편이다.[* 시대를 초월한 마음은 사 단조(내림나 장조)이며 이 곡은 다 장조(가 단조)로 [[조성]]이 한음 정도 더 높다. 또한 [[코드]] 진행이 미묘하게 다르다.][* 멜로디의 경우 미↘솔↘라↘ 라↘도↗레↗ 미↗솔↗레↗ 도↗레↗라↘ 도↗레↗ 미↗레↗라↘ 시↘라↘솔↘ 미↘ 로 진행된다. 시대를 초월한 마음은 레↘파↘솔↘ 솔↘시b↘도↗ 레↗파↗레↗ 도↗시b↘솔↘ 레↗도↗솔↘ 레↗도↗솔↘ 파↘ 레↘ 로 진행되며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르다.][* 실제로 음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 시대를 초월한 마음은 이누야샤와 카고메를 상징하는, 아무리 헤어져 있어도 결국 다시 만나게 됨을 상징하지만 이 노래는 사용된 사례만 봐도 '''헤어진 사람과 두 번 다시 만날 수 없는 비통함'''을 상징하는 노래이기 때문이다.] 물론 양쪽 모두 작품을 대표하는 OST라는 것은 변함없다. 국내판에서는 '''슬픔의 그 뒤에'''이지만 '''[[번역체|슬픔의 후에]]'''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 술 더 떠 슬픔의 후'''예'''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미야노시타 사츠키([[나해미]])의 아버지인 미야노시타 레이이치로([[학교괴담(애니메이션)/기타 등장인물#s-1|나진우]])가 "사츠키가 만든 만두는 꼭 [[윤희숙(학교괴담)|엄마]]가 만든 것과 똑같다"라고 할 때도 이 곡이 삽입되었다. == 이 음악이 나오는 학교괴담의 에피소드 == * 1회 [[다크시니]] 편 : 사츠키와 케이치로가 [[요괴일기]]에 적힌 엄마의 이름을 보는 장면에 삽입. * 4회 [[피아노 귀신]] 편 : 약간 낮은 브금으로 후반부에 나왔다. 피아노 귀신의 봉인이 성공한 후 아오야마 하지메([[장영빈]])가 사츠키를 업고 일행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에서 나온다. * '''9회''' [[하양 발]] 편 : 최종회와 함께 이 음악이 가장 잘 알려진 에피소드다. 본 브금이 나온 장면은 하양발이 봉인될 때.[* 봉인 매개체인 하양발을 닮은 인형이 요괴화된 하양발한테 닿자 눈이 원래의 하양발 눈으로 돌아오는 연출이 있다.] * '''12회''' [[저주의 간호사]] 편 : 에피소드 제목을 알려줄 때 평소에 들려주던 것과 다르게 이 브금으로 나왔다. 또한 최후반부 장면에도 이것이 삽입되는데 이건 직접 볼 것을 추천한다. * 17회 [[유설희]] 편 : 설희를 봉인시키는 주문을 쓸 때 나온다.[* 여담으로 일본판에서는 이 브금이 나오는 씬에서 설희가 봉인되어갈 때 원래 목소리로 돌아가는 연출이 나와 그 슬픔이 배가 된다.] * '''최종회''' [[대요마]] 편 : 마지막에 아마노자쿠([[다크시니]])가 희생하며 [[대요마]]를 봉인시키는 장면에서 이 곡이 나온다. 또한 이 에피소드의 예고편에 이 음악이 쓰이기도 했다. [[분류:학교괴담(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