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순우리말]][[분류:기상 현상]][[분류:대기과학]]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노을(동음이의어))] [목차] == 개요 == || [[파일:attachment/노을/1.jpg|width=330]] || {{{+1 [[해돋이|Sunrise^^(해돋이)^^]] 🌄 🌅 / [[해넘이|Sunset^^(해넘이)^^]] 🌇 🌆}}} [[태양]]이 뜨거나 질 무렵에 하늘이 붉게 보이는 현상. == 상세 == 태양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 때에는 [[햇빛]]이 [[대기권]]을 통과하는 경로가 길기 때문에 [[산란]]이 잘 되는 푸른색의 빛은 도중에서 없어지고 붉은색의 빛만 남는다. 이 빛이 하층의 [[구름]]입자 때문에 산란하면 구름은 붉게 보인다. 대기 중에 미세한 먼지나 연기 입자가 많이 포함된 날일수록 이들 입자로 인한 빛의 산란이 많이 이루어지므로 노을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하늘의 절반 이상이 노을인 날도 있다.[* 여기서의 산란은 [[레일리 산란]]에 해당된다.] == 종류 == === [[일출]] 노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출)] [[파일:external/baa387fdd1df15d80571ca800b361561a3381e2568fa0ccf2b24f4cc401b224d.jpg]] 해가 뜨기 시작할 때 나타나는 노을. === [[일몰]] 노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몰)] [[파일:attachment/일몰/15.jpg|width=100%]] 해가 지기 시작할 때 나타나는 노을.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노을, 놀, 해돋이, 해넘이, 일출, 일몰, [[황혼]], 석양, 헤지기([[제주어]]) || || [[영어|{{{#373a3c,#ddd '''영어'''}}}]] ||sunrise, sunset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霞]], 彩霞, 云霞, 霞光, 日沒, 日出, 晚霞, 暮色, 暮霞 ||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焼け, 映え ||}}}}}}}}} || == 여담 == * '아침노을은 비, 저녁노을은 갬'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고기압과 저기압의 접근에 의한 예측. 이와 같은 방법을 관천망기(觀天望氣)라고 한다.[* 우리 나라 날씨는 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근거는 있다.][* 실제로 [[2020년]] 1월 5일 아침에 유난히 노을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다음날 전국에 비, 눈이 내렸다. ] 하늘이 주황색으로 물드는 낭만적인 모습 덕분에 많은 이야기의 주요 장면들에서 시간적 배경이 되고는 한다. 이러한 연출이 하도 반복되어 [[클리셰]]가 되자 이제는 도리어 웃긴 장면 등에서 노을을 등장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간혹 좀 서글퍼지는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한다. [[사요나라를 가르쳐줘]]에서는 아예 [[지옥]]마냥 공포스럽고 기괴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종종 부분적으로 녹색의 노을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https://photohistory.tistory.com/17372|#]] * 참고로 화성처럼 대기가 희박한 [[행성]]의 노을은 푸른색이다. 이유는 대기층이 너무 얇아서 단파장도 산란이 잘되지 않아서 저녁에도 푸른색이 도달하며, 먼지를 직접 통과한 빛과 먼지를 돌아 지나온 빛이 만나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0120711020001046|#]] * 70년대에는 노을이 비표준어이고 준말인 놀이 표준어였던 적이 있어서, 당시에도 혼용하고는 있었지만 저녁노을을 저녁놀로 쓴 것이 꽤 있다. 현재도 노을을 "놀"로 줄여 쓰거나 아침놀 저녁놀로 써도 맞다. 아래의 동요 노을에서도 노을과 놀을 혼용하고 있다. * 어린 왕자에서 나오는 어린 왕자가 좋아하는 것이 노을을 보는 것이다. 다만 어린 왕자가 노을을 보는 때는 주로 우울하거나 슬플 때라고 한다. 그런데 어린 왕자가 사는 별은 너무 작아서[* 작중 [[바오밥나무]] 싹만 보면 삽을 들고 뽑아버리는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 별이 작아서 나무가 크게 자라 뿌리를 내렸다간 '''별이 산산조각날 테니까.'''] 의자를 조금만 움직여도 노을이 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하루에 43번이나 본 적이 있다고... * [[울트라 형제]] 중에 넷째인 [[울트라맨 잭]]은 '석양이 어울리는 울트라맨'으로도 유명한데, [[돌아온 울트라맨]] 본편 당시 석양을 배경으로 괴수와 우주의 침략자들과 싸운 적이 자주 있고, 석양을 배경으로 한 싸움에서도 인상적인 장면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 [[암살우주인 너클 성인]]의 흉계에 빠져 패배한 것이 너클 성인 일족 사이에서는 아주 유명한지, 훗날 [[울트라맨 타이가]]에 등장한 [[암살우주인 너클 성인/작중 행적#s-13|너클 성인 오데사]]의 과거 회상과 본편에서 타이가와의 싸움에서도 석양을 배경으로 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을(동음이의어), version=140,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