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녹색 고리 성운의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2|{{{+1 '''Sh2-2'''}}}]][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3'''}}}[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4|{{{+1 '''Sh2-4'''}}}]][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5><:> [[RCW 목록|{{{#FFFFFF '''RCW 천체'''}}}]] || ||<:> [[Sh2-2|{{{+1 '''RCW 119'''}}}]][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RCW 120'''}}}[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4|{{{+1 '''RCW 121'''}}}]][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5><:> [[Gum 목록|{{{#FFFFFF '''Gum 천체'''}}}]] || ||<:> [[Sh2-2|{{{+1 '''Gum 57'''}}}]][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Gum 58'''}}}[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5|{{{+1 '''Gum 59'''}}}]][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 ||||<-3>
<:> {{{#FFFFFF {{{+3 '''녹색 고리 성운'''}}}}}} || ||<-3> [[파일:1024px-RCW_120.jpg|width=100%]] [br] {{{#FFFFFF {{{-3 촬영: [[스피처 우주 망원경|{{{#LightBlue Spitzer Space Telescope}}}]] ([[NASA|{{{#FFFFFF NASA}}}]], 2011)}}}}}}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7h 12m 23.2s || || {{{#FFFFFF 적위}}} || −38° 26′ 51.2″ || || {{{#FFFFFF 별자리}}} || [[전갈자리|{{{#3366aa 전갈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발광성운|{{{#3366aa 발광성운}}}]] [br][[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 || ||<-2> {{{#FFFFFF '''거리'''}}} || 4,300 [[광년|{{{#3366aa 광년}}}]] [br]1,318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 알려지지 않았다.]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6' X 6' || ||<-3> {{{#FFFFFF '''명칭'''}}} || ||<-3> [[Sh2|]]-2, [[RCW]] 120, [[Gum]] 58 || ==== 개요 ==== {{{+1 녹색 고리 성운/Green Ring Nebula}}} 녹색 고리 성운 또는 Sh2-3는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4,300 광년 떨어진 [[발광성운]]이다. ==== 상세 ==== 위 사진의 빨간 부분의 중심에 있는 [[O형 주계열성]]인 폭주성 TYC 7870-965-1이 대략 15만년 전에 성간가스가 존재하는 구역을 지나면서 발광성운 전체를 이온화시키고 있으며 성운 내부에선 최대 태양질량의 50배나 되는 질량을 가진 전주계열성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성운의 별 형성은 TYC 7870-965-1의 항성풍으로 인해 성운 내부의 성간가스와 먼지가 마치 [[호(수학)|호]] 모양처럼 생긴 충격파를 형성하게 되면서 촉진된다는 것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혀졌다. 또한 별 형성 촉진의 원인에 성운의 [[자기장]]도 포함되어 있다는 가설도 있다.[* 우선 성운에서 활발한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는 동쪽과 남쪽에서는 전리수소가스로 인해 자기장이 휘어지게 되면서 전리수소가스가 압축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별 형성이 일어나는 성운의 서쪽 부분에서는 자기장이 전리수소가스를 고정시킬만큼 강해 전리수소가스가 서로 압축되지 않는다고 한다.] == 찾는 방법 == [[NGC 6231]]에서 남동남쪽으로 대략 6도정도 떨어져 있으며 성운은 최소 12인치 이상의 망원경에서 희미하게나마 볼 수 있다고는 하나 정확한 정보는 아니다. == 관련 문서 == * [[O형 주계열성]] * [[전갈자리]] * [[샤플리스 목록]] [[분류:성운]][[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