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2 노미오와 줄리엣}}}''' (2011)[br]''Gnomeo & Julie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미오와 줄리엣.jpg|width=100%]]}}} || || '''{{{#000000 장르}}}''' ||[[애니메이션]], [[코미디]], [[판타지]], [[뮤지컬]]|| || '''{{{#000000 감독}}}''' ||켈리 애즈베리|| || '''{{{#000000 각본}}}''' ||존 R. 스미스[br]롭 스프래클링[br]켈리 애즈베리[br]마크 버턴[br]앤디 라일리[br]케빈 세실[br]에밀리 쿡[br]캐시 그린버그[br]스티브 해밀턴 쇼|| || '''{{{#000000 원작}}}''' ||[[윌리엄 셰익스피어]], 《[[로미오와 줄리엣]]》|| || '''{{{#000000 제작}}}''' ||데이비드 퍼니시[br]스티브 해밀턴 쇼[br]이고르 카이트|| || '''{{{#000000 기획}}}''' ||[[엘튼 존]]|| || '''{{{#000000 음악}}}''' ||엘튼 존[br][[버니 토핀]][br]크리스 P. 베이컨[br][[제임스 뉴튼 하워드]]|| || '''{{{#000000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터치스톤 픽처스]][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s-4|로켓 픽처스]]|| || '''{{{#000000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쇼박스]]|| || '''{{{#000000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1년]] [[2월 11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11년]] [[2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4월 14일]]|| || '''{{{#000000 상영 시간}}}''' ||84분|| || '''{{{#000000 제작비}}}''' ||'''3,600만 달러'''||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193,967,670'''||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94,000,000'''||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21,195명||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1년에 개봉한 애니메이션이다. 개봉 당시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달러의 극장 수입을 올려 준수한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이름에서 감을 잡을 수 있듯이, [[로미오와 줄리엣]]을 모티프로 했다. 하지만 여기서는 노미오와 줄리엣이 맺어지고 결혼하여 해피 엔딩으로 끝나는 게 특징. 2018년에 후속편 [[셜록 놈즈]]가 개봉했다. == 예고편 == [youtube(s3_5nEAM7yw)] == 출연진 == * [[제임스 맥어보이]]/[[이준(배우)|이준]] - 노미오 역 * [[에밀리 블런트]]/[[지연(1993)|지연]] - 줄리엣 역 * [[마이클 케인]]/[[유해무]] - 레드브릭 역 * [[제이슨 스타뎀]]/[[최석필]] - 티볼트 역 * [[매기 스미스]] - 블루버리 역 * [[패트릭 스튜어트]]/[[김기현(성우)|김기현]] - 빌 셰익스피어 역 * 애슐리 젠슨/[[정주리]] - 나네테 역 * 맷 루커스/[[홍범기]] - 배니 역 * 스티븐 머천트 - 파리스 역 * [[오지 오스본]] - 폰 역 * [[짐 커밍스]]/[[신용우]] - 페더스톤 역 * 그 외 성우 - [[이호산]]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include(틀:엘튼 존)] ||<-5><#fff,#191919> '''[[엘튼 존/음반 목록|{{{#373a3c,#fff '''엘튼 존/음반 목록'''}}}]]''' || || {{{-2 2010년 10월 19일}}}[br]{{{-2 31집}}} [[The Union|{{{#373a3c,#fff The Union}}}]] || → || {{{-2 2011년 2월 8일}}}[br]{{{-2 사운드트랙}}} '''Gnomeo & Juliet (Original Soundtrack)''' || → || {{{-2 2012년 7월 16일}}}[br]{{{-2 리믹스}}} [[Good Morning to the Night|{{{#373a3c,#fff Good Morning to the Night}}}]] ||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가사 있는 곡들을, 가사 없는 연주곡([[오리지널 스코어|스코어]])들은 크리스 베이컨, [[제임스 뉴튼 하워드]]가 작곡을 맡았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쓴 "Hello, Hello", "Love Builds a Garden"을 제외한 대부분 곡들은 엘튼 존의 1970년대 히트곡들을 그대로 수록했다. 사운드트랙은 2011년 2월 8일 발매했다. === 트랙 리스트 === * 1. Hello, Hello - 3:45 영화 주제가는 경쾌한 팝 발라드 곡이다. 영화에는 [[레이디 가가]]와 부른 곡을 삽입했고 사운드트랙에는 엘튼 존 솔로 곡을 수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UhW72s8Qxc|엘튼 존/레이디 가가 - Hello, Hello (2011)]]] 2012년 제6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주제가상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나 수상에 실패했다. * 2. [[Crocodile Rock]] (Elton John & Nelly Furtado) - 3:27 1972년 곡을 동요 곡으로 재녹음했고 캐나다 가수 [[넬리 퍼타도]]와 함께 불렀다. * 3.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 4:53 * 4. [[Don't Go Breaking My Heart]] (Elton John & Kiki Dee) - 4:31 * 5. Love Builds a Garden - 3:35 잔잔하면서도 비장한 분위기의 발라드 곡이다. * 6. [[Your Song]] - 4:02 * 7. [[Rocket Man]] - 4:42 * 8. [[Tiny Dancer]] - 6:16 * 9. [[Bennie and the Jets]] - 5:23 * 10. Gnomeo & Juliet - 4:22 * 11. Dandelions - 4:25 * 12. Bennie and the Bunnies - 2:52 * 13. Terrafirminator - 5:34 * 14. The Tiki Tiki Tiki Room - 2:38 == 평가 == ||<-2>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s://www.metacritic.com/movie/gnomeo-and-juliet/critic-reviews|스코어 53/100]]''' || '''[[https://www.metacritic.com/movie/gnomeo-and-juliet/user-reviews|유저 평점 5.7/10]]''' || ||<-2>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https://www.rottentomatoes.com/m/gnomeo_and_juliet|신선도 56%]]''' || '''[[https://www.rottentomatoes.com/m/gnomeo_and_juliet|관객 점수 54%]]'''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s://www.imdb.com/title/tt0377981/?ref_=nv_sr_srsg_0|유저 평점 5.9/10]]''' || ||
[[Letterboxd|[[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https://letterboxd.com/film/gnomeo-juliet//|사용자 평균 별점 2.3 / 5.0]]''' || ||
'''[[watcha|{{{#ffffff 왓챠}}}]]''' || || '''[[https://watcha.com/ko-KR/contents/m5awypO|사용자 평균 별점 3.1 / 5.0]]''' || ||<-3>
'''[[네이버 영화|{{{#ffffff 네이버 영화}}}]]''' ||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76444|기자, 평론가 평점[br]5.50/10]]'''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76444|네티즌 평점[br]8.32/10]]''' || ||<-2>
'''[[다음 영화|{{{#adc900 다음 영화}}}]]''' || || '''[[https://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63255|기자/평론가 평점 [br] 5.5 / 10]]'''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63255|네티즌 평점 [br] 8.0 / 10]]''' || [[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영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1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영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코미디 영화]][[분류:영국의 코미디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영국의 판타지 영화]][[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영국의 뮤지컬 영화]][[분류:터치스톤 픽처스]][[분류:2011년 음반]][[분류:엘튼 존 음반]]