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0460 , #0659D6)" {{{#f7f7f7 ''' 누리 빌게 제일란 감독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 제66회 [br] ([[2013년]]) ''' || {{{+1 → }}} || ''' 제67회 [br] ([[2014년]]) ''' || {{{+1 → }}} || ''' [[2015년 칸 영화제|제68회]] [br] ([[2015년]]) ''' || || 압델라티프 케시시[br][[레아 세두]][br][[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이례적으로 작품이 아닌 배우가 황금종려상을 공동수상했다. 황금종려상의 수상작의 배우들은 배우상을 수상할 수 없는 규정 때문에 심사위원들의 결정으로 배우들에게 황금종려상을 수여한 최초의 사례이다.][br]([[가장 따뜻한 색, 블루]]) || {{{+1 → }}} || '''누리 빌게 제일란[br]([[윈터 슬립]])''' || {{{+1 → }}} || [[자크 오디아르]][br]([[디판]]) || ||<-5> [[칸 영화제/그랑프리|{{{#e5d85c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 ''' 제55회 [br] ([[2002년]]) ''' || {{{+1 → }}} || ''' 제56회 [br] ([[2003년]]) ''' || {{{+1 → }}} || ''' 제57회 [br] ([[2004년]]) ''' || || [[아키 카우리스마키]][br](과거가 없는 남자) || {{{+1 → }}} || '''누리 빌게 제일란[br]([[우작]])''' || {{{+1 → }}} || [[박찬욱]][br]([[올드보이(2003)|올드보이]]) || || ''' 제63회 [br] ([[2010년]]) ''' || {{{+1 → }}} || ''' 제64회 [br] ([[2011년]]) ''' || {{{+1 → }}} || ''' 제65회 [br] ([[2012년]]) ''' || || 그자비에 보부아[br](신과 인간) || {{{+1 → }}} || '''누리 빌게 제일란''' / [[다르덴 형제]][br]'''(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 ([[자전거 탄 소년]]) || {{{+1 → }}} || 마테오 가로네[br](리얼리티: 꿈의 미로) || ||<-5> [[칸 영화제/감독상|{{{#e5d85c '''감독상'''}}}]] || || ''' 제60회 [br] ([[2007년]]) ''' || {{{+1 → }}} || ''' 제61회 [br] ([[2008년]]) ''' || {{{+1 → }}} || ''' [[2009년 칸 영화제|제62회]] [br] ([[2009년]]) ''' || || 줄리앙 슈나벨[br]([[잠수종과 나비]]) || {{{+1 → }}} || '''누리 빌게 제일란[br](쓰리 몽키스)''' || {{{+1 → }}} || 브릴얀테 멘도사[br](일살) || ---- }}} || ||<-2>
{{{+1 '''{{{#white 누리 빌게 제일란}}}[br]Nuri Bilge Ceyl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누빌제.jpg|width=100%]]}}} || || '''{{{#white 이름}}}''' ||'''누리 빌게 제일란 (Nuri Bilge Ceylan, [ˈnuːɾi ˈbilɟe ˈdʒejlan])'''|| || '''{{{#white 국적}}}'''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8]] [[튀르키예]] || ||<|2> '''{{{#white 출생}}}''' ||[[1959년]] [[1월 26일]] ^^(만 [age(1959-01-26)]세)^^ || ||[[튀르키예]] [[이스탄불]]|| || '''{{{#white 직업}}}'''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사진가, 배우|| ||<|2> '''{{{#white 학력}}}''' ||보스포로스 대학 공학 전공|| ||미마르 시난 예술 대학 영화 연출 전공|| == 개요 == [[튀르키예]]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사진가, 배우. 개인의 소외감, [[실존주의]], 일상 속의 단조로움 등의 주제를 사진작가로서의 경험이 담긴 정적인 샷과 롱테이크로 담아낸 자연, 침묵으로 청각적 위협을 주는 기법 등으로 표현하는 감독.[* 그래서인지 영화가 전체적으로 문학적이다, 혹은 졸리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허니를 통해 황금곰상을 받은 세미 카플라노글루와 함께 2000년대 이후 해외에서 인지도가 높은 터키 영화 감독이다. == 약력 == 1959년 튀르키예 [[이스탄불]] 출생으로,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예니스로 이사한 후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성장한 후 보스포로스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하였으나 엔지니어가 되고 싶지는 않아 한 동안은 사진작가로 활동했으며, 한동한 진짜 하고싶은 일을 찾기위해 런던과 네팔, 인도 등지를 떠돌다가 [[로만 폴란스키]]가 쓴 자서전을 읽고 영화 감독의 꿈을 꾸게되고, 터키로 돌아와 미마르 시난 예술 대학에서 영화연출을 공부한 뒤 영화감독이 되었다. 자신의 고향 예니스를 배경으로 조부모, 부모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반영한 첫 장편 데뷔작 <작은 마을>(1997)이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칼리가리상과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등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파일:우작 국내 포스터.jpg|width=60%]] 세 번째 장편인 <[[우작]]> (2002)으로 [[칸 영화제]] [[칸 영화제/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2008년 <쓰리 몽키스>가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 수상했다. 2011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가 [[칸 영화제/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를 수상하면서, 칸이 사랑하는 거장 중 하나로꼽히게 된다. 2014년작 <[[윈터 슬립]]>은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터키 감독으로서는 [[욜]]의 이을마즈 귀네이 이후 32년만의 2번째 황금종려상 수상자가 되었다. == 필모그래피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연출}}}''' || '''{{{#white 각본}}}''' || '''{{{#white 제작}}}''' || '''{{{#white 비고}}}''' || || 1997 || 작은 마을[br]''Kasaba'' || O || O || O || 장편 데뷔작 || || 1999 || 5월의 구름[br]''Mayıs Sıkıntısı'' || O || O || O || || || 2002 || [[우작]][br]''Uzak'' || O || O || O || || || 2006 || 기후[br]''İklimler'' || O || O || O || || || 2008 || 쓰리 몽키스[br]''Üç Maymun'' || O || O || O || || || 2011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br]''Bir Zamanlar Anadolu'da'' || O || O || O || || || 2014 || [[윈터 슬립]][br]''Kış Uykusu'' || O || O || O || || || 2018 || 야생 배나무[br]''Ahlat Ağacı'' || O || O || O || || || 2023 || 건초에 대하여[br]''Kuru Otlar Üstüne'' || O || O || O || || == 기타 == * 201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투표에서 [[오즈 야스지로]]의 [[만춘]] (1949), [[동경이야기]] (1953), [[로베르 브레송]]의 [[사형수 탈출하다]] (1956), 당나귀 발타자르 (1966),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정사]] (1960), 태양은 외로워 (1962), [[잉마르 베리만]]의 [[수치]] (1963) 결혼 풍경 (1973) 에 투표한 바 있다.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부터 영화 분량이 길어져 평균 3시간 분량을 자랑한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비교적 짧은 우작과 5월의 구름, 황금종려상을 받은 윈터 슬립 정도만 개봉했다. 수입사도 문필름코리아와 백두대간 같은 곳으로 한정적인 편이다. [[분류:튀르키예의 인물]][[분류:1959년 출생]][[분류:이스탄불 출신 인물]][[분류: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