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2> '''베트남 공산당 제6대 총비서[br]{{{#fdfa00 {{{+1 농득마인}}}[br]Nông Đức Mạn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px-Mr._Nong_Duc_Manh.jpg|width=100%]]}}} || || '''이름''' ||농득마인[br](Nông Đức Mạnh) || ||<|2> '''출생''' ||[[1940년]] [[9월 11일]] ([age(1940-09-11)]세) || ||[[인도차이나 연방]] [[박깐 성]]|| ||<|2> '''재위''' ||<#E7E7E7,#1F2023>[[베트남 공산당]]의 6대 사무총장|| ||[[2001년]] [[4월 22일]] ~ [[2011년]] [[1월 19일]] || || '''정당''' ||[[베트남 공산당]]|| [목차] [clearfix] == 개요 == 농득마인(베트남어: Nông Đức Mạnh, 農德孟, 농덕맹, 1940년 9월 11일 ~) 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제6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지냈다. == 생애 == 그의 공식 경력에 보면 그는 [[따이 족]]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고향은 [[박깐 성]] 나리이다. 그는 벌목꾼으로 일하다 1958년 혁명 전선에 가담했다. 1962-63년 그는 박깐 성 산림청의 직책을 얻어 삼림 관련 기술자 고문으로 일했으며 1963년 7월 5일 정식 직원으로 채용되면서 1964년 당국자의 호칭을 얻었다. 1963-65년 삼림 경영팀의 부사장으로 일하다 다시 공부를 시작해 하노이외국어대학교에서 65-66년간 [[러시아어]]를 가르쳤다. 후에 [[러시아]] [[레닌그라드]]로 여행을 떠나 1971년까지 지역 삼림연수소에서 일했다. 모국으로 돌아와 박타이주 삼림부 최고 고문에 올랐다. 1973-74년 박타이주의 푸루옹 삼림 연구소장으로 일했으며 76년까지 정당학교에서 수학했다. 1976-80년까지 주 산림청 고문과 주 산림청의 건설회사 감독직을 맡았다. 계속된 승진을 통해 1976-83년까지 주 상임위원직에 올랐다. 1984년 위원회의 보좌관 직을 맡았고, 1986년 11월 위원회 회장에 올랐다. 6차 국민회의에서 대체 의원으로 선정된 후 1989년 3월 회의에서 중앙 의회 의원직에 진출했다. 1991년 이후 공산당 정치국 일원에 오른다.[* Communist Party of Vietnam. 9th National Congress: Documents. 하노이: The Gioi Publishers, 2001. p. 261-263. ] 예전부터 계속 그가 [[호찌민]] 주석의 아들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2001년 4월 공산당 총비서에 그가 오르자 한 기자가 이 소문에 대해 명확히 밝혀줄 것인지 아니면 부인할 것인지에 대해 물었다. 그는 모든 베트남 사람들은 [[호찌민]]의 자식들이라고 대답했다. 2002년 1월 타임 지의 인터뷰 때 이 질문이 나오자 그는 이 소문 자체를 부인하며 모든 이들이 영적 지도자로 [[호찌민]]을 꼽는다는 데 동의했다.[* Time Asia, "We don't want to keep secrets anymore Archived 2006년 8월 13일 - 웨이백 머신", 22 January 2002.] 많은 사람들이 그를 개혁개방주의자로 규정하며 베트남이 2020년까지 산업화 국가로 인정받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분류:1940년 출생]][[분류:베트남 공산당 총비서]][[분류:베트남 국회주석]][[분류:아시아의 독재자]][[분류:베트남 공산당 7기 정치부 위원]][[분류:베트남 공산당 8기 정치부 위원]][[분류:베트남 공산당 9기 정치부 위원]][[분류:베트남 공산당 10기 정치부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