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헨리페.jpg]] '''헨리페''' 언커먼 / 포인트 3 / 라이프 30 턴 개시시 랜덤한 자신필드 추종자 1의 공/체 +1. 랜덤한 상대필드 추종자 1의 공/체 -1. {{{#0000ff 이 몸이 상대해주지. 영광으로 알도록 해. 뇌랑 헨리페가 바로 이 몸이야.}}} [[파일:뇌랑 헨리페.jpg]] '''뇌랑 헨리페''' 레어 / 포인트 1 / 라이프 40 턴 개시시 랜덤한 자신필드 추종자 1의 공/체 +1/+2. 랜덤한 상대필드 추종자 1의 공/체 -1/-2. {{{#0000ff 제법인데? 장난은 이제 끝이야. 내가 뇌랑이라 불리는 이유를 알려주지.}}} '''헨리페''' 언커먼 / 포인트 1 / 라이프 30 턴 개시시 자신필드 랜덤한 추종자 1의 공/체 +1/+2. 자신필드에 추종자가 없을경우 상대필드 랜덤한 추종자 1의 공/체 -1/-2 {{{#0000ff [[이 몸과 상대한 것만으로도 대대손손 영광인 것이다.]][[진심으로 힘을 끌어올리는 헨리페는 뇌랑이라는 칭호에 딱 들어맞는 모습이었다. -리오의 메모에서]]}}} [* 보스 캐릭터와 클리어 후 얻을 수 있는 캐릭터의 일러스트가 똑같다.] 2012년 1월 25일자로 추가된 신 던전 '시험의 전당'의 보스. 대륙의 7성수 중 하나이며 갓트와 놀드를 아는 듯한 발언을 한다. 덱은 크룩스기사단 + 신성연구회를 섞어놓은 덱을 사용하며 더블레어 스펠은 평화애호가와 교국의 지령을 쓴다. ~~평소 파이트에서는 거저 줘도 안쓸~~ 핀테일과 싱클레어가 짜증의 근원. 신성연구회장도 열받는다. 보스치곤 능력이 허접한데? 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플레이어가 거의 기본덱에 가까운 덱을 들고 싸워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런 생각은 접게 될 것이다(...) 사실 완전히 기본덱은 아니고 후반부부터 13포인트, 33포인트 레어 추종자 각 1장과 더블레어 스펠 1장이 추가되긴 하지만... EP1, EP2의 33포 레어 추종자 / 더블레어 스펠카드를 주는 것 같은데, 공립 같은 경우 주는 카드가 하필이면 선도부장 레이나 센트리버 / 재회다. 만약 나나이 / 균형을 줬다면 훨씬 쉬웠을 것... 또 사립의 경우는 숙명의 라이벌 세븐 / 매스리콜을 주는데, 헨리페의 주력카드가 '''4사이즈'''의 핀테일과 싱클레어, '''5사이즈'''의 신성연구회장 따위이기 때문에 3사이즈 이하를 날리는 매스리콜은 도움이 안 된다! 패치 당일 기준으로 공립이나 사립으로 이겼다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는 반면 크룩스 클리어자는 매우 많다. 애초에 크룩스 기본덱이 타 소속에 비해 굉장히 좋기도 하고, '''소속감'''을 이용하여 헨리페가 열심히 키워놓은 추종자를 가져올 수 있는 크룩스가 좋은 건 당연지사. ~~평소에는 하찮게 여겼던~~ 2/2버프와 2/2디버프가 얼마나 무서운지 알 수 있는 곳. 결국 하루만에 하향 먹어서 라이프 10이 줄어들고 버프 / 디버프량도 감소되었다. 또한 플레이어에게도 더블레어와 레어가 더 추가되었다. 그래도 어렵긴 어렵지만... 처음 던전 입장 전에 "자네의 이름은 뭔가?"라고 물어보는데(이 때 플레이어의 캐릭터와 덱이 결정됨), 그 때문에 [[도지삽니다|도지사]] 드립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던전 시작할 때는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때는 아니란다]]라는 드립도 친다(...) 복장이 기모노라고 까는 사람도 있는데 어차피 리니아가 메이드들도 다 기모노 형태의 메이드복을 입고 있었다. 이제와서 새삼스럽게... 10회 클리어 후 얻을 수 있는 캐릭터 카드의 경우 무소속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지만 성능은 모호한 편. 나쁘지는 않고 오히려 좋은 편이기는 하지만 획득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굳이 기를 쓰고 얻으려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중론. 차라리 사무소장 이스프릿을 쓰는 게 낫지... 라는 건 조금 옛날 이야기고, 난이도 하향 먹은 지금은 초반에 어느정도 노려볼 만한 캐카라는 평이 대세. 자기 덱의 구성과 관계없이 얻을 수 있다는 점은 분명히 큰 강점이다. [[늑대와 향신료]]의 [[호로(늑대와 향신료)|호로]]를 처음 본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처럼 여우로 생각할 수 있지만, 확실하게 늑대(狼 - 이리 랑)다. 보스 캐카를 봐도 분명 번개로 이루어진 늑대(雷狼)의 모습이 보인다. 동물귀 여자사람의 모습은 분신일 뿐이고 타고 있는 번개 늑대가 본체라는 설도 있다. [[성견조 갓트]]나 [[금사자 놀드]]도 본모습은 짐승이지만 인간형이 있는 것처럼 단순히 인간형과 본모습일 수도 있지만, 두 형태가 한번에 공존하는 것은 특이하다면 특이한 부분. ||'''뇌랑 헨리페''' 트리플 레어 / 포인트 100 / 사이즈 3 / 덱제한 1 ▶공격전: 상대 무덤 랜덤한 카드 2를 제거한다. 그 경우 자신 덱/핸드/필드 추종자 전체 본래 특수능력이 된다. 이 특수능력은 사라지지도 변경되지도 않는다. 공/방/체 11/2/15 {{{#0000ff 멍청하긴… 착각하지 마라. 단지 조금 흥미가 생긴 것이다. 가만히 있거라. 조금이라도 내 몸에 손댔다간 잿더미로 만들어 줄 것이다.}}}|| 스텟 깡패로 유명한 무소속 더블레어인 제 3목격자 카나.DTD의 뺨을 후려치는 스텟이다. 참고로 DTD는 사이즈가 5인데 비해서 헨리페는 무려 3.. DTD가 공격 1/체력 2가 더 높지만 사이즈차이를 생각하면 어마어마 깡패스탯이다. 게다가 ''''이 특수능력은 사라지지도 변경되지도 않는다. ''''라는 특수능력이 붙어서 여타 스펠이나 이스프릿을 데리고 와도 특능을 지울수가 없다!![* 저 문구가 붙은 특수능력을 '가져오기'할 경우 대상의 특수능력이 사라지지는 않고 복사만 된다. 그리고 특이점 리오 등을 통해서 해당 추종자의 이름을 다른 추종자로 바꾸더라도 저 특수능력은 사라지지 않는다. 물론 그 상태에서 본래특수능력으로 돌아가는 특수능력 또는 그와 같은 효과를 받아도 저 특수능력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저 기존의 리오가 가지고 있던 특수능력도 추가될 뿐이다.][* 저 삭제 또는 변경불가 특능을 가진 추종자는 같은 트리플레어급인 '경계의 수호자 팔라스' 뿐이다.] ~~안돼. 특능이 지워지질 않아. 안돼. 이스프릿을 정지합니다~~ 그리고 턴개시시도 아니고 무려 '''공격전'''마다 상대 무덤을 두개씩 날리고 다른 추종자들의 특능도 복구시켜준다. 사람들의 반응은 대부분 트리플레어 중에서도 필두급의 사기라는 반응.. 하지만 트리플레어이기때문에 과연 여기서 너프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분류:소드걸스/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