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공항)] ||<-2> {{{#fff '''{{{+2 누메아 라 통투타 국제공항}}}'''[br]'''Aéroport international de Nouméa-La Tontouta[br]La Tontouta International Airport'''}}} || ||<-2> [[파일:NoumeaAirport_logo.png|width=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 tontuta airport.jpg|width=100%]]}}} || ||<-2> IATA: '''NOU''' / ICAO: '''NWWW''' || ||<-2> '''{{{#white 개요}}}'''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위치''' ||프랑스 [[누벨칼레도니]] [[누메아]] || || '''종류''' ||군사 및 공용 || || '''운영''' ||누벨칼레도니 상공회의소 || || '''활주로''' ||'''11/29''' - (3,250m x 45m) || || '''고도''' ||16 m (51 ft) || || '''좌표''' ||남위 22도 00분 59초[br]동경 166도 12분 58초 || || '''웹사이트''' ||[[https://www.aeroports.cci.nc/en/tontouta|[[파일:NoumeaAirport_logo.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 Aéroport de Nouméa - La Tontouta,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ll_-_Aéroport_Nouméa-La_Tontouta.jpg|width=100%]]}}}|| || {{{#000000 터미널의 내부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Aircalin_Airbus_A330_at_La_Tontouta_Airport.jpg|width=100%]]}}}|| || {{{#000000 공항 주기장의 모습}}} || [[프랑스]]의 해외 특별 공동체인 [[누벨칼레도니]]의 중심 항공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이다. 중심도시인 [[누메아]]에서 약 50km 떨어진 라 통투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항 이름도 거기서 온 것이다. 누메아 도심 인근에 위치한 [[누메아 마젠타 공항]]이 [[누벨칼레도니]] 공동체 내 작은 섬들과 본섬의 연결고리라면, 라 통투타 국제 공항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외국과의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연간 공항 이용객 수는 [[2017년]] 기준 529,349명을 기록했다. [[제 2차 세계대전]]때 미군 공군기지로서 건설된 역사 때문에 아직도 공항 한 켠에 군 기지가 있으며, 186 리외트낭 폴 클랭 공군 기지로 불린다. == 시설 == === 활주로 === 3,250m의 길이에 폭은 45m인 포장 활주로 1개를 갖추고 있다. === 터미널 === 공항은 1개의 터미널을 갖추고 있으며, 활주로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21,700[[제곱미터]]의 면적을 가졌지만, 17,414제곱미터 정도만 사용되고 있으며, 2012년에 완료된 확장공사 이전에는 면적이 단 10,000제곱미터밖에 되지 않았다. 25개의 탑승구 중 2개의 항공기 탑승/하차용 가도교가 있다. 언급한대로 공항에는 25개의 탑승구가 있고, 1부터 25까지 번호가 매겨져있다. 이중 12개인 13번에서 24번까지의 탑승구는 2011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에어칼린]]이 사용한다. 다른 12개인 1번부터 12번까지의 탑승구는 2012년 확장공사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콴타스항공]], [[에어 뉴질랜드]], [[에어 바누아투]]가 사용한다. 남은 1개의 탑승구는 탑승에 쓰이는 일은 적고 주로 규격 외 수하물의 처리에 사용된다. 터미널은 2012년 확장 이후 연간 50만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으며, 2022년까지의 추가적인 공사를 통해 연간 70만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 한다. == 운항 노선 == === 여객 노선 === ||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 [[에어칼린]]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SB ||[[오클랜드 국제공항|오클랜드]], [[브리즈번 국제공항|브리즈번]], [[멜버른 국제공항|멜버른]], [[피지|나디]],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 간사이]], [[바누아투|포트 빌라 보에르필드]],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 [[타히티 파아아 국제공항|타히티 파아아]], [[나리타 국제공항|도쿄 나리타]], [[왈리스 히히포 공항|왈리스 히히포]] '''차터''':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항저우 샤오산]],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톈진 빈하이]]|| || [[에어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NZ ||[[오클랜드 국제공항|오클랜드]]|| || [[에어 바누아투]] ||[[파일:바누아투 국기.svg|width=30]]|| NF ||[[바누아투|포트 빌라 보에르필드]], [[바누아투|루간빌 산토 페코아]]|| || [[콴타스]]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QF ||[[브리즈번 국제공항|브리즈번]], [[멜버른 국제공항|멜버른]],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 === 화물 노선 === ||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 퍼시픽 에어 익스프레스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PE ||[[브리즈번 국제공항|브리즈번]]|| [[분류:프랑스의 공항]][[분류:누벨칼레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