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 군주)] ||<-3> '''{{{#ece5b6 노(魯)나라 23대 국군[br]{{{+1 양공}}}[br] 襄公}}}''' || ||<-2> '''[[성씨|{{{#ece5b6 성}}}]]''' ||<-2> 희(姬) || ||<-2> '''[[본관|{{{#ece5b6 씨}}}]]''' ||<-2> 노(魯) || ||<-2> '''[[휘|{{{#ece5b6 휘}}}]]''' || 오(午) || ||<-2> '''{{{#ece5b6 아버지}}}''' ||<-2> [[노선공]](魯宣公) 희흑굉(姬黑肱)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574년 ~ 기원전 542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72년 ~ 기원전 54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나라]]의 23대 [[군주]]. [[노성공]]의 아들. [[희야]], [[노소공]], [[노정공]]의 아버지. 그는 노성공이 죽은 뒤 노후가 되었는데, 이때 그의 나이는 3살이라 여전히 [[삼환|삼환(三桓)]]이 실권을 장악했다. == 재위 기간 == 노양공 원년(기원전 572년), [[진(춘추오패)|진(晉)나라]]의 [[진여공]]이 [[난서|난서(欒書)]]에 의해 살해당하고 공손주가 [[진도공]]으로 즉위했다.[* 진여공이 서동을 총애해 그의 말을 듣고 6경을 견제하려다가 이런 참변을 당한 것이다.][* 진도공이 어려서 삼환씨에게 좌지우지된 노나라 꼴이 날 수도 있었지만 나이에 비해 총명해서 그런 참사는 벌어지지 않았고, 그것은 [[진경공(33대)|진경공]] 때 가서 노골화된다.] 노양공 4년(기원전 569년), 노양공은 진나라로 가서 진도공을 찾았다. 노양공 5년(기원전 568년), 계손행보가 죽으니 그는 계문자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 뒤는 아들 계무자가 이었다. 노양공 9년(기원전 564년), 진도공과 함께 [[정나라]]를 치고 [[위나라|위(衛)나라]]에서 성인식을 치렀다.[* 이 당시면 10대 초중반에 성인식을 치른다.] 그리고 계무자가 그것을 도왔다. 노양공 11년(기원전 562년), 삼환씨가 삼군을 나눠 가졌다.[* 군주만이 삼군을 총지휘할 수 있는데, 이리 나눠 가졌다는 것은 노나라의 군주의 권력이 여전히 미약함을 보여준다.] 노양공 12년(기원전 561년), 진나라에 입조했다. 노양공 16년(기원전 557년), [[진도공]]이 죽고 [[진평공]]이 즉위했다. 노양공 21년(기원전 552년), 노양공은 진평공을 알현했다. 노양공 22년(기원전 551년), 유가의 창시자인 [[공자]](孔子)가 탄생했다. ~~노나라를 후세에까지 알린 1등 공신이시다.~~ 노양공 29년(기원전 544년), 오나라의 연릉 계자가 노나라에서 [[주나라]]의 음악에 대해 묻고 그 뜻을 알아차리니 사람들이 그를 존경하였다. 노양공31년(기원전 542년), 노양공이 죽고 [[희야]](姬野)가 즉위했다. [각주] [[분류:노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574년 출생]][[분류:기원전 54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